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다음달 중국서 세번째 정상회담…시 주석에 평창올림픽 방한 초청
文대통령 "비 온뒤 땅 굳어" 시 주석 "오늘 회동 양국관계 중대 계기"
【다낭(베트남)=뉴시스】 장윤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달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취임 세번쨰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의 미래지향적 관계를 논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11일 오후 APEC이 열리는 베트남 다낭에서 시 주석과 한중 정상회담을 가지며 이같이 협의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두 정상은 이날 중국 측 숙소가 있는 다낭 시내 크라운플라자 호텔에서 오후 7시37분(현지시간 오후 5시37분)부터 오후 8시20분(오후 6시20분)까지 43분간 단독정상회담을 가졌다.
앞서 열린 APEC정상회의 마지막날 일정 때문에 정상회담은 예정보다 37분 늦게 시작했다. 한중정상회담은 약 30분간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으나 두 정상 모두발언을 포함해 13분 넘게 더 길어졌다.
이번 정상회담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지난달 31일 한중 정부가 사드 갈등을 종식하고 모든 교류를 정상화한다고 동시 발표한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 이후 첫 회담이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비온 뒤에 땅이 굳는다는 한국 속담이 있다. 매경한고(梅經寒苦)라고 봄을 알리는 매화는 겨울 추위를 이겨낸다는 중국 사자성어도 있다"면서 "한중 관계가 일시적으로 어려웠지만 한편으로는 서로의 소중함을 재확인하는 시간이었다. 한중간에 잃어버린 시간을 만회할 수 있도록 양측이 함께 노력하길 바라 마지 않는다"고 의미있는 메시지를 전했다.
시 주석은 "양국은 각자 경제사회 발전, 양자관계의 발전적인 추진, 세계 평화의 발전에 있어서 광범위한 공동의 이익을 갖고 있다"고 평하며 "양국 관계와 한반도 정세는 관건적 시기에 있다. 오늘 우리 회동은 앞으로 양국관계 발전과 한반도 문제에 있어 양측의 협력, 그리고 리더십의 발휘에 있어 중대한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두 정상은 먼저 다음달 중 문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해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의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 문제를 포괄적으로 논의하기로 했다. 방문 시점과 형식은 양국이 협의해 조만간 구체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북한 핵 및 미사일과 관련해 양국 정상은 현 한반도 안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북핵 문제를 궁극적으로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로 했다. 양국은 이를 위해 각급 차원에서 전략대화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다만 청와대는 대북 대응을 위해 양국이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을 협의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文대통령 "비 온뒤 땅 굳어" 시 주석 "오늘 회동 양국관계 중대 계기"
【다낭(베트남)=뉴시스】 장윤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달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취임 세번쨰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의 미래지향적 관계를 논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11일 오후 APEC이 열리는 베트남 다낭에서 시 주석과 한중 정상회담을 가지며 이같이 협의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두 정상은 이날 중국 측 숙소가 있는 다낭 시내 크라운플라자 호텔에서 오후 7시37분(현지시간 오후 5시37분)부터 오후 8시20분(오후 6시20분)까지 43분간 단독정상회담을 가졌다.
앞서 열린 APEC정상회의 마지막날 일정 때문에 정상회담은 예정보다 37분 늦게 시작했다. 한중정상회담은 약 30분간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으나 두 정상 모두발언을 포함해 13분 넘게 더 길어졌다.
이번 정상회담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지난달 31일 한중 정부가 사드 갈등을 종식하고 모든 교류를 정상화한다고 동시 발표한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 이후 첫 회담이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비온 뒤에 땅이 굳는다는 한국 속담이 있다. 매경한고(梅經寒苦)라고 봄을 알리는 매화는 겨울 추위를 이겨낸다는 중국 사자성어도 있다"면서 "한중 관계가 일시적으로 어려웠지만 한편으로는 서로의 소중함을 재확인하는 시간이었다. 한중간에 잃어버린 시간을 만회할 수 있도록 양측이 함께 노력하길 바라 마지 않는다"고 의미있는 메시지를 전했다.
