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하노이 담판' 결렬 이후 지지부진
건설업계, TF 꾸리다 '올 스톱', 모니터링 수준
북한 건설시장 미래 '먹거리'…미리 대비해야
【서울=뉴시스】김가윤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일 한미정상회담을 갖고 북핵 해법 찾기에 나서면서 남북경협도 돌파구를 찾을지 주목된다.
지난 2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비핵화 협상은 물론이고 남북경협 논의 진행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남북경협에 큰 기대를 걸어온 건설사들은 심지어 지난 22일 북한이 개성 남북연락 사무소 철수를 일방적으로 통보하자 경협이 '없었던 일'이 되는 것 아니냐며 불안감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노이 핵 담판 결렬 이후 비핵화 전까지는 금강산 관광·개성공단 재개 등 일부 제재완화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측의 입장 차가 조율돼 남북경협이 다시 진행절차를 밟아갈 것인지 관심이 쏠린다.
1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각 건설사마다 남북경협 지원단을 꾸리는 등 대북 사업을 위한 사전 준비를 시작하고 있지만 '하노이 담판' 결렬 이후 좀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짙어졌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건설사는 지난해부터 태스크포스(TF)를 꾸리는 등 대비에 나서고 있었다.
현대건설은 올해 남북경협 지원단을 꾸렸고, 대우건설 역시 지난해 전략기획사업본부 산하에 북방사업지원팀을 꾸려 남북경협을 준비해왔다. 대림산업, GS건설을 비롯한 주요 건설사들도 지난해 일찌감치 태스크포스를 꾸렸다.
그러나 하노이 회담 이후 북미 간 갈등이 불거지고 비핵화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건설업계 논의도 '올 스톱'됐다. 현재는 남북경협과 관련한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수준이다. 대한건설협회에서 이달 추진하려고 했던 관련 토론회나 포럼도 중단된 상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한미 정상회담은 한다고 해도 대통령이 북미 간 관계를 조율하는 입장에서 회담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며 "건설사에서 모니터링은 계속 하겠지만 어떤 걸 구체적으로 준비하기엔 아직 이르다"고 지적했다.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우리와 관련 있는 사안이 회담장에서 얘기가 돼 나온다고 하면 업계에서 서로 의견 교류를 하고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그러나 북미 정상회담도 결렬된 상태기 때문에 좀 더 두고봐야하고, 어떤 의견을 내기엔 애매하고 조심스러운 상태"라고 전했다.
인프라가 발달하면서 주택·사회간접자본(SOC) 등 건설사들이 진출할 수 있는 시장은 줄어들고 건설경기 장기 침체로 미래 먹거리 발굴이 힘들어지면서 남북경협에 거는 건설업계의 기대는 크다.
건설업계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관련 논의가 진척돼 남북경협 진행이 속도를 내기를 기대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현재 건설업체 수는 많고 파이는 작은 시대인데 더 이상 주택 수를 늘릴 수도, SOC도 계속 늘어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도로·철도뿐만 아니라 공업단지가 생기고 발전소가 생기고 또 주택단지도 생길 것이기 때문에 북한은 건설업계가 향후 30~50년까지 바라볼 수 있는 중요한 시장"이라며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기대감을 보였다.
다만 남북경협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경우 진행과정에 민간 건설사들도 참여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관계자는 "민간에서도 진행상황을 알아야 미리 준비를 하고 필요할 때 사업모델을 제안할 수 있기 때문에 철도 조사 등을 마치면 결과에 대해 건설사 측에서 공유 요청이 많이 들어온다"며 "정부는 나중에 분위기가 더욱 무르익으면 얘기하자는 입장인데,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대비가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지난 2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비핵화 협상은 물론이고 남북경협 논의 진행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남북경협에 큰 기대를 걸어온 건설사들은 심지어 지난 22일 북한이 개성 남북연락 사무소 철수를 일방적으로 통보하자 경협이 '없었던 일'이 되는 것 아니냐며 불안감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노이 핵 담판 결렬 이후 비핵화 전까지는 금강산 관광·개성공단 재개 등 일부 제재완화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측의 입장 차가 조율돼 남북경협이 다시 진행절차를 밟아갈 것인지 관심이 쏠린다.
1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각 건설사마다 남북경협 지원단을 꾸리는 등 대북 사업을 위한 사전 준비를 시작하고 있지만 '하노이 담판' 결렬 이후 좀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짙어졌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건설사는 지난해부터 태스크포스(TF)를 꾸리는 등 대비에 나서고 있었다.
현대건설은 올해 남북경협 지원단을 꾸렸고, 대우건설 역시 지난해 전략기획사업본부 산하에 북방사업지원팀을 꾸려 남북경협을 준비해왔다. 대림산업, GS건설을 비롯한 주요 건설사들도 지난해 일찌감치 태스크포스를 꾸렸다.
그러나 하노이 회담 이후 북미 간 갈등이 불거지고 비핵화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건설업계 논의도 '올 스톱'됐다. 현재는 남북경협과 관련한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수준이다. 대한건설협회에서 이달 추진하려고 했던 관련 토론회나 포럼도 중단된 상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한미 정상회담은 한다고 해도 대통령이 북미 간 관계를 조율하는 입장에서 회담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며 "건설사에서 모니터링은 계속 하겠지만 어떤 걸 구체적으로 준비하기엔 아직 이르다"고 지적했다.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우리와 관련 있는 사안이 회담장에서 얘기가 돼 나온다고 하면 업계에서 서로 의견 교류를 하고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그러나 북미 정상회담도 결렬된 상태기 때문에 좀 더 두고봐야하고, 어떤 의견을 내기엔 애매하고 조심스러운 상태"라고 전했다.
인프라가 발달하면서 주택·사회간접자본(SOC) 등 건설사들이 진출할 수 있는 시장은 줄어들고 건설경기 장기 침체로 미래 먹거리 발굴이 힘들어지면서 남북경협에 거는 건설업계의 기대는 크다.
건설업계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관련 논의가 진척돼 남북경협 진행이 속도를 내기를 기대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현재 건설업체 수는 많고 파이는 작은 시대인데 더 이상 주택 수를 늘릴 수도, SOC도 계속 늘어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도로·철도뿐만 아니라 공업단지가 생기고 발전소가 생기고 또 주택단지도 생길 것이기 때문에 북한은 건설업계가 향후 30~50년까지 바라볼 수 있는 중요한 시장"이라며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기대감을 보였다.
다만 남북경협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경우 진행과정에 민간 건설사들도 참여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관계자는 "민간에서도 진행상황을 알아야 미리 준비를 하고 필요할 때 사업모델을 제안할 수 있기 때문에 철도 조사 등을 마치면 결과에 대해 건설사 측에서 공유 요청이 많이 들어온다"며 "정부는 나중에 분위기가 더욱 무르익으면 얘기하자는 입장인데,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대비가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