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박영환 기자 = 지난해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의 아파트 준공(입주)물량이 지난 2005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아파트 준공물량은 48만277호로 전년 38만9872호보다 23.2%증가했다. 이는 2005년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최대물량이자 최근 5년 평균(30만1514호)보다 59.3% 증가한 규모다. 아파트외 주택 입주 물량은 14만6612호로 전년(17만9337호)보다 18.2%감소했다.
지난해 아파트를 비롯한 주택의 준공 물량도 전국 62만7000호로 전년(56만9000호)대비 10.1% 증가했다. 5년 평균(47.4만호) 대비로도 32.2% 늘었다. 역시 지난 2005년 준공 물량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다. 수도권은 32만9000호로 전년보다 16.7%, 지방은 29만8000호로 3.7% 각각 증가했다.
주택 준공물량이 급증한 데는 박근혜 정부가 건설 경기 부양에 나서면서 지난 2014년 이후 연평균 50만호 이상이 착공된 데 따른 것이다. 최경환 경제 부총리는 같은 해 7월 부임하면서 “거시 정책을 과감하게 확장적으로 운영하고 한겨울에 한여름의 옷을 입고 있는 것과 같은 부동산 시장의 낡은 규제들을 조속히 혁파해야 한다”며 부동산 경기부양의 의지를 분명히 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전국의 주택 인허가와 착공 건수는 모두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주택 인허가 실적은 전국 55만4000호로 전년(65만3000호)보다 15.2% 감소했다. 최근 5년 평균(62만호)에 비해서도 10.6%줄었다. 수도권 주택 인허가 건수는 280만호로 전년보다 12.9% 줄었고, 지방은 27만4000호로 17.5% 하락했다. 아파트가 40만6000호로 전년(46만8000호)보다 13.2%줄었다. 아파트 외 주택은 14만8000호로 전년(18만5000호) 대비 20.2% 감소했다.
착공 실적도 전국 47만1000호로 전년 (54만4000호)대비 13.5%줄었다. 최근 5년평균(57.1만호)에 비해서도 17.6% 하락했다. 수도권이 25만8000호로 전년 대비 7%줄었고, 지방은 21만3000호로 20.3% 감소했다. 아파트는 33만5000호로 11.7%, 아파트 외 주택은 13만6000호로 17.8% 각각 뒷걸음질했다.
지난해 주택 인허가·착공 건수가 두자릿수로 준 데는 ‘기저효과’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5년~2017년 인허가·착공건수가 급증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더 커보인다는 뜻이다. 아울러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보유세제 강화를 비롯한 고강도 규제가 꼬리를 문 영향도 한몫을 했다.
지난해 아파트 등 전국 공동주택 분양 실적은 28만3000호로 전년(31만2000호)보다 9.3% 줄었다. 최근 5년 평균(39만호)대비 27.5% 감소했다. 일반분양은 17만4000호로 전년보다 20.1%, 조합원분은 4만7000호로 8.2% 각각 감소했지만, 조합원분은 4만7000호로 8.2%증가했다.
[email protected]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아파트 준공물량은 48만277호로 전년 38만9872호보다 23.2%증가했다. 이는 2005년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최대물량이자 최근 5년 평균(30만1514호)보다 59.3% 증가한 규모다. 아파트외 주택 입주 물량은 14만6612호로 전년(17만9337호)보다 18.2%감소했다.
지난해 아파트를 비롯한 주택의 준공 물량도 전국 62만7000호로 전년(56만9000호)대비 10.1% 증가했다. 5년 평균(47.4만호) 대비로도 32.2% 늘었다. 역시 지난 2005년 준공 물량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다. 수도권은 32만9000호로 전년보다 16.7%, 지방은 29만8000호로 3.7% 각각 증가했다.
주택 준공물량이 급증한 데는 박근혜 정부가 건설 경기 부양에 나서면서 지난 2014년 이후 연평균 50만호 이상이 착공된 데 따른 것이다. 최경환 경제 부총리는 같은 해 7월 부임하면서 “거시 정책을 과감하게 확장적으로 운영하고 한겨울에 한여름의 옷을 입고 있는 것과 같은 부동산 시장의 낡은 규제들을 조속히 혁파해야 한다”며 부동산 경기부양의 의지를 분명히 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전국의 주택 인허가와 착공 건수는 모두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주택 인허가 실적은 전국 55만4000호로 전년(65만3000호)보다 15.2% 감소했다. 최근 5년 평균(62만호)에 비해서도 10.6%줄었다. 수도권 주택 인허가 건수는 280만호로 전년보다 12.9% 줄었고, 지방은 27만4000호로 17.5% 하락했다. 아파트가 40만6000호로 전년(46만8000호)보다 13.2%줄었다. 아파트 외 주택은 14만8000호로 전년(18만5000호) 대비 20.2% 감소했다.
착공 실적도 전국 47만1000호로 전년 (54만4000호)대비 13.5%줄었다. 최근 5년평균(57.1만호)에 비해서도 17.6% 하락했다. 수도권이 25만8000호로 전년 대비 7%줄었고, 지방은 21만3000호로 20.3% 감소했다. 아파트는 33만5000호로 11.7%, 아파트 외 주택은 13만6000호로 17.8% 각각 뒷걸음질했다.
지난해 주택 인허가·착공 건수가 두자릿수로 준 데는 ‘기저효과’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5년~2017년 인허가·착공건수가 급증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더 커보인다는 뜻이다. 아울러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보유세제 강화를 비롯한 고강도 규제가 꼬리를 문 영향도 한몫을 했다.
지난해 아파트 등 전국 공동주택 분양 실적은 28만3000호로 전년(31만2000호)보다 9.3% 줄었다. 최근 5년 평균(39만호)대비 27.5% 감소했다. 일반분양은 17만4000호로 전년보다 20.1%, 조합원분은 4만7000호로 8.2% 각각 감소했지만, 조합원분은 4만7000호로 8.2%증가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