시 주석은 "양국은 각자 경제사회 발전, 양자관계의 발전적인 추진, 세계 평화의 발전에 있어서 광범위한 공동의 이익을 갖고 있다"고 평하며 "양국 관계와 한반도 정세는 관건적 시기에 있다. 오늘 우리 회동은 앞으로 양국관계 발전과 한반도 문제에 있어 양측의 협력, 그리고 리더십의 발휘에 있어 중대한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두 정상은 먼저 다음달 중 문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해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의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 문제를 포괄적으로 논의하기로 했다. 방문 시점과 형식은 양국이 협의해 조만간 구체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북한 핵 및 미사일과 관련해 양국 정상은 현 한반도 안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북핵 문제를 궁극적으로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로 했다. 양국은 이를 위해 각급 차원에서 전략대화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다만 청와대는 대북 대응을 위해 양국이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을 협의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양 정상은 또 사드 문제와 관련 지난달 31일 공개한 '양국 관계 개선 방안에 관한 발표 내용'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양국이 모든 분야에서의 교류 협력을 정상궤도로 조속히 회복시키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시 주석은 이와 관련 "새로운 출발이고 좋은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다낭에서 기자들과 만나 시 주석의 발언 관련 "한중 간 그동안 있었던 사드 갈등이 (지난달 31일 한중 합의를 통해) 봉인이 되었고, 이 상태에 대한 양국 의견들이 부분부분 합의가 이뤄졌다"면서 "그에 바탕해서 새로운 한중 관계를 열겠다는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의 양국 정상 의지가 반영된 것(발언들)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내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에 맞춰 시 주석의 방한을 요청했다. 이에 시 주석은 "방한을 위해 노력하겠다. 만일 사정이 여의치 못해 못가더라도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하겠다"고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시 주석이 내년 방한에 명확히 답변을 안한 것에 대해 "불참 의사로 보지 않는다. 참석하려 노력을 하되 만약에 못 가게 되면 고위급 대표단을 보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상회담에 앞서 열린 양국 고위당국자 접촉에서 우리 정부는 중국 측 관계자에게 탈북자 당사자의 의사 및 인권 존중, 인도주의적 원칙에 따른 처리, 탈북자 의사 확인 시 한국 정부의 신병 접수 용의 등에 대한 입장을 전달했다.
한편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의 한·중 정상회담은 지난 7월 독일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난 뒤 넉달여 만이다. 이번 정상회담은 최근 시 주석의 집권 2기를 공식화한 공산당 대회 개최를 기점으로 논의가 급물살을 탄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이 '3불(不)정책(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 편입, 사드 추가 배치 검토, 한·미·일 군사 동맹 등 불가)' 표명한 뒤, 두 나라가 사드(THAAD) 갈등을 봉합하기로 합의하면서 어렵게 성사됐다.
[email protected]
시 주석은 이와 관련 "새로운 출발이고 좋은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다낭에서 기자들과 만나 시 주석의 발언 관련 "한중 간 그동안 있었던 사드 갈등이 (지난달 31일 한중 합의를 통해) 봉인이 되었고, 이 상태에 대한 양국 의견들이 부분부분 합의가 이뤄졌다"면서 "그에 바탕해서 새로운 한중 관계를 열겠다는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의 양국 정상 의지가 반영된 것(발언들)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내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에 맞춰 시 주석의 방한을 요청했다. 이에 시 주석은 "방한을 위해 노력하겠다. 만일 사정이 여의치 못해 못가더라도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하겠다"고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시 주석이 내년 방한에 명확히 답변을 안한 것에 대해 "불참 의사로 보지 않는다. 참석하려 노력을 하되 만약에 못 가게 되면 고위급 대표단을 보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상회담에 앞서 열린 양국 고위당국자 접촉에서 우리 정부는 중국 측 관계자에게 탈북자 당사자의 의사 및 인권 존중, 인도주의적 원칙에 따른 처리, 탈북자 의사 확인 시 한국 정부의 신병 접수 용의 등에 대한 입장을 전달했다.
한편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의 한·중 정상회담은 지난 7월 독일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난 뒤 넉달여 만이다. 이번 정상회담은 최근 시 주석의 집권 2기를 공식화한 공산당 대회 개최를 기점으로 논의가 급물살을 탄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이 '3불(不)정책(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 편입, 사드 추가 배치 검토, 한·미·일 군사 동맹 등 불가)' 표명한 뒤, 두 나라가 사드(THAAD) 갈등을 봉합하기로 합의하면서 어렵게 성사됐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