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南北채널 23개월 만에 복원…北 먼저 연락

기사등록 2018/01/03 17:22:47

최종수정 2018/01/03 17:41:49

【서울=뉴시스】 개성공단 가동 중단 이후 완전히 끊겼던 남북 연락채널이 1년 11개월만에 복구된 3일 오후 경기 파주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내 연락사무소에서 우리측 연락관이 북측과 통화를 위해 '남북직통전화'를 점검하고 있다. 2018.01.03. (사진=통일부 제공)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개성공단 가동 중단 이후 완전히 끊겼던 남북 연락채널이 1년 11개월만에 복구된 3일 오후 경기 파주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내 연락사무소에서 우리측 연락관이 북측과 통화를 위해 '남북직통전화'를 점검하고 있다. 2018.01.03. (사진=통일부 제공)[email protected]
남북 연락관 통성명…20분가량 통화
 1차 통화 '기술적 점검'만…2차 접촉 가능성
 
【서울=뉴시스】김지훈 기자 = 남북 간 직통 연락채널이 3일 복원됐다. 북한이 지난 2016년 2월12일 당시 개성공단 가동 중단 결정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차단한 지 23개월 만이다.

 통일부는 이날 오후 3시30분(평양시간 오후 3시)께 북측이 먼저 '판문점 채널'인 연락사무소 회선을 통해 연락을 했으며, 통신선 점검 등 상호 접촉을 했다고 밝혔다.

 이날 1차 통화는 20분가량 진행됐다. 통화는 남측 연락관이 자신의 이름을 밝히는 것으로 시작됐으며, 이에 북측 연락관도 자신의 이름을 밝히며 통성명을 했다.

 양측은 1차 통화에서 판문점 채널 통신선의 이상 유무만 확인했다고 통일부는 밝혔다. 또한 북측이 1차 통화 종료시 금일 추후 협의에 대한 상부 지시가 남았는지 등을 확인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함에 따라 일과 종료시까지 북측의 회신을 대기하고 있다고 통일부는 설명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2차 접촉이 있을 경우 관련 사항을 공지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북한의 연락채널 복원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은 이날 오후 조선중앙TV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이) 평창올림픽경기대회 대표단 파견 문제를 포함해 관련한 문제들을 남측과 제때 연계하도록 3일 15시(평양시간·한국시간 오후 3시30분)부터 북남사이 판문점 연락통로를 개통할 데 대한 지시를 주셨다"고 발표했다.

 남북 간 연락채널로는 판문점채널과 동·서해군통신선이 있다. 판문점 채널은 모두 33회선이 깔려있다. 여기에는 남북연락사무소 회선, 회담지원용 회선, 해사 당국 간 회선, 항공관제용 회선, 개성공단공동위 사무처 회선 등이 포함된다. 군통신선은 지난 2002~2003년께 서해지구와 동해지구에 각 설치돼 운용됐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종합]南北채널 23개월 만에 복원…北 먼저 연락

기사등록 2018/01/03 17:22:47 최초수정 2018/01/03 17:41:49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