경찰, 유족당 2명·법률대리인 2명 허용해
사고현장 본 유족들 참담…울음소리 가득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22일 오전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을 방문한 유족이 영정사진을 들고 울고 있다. 2025.02.22 dhwon@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2/22/NISI20250222_0001776097_web.jpg?rnd=20250222133243)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22일 오전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을 방문한 유족이 영정사진을 들고 울고 있다. 2025.02.22 dhwon@newsis.com


[부산=뉴시스]원동화 기자 =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신축 공사장 화재로 희생된 6명의 유족들이 처음으로 사고 현장 내부를 둘러봤다. 이들은 참담함을 감추지 못한 유족들 중 일부는 통곡하기도 했다.
22일 오전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화재 현장에서 이번 사고로 희생된 유족들과 중대재해없는 세상만들기 부산운동본부는 합동으로 기자회견을 진행한 후 사고 현장 내부에 들어갔다.
현장에는 하얀 안전모를 쓰고 사고 현장 건물로 들어간 유족들의 울음소리로 가득했다. 유족들과 법률 대리인은 3층부터 1층까지 30여분간 경찰의 브리핑을 들으면서 둘러봤다.
유족 대표 A씨는 사고 현장 방문 후 기자들과 만나 "준공이 완료된 현장인지 저희는 잘 모르는 사람으로서는 의문이 든다"며 "벽체 등 제대로 공사가 안 돼 있었고 참담했다"고 말했다.
그는 "희생자들이 3층에서 1층으로 내려가는 승강기 앞에 유명을 달리했다고 했는데 그 이유가 밝혀졌으면 좋겠다"며 "거기(1층)에는 화재가 있던 부분은 없었고 연기 때문에 질식사한 것으로 보이는데 방화문 등 이런 것들이 제대로 작동됐으면 어떻게 됐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
22일 오전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화재 현장에서 이번 사고로 희생된 유족들과 중대재해없는 세상만들기 부산운동본부는 합동으로 기자회견을 진행한 후 사고 현장 내부에 들어갔다.
현장에는 하얀 안전모를 쓰고 사고 현장 건물로 들어간 유족들의 울음소리로 가득했다. 유족들과 법률 대리인은 3층부터 1층까지 30여분간 경찰의 브리핑을 들으면서 둘러봤다.
유족 대표 A씨는 사고 현장 방문 후 기자들과 만나 "준공이 완료된 현장인지 저희는 잘 모르는 사람으로서는 의문이 든다"며 "벽체 등 제대로 공사가 안 돼 있었고 참담했다"고 말했다.
그는 "희생자들이 3층에서 1층으로 내려가는 승강기 앞에 유명을 달리했다고 했는데 그 이유가 밝혀졌으면 좋겠다"며 "거기(1층)에는 화재가 있던 부분은 없었고 연기 때문에 질식사한 것으로 보이는데 방화문 등 이런 것들이 제대로 작동됐으면 어떻게 됐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22일 오전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을 방문한 유족이 사고 현장 방문과 관련해 경찰과 대치를 하고 있다. 2025.02.22 dhwon@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2/22/NISI20250222_0001776098_web.jpg?rnd=20250222133324)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22일 오전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을 방문한 유족이 사고 현장 방문과 관련해 경찰과 대치를 하고 있다. 2025.02.22 dhwon@newsis.com
그는 "제 동생이 오열했는데 고인의 마지막을 알게 돼 그렇게 운 것 같고 지금 자식을 잃으신 분도 있고 아버지, 동생, 남편을 잃었던 고인들이 마음 편히 갈 수 있도록 진상 규명이 제대로 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현장을 방문하려던 유족들과 경찰 간의 실랑이도 벌어졌다.
경찰은 현장 보존을 이유로 출입을 제한해 유족들이 반발했다.
경찰은 희생자 6명의 유족에게 현장을 공개한다는 원칙 아래 유족 각 1명씩과 법률 대리인 1명만 현장을 방문할 수 있다고 고지했다.
유족들은 유족 전원과 함께 '중대재해없는 세상만들기 부산운동본부' 소속 인원도 현장 방문을 하게 해달라고 경찰에 요청했다.
앞서 현장을 방문하려던 유족들과 경찰 간의 실랑이도 벌어졌다.
경찰은 현장 보존을 이유로 출입을 제한해 유족들이 반발했다.
경찰은 희생자 6명의 유족에게 현장을 공개한다는 원칙 아래 유족 각 1명씩과 법률 대리인 1명만 현장을 방문할 수 있다고 고지했다.
유족들은 유족 전원과 함께 '중대재해없는 세상만들기 부산운동본부' 소속 인원도 현장 방문을 하게 해달라고 경찰에 요청했다.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22일 오전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을 방문한 유족들이 사고 현장을 둘러보기 위해 건물로 들어가고 있다. 오른쪽은 시공사 직원들이 이를 지켜보고 있다. 2025.02.22 dhwon@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2/22/NISI20250222_0001776100_web.jpg?rnd=20250222133447)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22일 오전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을 방문한 유족들이 사고 현장을 둘러보기 위해 건물로 들어가고 있다. 오른쪽은 시공사 직원들이 이를 지켜보고 있다. 2025.02.22 dhwon@newsis.com
경찰은 외부인은 안 된다고 강조하면서 유족의 요구를 거부해 실랑이는 약 한 시간 가량 이어졌다.
결국 경찰은 유족당 2명씩과 법률 대리인 2명(변호사·노무사) 등 총 14명의 현장 방문에 동의했다.
중대재해없는 세상만들기 부산운동본부는 유족들과 경찰간 실랑이가 이어지자 노무사의 현장 방문으로 타협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족들은 화장과 발인을 어느 정도 진상규명이 될 때까지는 무기한 연기할 방침이다. 부산시에 따르면 희생된 6명의 사망자 중 현재 장례 모든 절차를 끝낸 희생자 2명, 발인식만 끝내고 아직 화장하지 않은 희생자가 2명, 발인도 안 한 희생자가 2명으로 파악했다.
앞서 지난 14일 오전 10시51분께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복합리조트 신축 공사장에서 불이 났다. 당초 소방당국은 이 불로 6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발표했다가 6명 사망, 1명 경상으로 정정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dhwon@newsis.com
결국 경찰은 유족당 2명씩과 법률 대리인 2명(변호사·노무사) 등 총 14명의 현장 방문에 동의했다.
중대재해없는 세상만들기 부산운동본부는 유족들과 경찰간 실랑이가 이어지자 노무사의 현장 방문으로 타협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시간 핫뉴스
유족들은 화장과 발인을 어느 정도 진상규명이 될 때까지는 무기한 연기할 방침이다. 부산시에 따르면 희생된 6명의 사망자 중 현재 장례 모든 절차를 끝낸 희생자 2명, 발인식만 끝내고 아직 화장하지 않은 희생자가 2명, 발인도 안 한 희생자가 2명으로 파악했다.
앞서 지난 14일 오전 10시51분께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복합리조트 신축 공사장에서 불이 났다. 당초 소방당국은 이 불로 6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발표했다가 6명 사망, 1명 경상으로 정정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dhwo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