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급등으로 발전연료 구입비 부담 상승
전기요금 판매 마진은 넉달째 10원대 지속
탄핵정국 여파로 전기료 인상도 쉽지 않아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올해도 한국전력의 경영위기가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 12월 계엄 사태 이후 치솟은 원달러 환율의 고공행진이 지속되고 있어 발전단가 상승에 따른 마진율 하락이 실적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진단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2023년 5월 이후 동결된 주택용 전기요금 인상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지만 대통령 탄핵 정국으로 인해 요금 인상 논의가 뒤로 밀리면서 한전의 경영 정상화 시기도 늦춰질 수 있다는 우려도 들린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2·3 비상 계엄 사태 이전인 11월 29일 기준 원달러 환율은 1396.50원에 거래됐지만 12월 4일부터 치솟으며 9일 1430원을 돌파했고 23일 1450원을 지나 새해 들어서도 1470원대를 넘어선 상황이다.
환율 상승으로 인해 한전은 난감한 상황을 맞았다. 원화가치 하락으로 인해 액화천연가스(LNG) 수입비용이 현재보다 더 늘어날 수 있고 이에 따른 발전단가 상승도 동반돼 전력구매비용을 부풀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한전은 2021년 2분기부터 글로벌 에너지 위기에 따른 발전연료 구입비 부담이 늘어나면서 3년새 40조원에 달라는 누적 적자를 떠안았고 총부채는 200조를 넘겼는데 올해도 이 같은 상황이 되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실제로 10월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한전이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 이행비용(RPS)을 합한 전기 구입단가는 128.2/킬로와트시(㎾h) 수준이고 소비자들에게 판매한 단가는 144.5/㎾h이다. 이에 따른 전력판매 마진은 14.3/㎾h를 기록했다.
한전의 마진이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이 문제다. 지난해 2월 42.1원/㎾h, 6월 34.9원/㎾h 등 높은 수준을 보이기도 했지만 7월 8.2원/㎾h, 8월 16.7원/㎾h, 9월 16.6/㎾h 등 안좋은 상황이다.
통상적으로 한전의 마진은 ㎾h당 20원 이상일 때 남는 게 있다고 볼 수 있는데 7월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10원대 마진을 기록하고 있어 전기를 팔아도 전력망 유지보수, 설비투자, 운영비 등을 빼면 순마진은 없는 셈이다.
발전자회사 실적을 제외한 별도기준 재무제표에선 이런 상황을 여실히 들여다볼 수 있다. 한전은 지난해 1분기 1조2619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2분기 928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고 3분기에는 7737억원 영업손실을 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컨센서스 추정 기관 수 3곳 이상이 예상한 한전의 지난해 별도기준 실적은 매출 91조4300억원, 영업이익 3830억원, 순손실 4500억원 수준이다.
지난해 11월 실시한 산업용 전기료 인상 효과와 글로벌 연료가격 하락에 따라 1분기에 올렸던 순마진이 전기료 인상이 늦어지면서 2~4분기 실적 하락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실적 반등을 위해선 가정용 전기료 인상이 시급하지만 현 상황으로선 쉽지 않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한전은 1분기 연료비조정단가를 ㎾h당 5원으로 유지한 만큼 전기요금을 올리려면 전력량 요금을 조정해야 하는데 쉽지 않다는 것이다.
2분기에도 이런 상황이 지속될 공산이 크다. 헌법재판소의 판단에 따라 탄핵 정국이 길어지거나 조기 대통령 선거 등이 실시될 수 있어 경영 정상화를 위한 전기료 인상은 뒷전으로 밀릴 수 있다는 관측이다.
상황이 이렇자 김동철 한전 사장도 올해 신년사를 통해 원가 기반의 요금 체계 확립과 전력시장 제도의 합리적 개편이 필요하다고 역설하기도 했다. 합리적 요금 체계를 통해 재무정상화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김 사장은 "조기 재무 정상화를 위한 획기적 전환점을 만들어야 한다"며 "지금까지 추진해온 자구노력 이행과 요금 정상화를 계속 추진해 나가고 원가 기반 요금 체계 확립과 제도 개편에 힘을 쏟아달라"고 직원들에게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