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차관 대신 국방부 차원 사과…71년 만에 처음
서주석 차관 추모공간 방문해 희생자 애도 예정
【서울=뉴시스】오종택 기자 = 국방부가 군·경의 무력 진압으로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제주 4·3 사건'과 관련해 71년 만에 처음으로 공식 사과했다.
국방부는 3일 "제주4·3특별법의 정신을 존중하며 진압 과정에서 제주도민들이 희생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과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는 한미 국방장관 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정경두 국방부 장관을 대신해 국방부 차원에서 이뤄졌다. 국방부 관계자가 국방부 기자실을 방문해 입장문을 낭독했다.
오후에는 서주석 국방부 차관이 광화문에 마련된 4·3 사건 희생자 추모공간을 방문, 희생자에 대한 애도를 표명할 예정이다.
노무현 정부 당시 4·3 사건이 국가폭력으로 인정된 이후 대통령의 사과는 있었지만, 군 당국이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한 적은 없었다. 국방부는 그 동안 4·3 사건에 대해 '군경이 무장봉기를 진압한 사건'이라는 입장을 취해왔었다.
국방부의 입장 표명은 제주 4·3 사건을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한 '제주4.3사건 특별법' 정신을 존중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국방부는 3일 "제주4·3특별법의 정신을 존중하며 진압 과정에서 제주도민들이 희생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과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는 한미 국방장관 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정경두 국방부 장관을 대신해 국방부 차원에서 이뤄졌다. 국방부 관계자가 국방부 기자실을 방문해 입장문을 낭독했다.
오후에는 서주석 국방부 차관이 광화문에 마련된 4·3 사건 희생자 추모공간을 방문, 희생자에 대한 애도를 표명할 예정이다.
노무현 정부 당시 4·3 사건이 국가폭력으로 인정된 이후 대통령의 사과는 있었지만, 군 당국이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한 적은 없었다. 국방부는 그 동안 4·3 사건에 대해 '군경이 무장봉기를 진압한 사건'이라는 입장을 취해왔었다.
국방부의 입장 표명은 제주 4·3 사건을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한 '제주4.3사건 특별법' 정신을 존중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현 정부 들어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국방부 장관의 두 차례 사과가 있었고, 이번에 제주 4·3 희생자에게도 유감을 표명하면서 국방부는 과거사 청산 노력을 이어갔다.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1절 군중을 향한 경찰의 발포사건을 시작으로 1954년 9월21일 한라산 통행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7년7개월 동안 제주전역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군경의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사건이다.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당시 1만245명이 숨지고, 3578명이 실종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공식적으로 집계된 희생자 수치일 뿐 실제 인명피해를 2만5000명에서 3만명으로 추정된다. 당시 제주도 인구 10분의 1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email protected]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1절 군중을 향한 경찰의 발포사건을 시작으로 1954년 9월21일 한라산 통행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7년7개월 동안 제주전역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군경의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사건이다.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당시 1만245명이 숨지고, 3578명이 실종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공식적으로 집계된 희생자 수치일 뿐 실제 인명피해를 2만5000명에서 3만명으로 추정된다. 당시 제주도 인구 10분의 1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