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의회, 5분 발언 정책 제안 봇물…"시정 전환 필요"

기사등록 2025/06/11 13:33:57

이정자·김영자·최승선·김승일·전수관 의원

인구·환경·안전·농업·국정 대응 등 다양한 분야 제안

김제시의회 본회의 전경(사진=뉴시스DB) *재판매 및 DB 금지
김제시의회 본회의 전경(사진=뉴시스DB) *재판매 및 DB 금지
[김제=뉴시스]고석중 기자 = 전북자치도 김제시의회가 11일 '제290회 정례회 본회의'에서 지역 현안 전반에 대한 활발한 정책 제안을 쏟아내 주목받고 있다.

이정자, 김영자, 최승선, 김승일, 전수관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인구 유입, 지반 침하 대응, 공공기관 이전 전략, 농업 지원, 국정 기조 대응 등을 주제로 실효성 있는 대책을 제시했다.

◇김제형 인구 유입·자원순환 정책 필요

이정자 의원은 귀촌 체험 프로그램인 ‘김제 살아보기’와 ‘빈 병 회수 체계 개선’을 주요 내용으로 한 복합 정책을 제안했다.

이 의원은 "청년 유출과 고령화가 맞물린 김제의 현실을 반영한 체류형 정주 유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며 완주군·원주시 사례를 언급하고, 1주일·1달 단위의 차별화된 체험 프로그램 도입과 함께 고향사랑기부제 연계, SNS 콘텐츠 제작 지원 등 아이디어도 함께 제시했다.

또 현행 빈 병 회수 체계의 한계를 지적하며, 공영주차장 등을 활용한 고정 수거소 설치, 24시간 무인 회수기 운영 등을 대안으로 제시해 자원 순환률 제고와 시민 불편 해소를 강조했다.

◇지반침하 선제 대응책 마련 시급

김영자 의원은 전국적으로 빈발하는 지반침하(싱크홀) 사고와 관련해 김제시도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지반침하는 자연재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실시공·노후 인프라 등 인재(人災) 요소가 많다"고 강조하며, 김제시의 도시 확장 및 지하 공사 증가로 사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서울시 중구의 '위성 기반 지반침하 조기감지 시스템' 사례를 소개하며, 관련 시스템 도입과 도시계획 단계부터의 지반 안정성 평가 의무화를 촉구했다.

◇공공기관 이전, 김제형 전략 필요

최승선 의원은 정부의 제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계획에 대비한 선제 대응 전략 수립을 주문했다.

최 의원은 "공공기관 이전의 성패는 지역산업과의 연계성, 정주 여건, 디지털 인프라 구축 여부에 달려 있다"고 강조하며, 농생명·에너지·미래 모빌리티 등 김제 특화산업과의 연계, 가족친화형 정착 프로그램, 디지털 인프라 강화를 3대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특히 핀란드 오울루시 사례를 들어, 김제를 ‘디지털·문화 기반 융합도시’로 전환시켜 공공기관 유치의 질적 전환을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필수농자재 구매 바우처 도입 촉구

김승일 의원은 농업 경영 환경 악화를 언급하며, 실효성 있는 지원 정책으로 '필수농자재 바우처 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농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자율성 기반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지역 내 농자재 구매가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된 바우처 제도를 통해 농가 부담을 경감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도 도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광역 단위 획일화된 품목 지정, 소농 중심의 미흡한 지원 등 기존 조례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하며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국정 변화에 능동적 시정 전환 필요

전수관 의원은 이재명 정부의 ‘실용·민생’, ‘지방분권’ 국정 방향에 발맞춘 김제시의 대응 전략을 제안했다.

전 의원은 "김제가 기회의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전략적 공모사업 대응 체계, 시민 참여형 정책 실행 체계 구축, 농생명산업 수도 육성, 김제형 기본사회 모델 선도 도입, 초당적 협치 시스템 구축 등 5대 전략을 제시했다.

시의회 관계자는 "이번 정례회에서 의원 개개인이 실질적인 정책 제안과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함께 제시하며, 시정의 실효성과 시민 체감도를 높이는 데 앞장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김제시의회, 5분 발언 정책 제안 봇물…"시정 전환 필요"

기사등록 2025/06/11 13:33:57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