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 국민 검사 어렵다…검사량 초과시 결과 확인 늦어질수도"

기사등록 2020/12/25 13:57:10

"하루 13만건 가능…외국은 결과 나오는 데 1주 이상도"

"신속항원검사 도입시 검사체계 흔들릴 가능성도 있어"

[서울=뉴시스]배훈식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열흘째 사망자수가 두 자릿수를 이어간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중구 임시 선별 검사소에서 방호복을 입은 의료진이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2020.12.24. dahora83@newsis.com
[서울=뉴시스]배훈식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열흘째 사망자수가 두 자릿수를 이어간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중구 임시 선별 검사소에서 방호복을 입은 의료진이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2020.12.24.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임재희 기자 = 서울 서초구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민 진단검사 계획을 발표하면서 제기된 전 국민 검사 주장에 대해 정부는 한계가 있다며 난색을 표했다. 하루 13만건까지 가능하지만 이를 초과하면 검사 결과를 확인하는 데 시간이 지체될 수 있고 결과가 빨리 나오는 신속항원검사는 '가짜 음성' 등 되레 혼란을 부채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윤태호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2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전 국민 진단검사와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윤 반장은 "하루 처리 가능한 검사 건수가 현재로서는 13만건 정도 된다"며 "이보다 더 많은 경우 검사는 할 수 있지만 결과를 기다리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려 그것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진단검사 방법인 비인두도말 유전자 증폭(PCR) 검사의 경우 검사 결과가 6시간에서 하루 안에 확인되지만 확진자그 급증한 외국의 경우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1주 이상 걸리는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는 게 윤 반장 설명이다.

이에 PCR 검사는 우선순위를 정해 감염 가능성이 높거나 감염시 위험한 집단부터 진행하는 게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윤 반장은 "모든 국민들에게 PCR검사는 하기가 어려운 측면들이 있을 것 같다"며 "수도권과 같이 지역사회 감염, 잠재적인 감염이 많다고 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이번에 임시선별검사소를 했던 것처럼 단기간에 조치가 취해질 필요가 있지만 전국 모든 국민들에게 PCR 검사를 하는 부분들은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 서초구는 내년 2월 말까지 전체 주민을 대상으로 한 전수 검사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달 29일부터 18개 동 전체 주민센터에 선별검사소를 추가로 설치해 기존 7개소까지 25개소에서 하루 최대 7000명 이상, 43만명을 검사하겠다는 것이다. 검사 방식은 침을 검체로 하는 타액 PCR과 비인두도말 PCR이 병행된다.

여야 정치권에선 예정부터 신속항원검사 진단도구를 전 국민에 보급해 전 국민을 검사하자는 주장이 제기돼왔지만 방역당국은 검사의 정확도 등을 이유로 반대해왔다. 가짜 음성이 나올 가능성이 있는데 이 경우 본인은 음성이라고 생각해 일상생활을 하면서 자칫 잠복감염이 확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현재 시중에 나온 신속항원검사는 숙련된 검체 채취 인력이 필요한 비인두도말 방식이어서 자가 검사가 어렵다.

윤 반장은 "일부에서는 스스로 검체 채취를 해 확인하면 되지 않느냐 하는 의견들도 있지만 정확성이 떨어지고 가짜 음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상당히 존재한다"며 "이것으로 인해 전반적인 검사체계가 흔들리게 되는 가능성들도 같이 고려해 우선순위에 근거한 효과적인 검사 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는 부분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정부 "전 국민 검사 어렵다…검사량 초과시 결과 확인 늦어질수도"

기사등록 2020/12/25 13:57:10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