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뉴시스] 추상철 기자 = 한파가 이어진 7일 오전 경기 과천시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 망토원숭이(위 부터), 미어캣, 방사거북이 각각 열등기구 등 방한시설로 추위를 피하고 있다. 해당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계 없음. 2025.02.07. sccho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2/07/NISI20250207_0020686361_web.jpg?rnd=20250207144739)
[과천=뉴시스] 추상철 기자 = 한파가 이어진 7일 오전 경기 과천시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 망토원숭이(위 부터), 미어캣, 방사거북이 각각 열등기구 등 방한시설로 추위를 피하고 있다. 해당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계 없음. 2025.02.07. scchoo@newsis.com


[부산=뉴시스]권태완 기자 = 부산 지역 유일한 동물원인 삼정더파크의 재개장이 또다시 불투명해졌다. 동물원을 소유한 삼정기업이 시공 중이던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공사장에서 불이 나 7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21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어린이날 전까지 삼정더파크 동물원 재개장을 목표로 삼정기업과 물밑 협상을 진행하다 최근 중단했다.
지난 14일 삼정기업이 시공 중이던 부산 반얀트리 해운대 리조트 공사장에서 6명이 숨지고, 1명이 다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삼정기업과 재개장 관련 논의를 했었다. 올해 1월 초부터 삼정기업 측에서 동물원 운영을 할 의사를 내비쳤고, 시에서도 동물 복지 및 시설에 대해 예산을 지원할 수 있는 조항이 생겨 협의가 급물살을 탔었다"면서 "최근 삼정기업에서 큰 사고가 발생하면서 현재는 논의가 잠정적으로 중단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삼정기업은 현재 사고 수습에 많은 직원들을 투입 중이며, 경찰과 고용노동부로부터 수사를 받고 있기에 동물원 재개장에 눈을 돌릴 여력이 없는 상태다.
1982년 개장한 성지곡 동물원이 2004년 재정비를 위해 민간개발 추진 중에 시공사의 2차례 부도로 동물원 조성 사업이 좌초될 위기를 맞게 되자 시는 해결책으로 2012년 '시-더파크-삼정기업' 간 시의 매수부담(500억) 조건을 주요 골자로 하는 협약을 체결해 2014년부터 동물원을 정상화했다. 하지만 2020년 4월 이후 협약이 종료되면서 동물원 운영도 중단됐다.
삼정기업은 협약을 근거로 부산시가 동물원을 500억원에 매입하라고 요구했지만, 부산시는 동물원 내에 민간의 땅이 있어 매수 의무가 없어진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이후 삼정기업과 부산시는 법적 다툼을 벌였고, 1·2심 법원은 시의 손을 들어줬다.
대법원은 해당 사건을 2023년 1월부터 심리 중이지만 아직 결론을 내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이제는 대법원 결과만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태"라면서 "결과에 따라 여러 방법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won97@newsis.com
21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어린이날 전까지 삼정더파크 동물원 재개장을 목표로 삼정기업과 물밑 협상을 진행하다 최근 중단했다.
지난 14일 삼정기업이 시공 중이던 부산 반얀트리 해운대 리조트 공사장에서 6명이 숨지고, 1명이 다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삼정기업과 재개장 관련 논의를 했었다. 올해 1월 초부터 삼정기업 측에서 동물원 운영을 할 의사를 내비쳤고, 시에서도 동물 복지 및 시설에 대해 예산을 지원할 수 있는 조항이 생겨 협의가 급물살을 탔었다"면서 "최근 삼정기업에서 큰 사고가 발생하면서 현재는 논의가 잠정적으로 중단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삼정기업은 현재 사고 수습에 많은 직원들을 투입 중이며, 경찰과 고용노동부로부터 수사를 받고 있기에 동물원 재개장에 눈을 돌릴 여력이 없는 상태다.
1982년 개장한 성지곡 동물원이 2004년 재정비를 위해 민간개발 추진 중에 시공사의 2차례 부도로 동물원 조성 사업이 좌초될 위기를 맞게 되자 시는 해결책으로 2012년 '시-더파크-삼정기업' 간 시의 매수부담(500억) 조건을 주요 골자로 하는 협약을 체결해 2014년부터 동물원을 정상화했다. 하지만 2020년 4월 이후 협약이 종료되면서 동물원 운영도 중단됐다.
삼정기업은 협약을 근거로 부산시가 동물원을 500억원에 매입하라고 요구했지만, 부산시는 동물원 내에 민간의 땅이 있어 매수 의무가 없어진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이후 삼정기업과 부산시는 법적 다툼을 벌였고, 1·2심 법원은 시의 손을 들어줬다.
이시간 핫뉴스
대법원은 해당 사건을 2023년 1월부터 심리 중이지만 아직 결론을 내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이제는 대법원 결과만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태"라면서 "결과에 따라 여러 방법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won97@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