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 "배양육 '마블링' 실현 가능해"…세계 최초 개발

기사등록 2025/06/10 10:23:55

근육·지방 세포 자유롭게 배치…실제 고기와 유사한 식감·외형 구현

자연 유래 바이오 고분자 기반 지지체 통해 친환경·대량생산 가능

ACS 응용 재료와 인터페이스(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게재

(왼쪽부터) 람 탄 하오(Lam Tan Hao) 박사후연구원(1저자, 한국화학연구원), 오동엽 교수(교신저자, 인하대), 김효정 선임연구원(교신저자, 한국화학연구원), 박제영 교수(교신저자, 서강대). (사진=서강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왼쪽부터) 람 탄 하오(Lam Tan Hao) 박사후연구원(1저자, 한국화학연구원), 오동엽 교수(교신저자, 인하대), 김효정 선임연구원(교신저자, 한국화학연구원), 박제영 교수(교신저자, 서강대). (사진=서강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전수현 인턴 기자 =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 박제영 교수는 인하대 오동엽 교수, 한국화학연구원 김효정 박사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실제 고기와 같은 '마블링'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자가치유형 지지체(Self-healing Scaffold)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지금까지의 배양육은 근육과 지방이 따로 배양돼 서로 결합되지 못했고 이러한 구조적 한계로 인해 마블링이 없고 단조로운 식감을 지닌 제품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스스로 회복하는 고분자 지지체를 통해 근육과 지방 세포를 원하는 위치에 배열했다. 또한 실제 고기와 유사한 외형과 식감을 갖는 배양육 조직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생리적 조건(37℃, 수분, 영양분 등)에서도 스스로 복원되는 '자가치유 고분자 스캐폴드'를 개발했다. 해당 스캐폴드는 원하는 모양으로 자유롭게 형상화할 수 있다.

더해 각 구조에 근육 또는 지방 세포를 별도로 배양한 뒤, 레고 블록처럼 조립하는 방식으로 마블링 조직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복잡한 인쇄나 접착 공정 없이도 자연스러운 계면 형성과 고정이 가능하며, 센티미터급의 대형 조직 제작이나 모듈화된 대량생산에도 유리한 구조다. 또 배양육 상용화를 위한 생산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자가치유형 지지체로부터 '마블링' 배양육 제조 방법 소개 및 기존의 공동배양(co-culture) 및 단독배양(monoculture) 방식의 단점 비교. (사진=서강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자가치유형 지지체로부터 '마블링' 배양육 제조 방법 소개 및 기존의 공동배양(co-culture) 및 단독배양(monoculture) 방식의 단점 비교. (사진=서강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해당 지지체는 보로닉산 작용기를 화학적으로 도입한 키토산(ChsB(OH)과 폴리비닐알코올(PVA) 간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된 하이드로겔로, 이들 간의 시스-디올 결합 및 수소결합을 통해 형성된 이중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동적 결합은 중성 pH에서도 자가치유 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조직화된 세포 구조의 안정적인 접합을 유도한다.

이번 기술에서 주목할 점은 소위 말하는 고기결 모양인 '마블링'을 실제로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기 특유의 씹는 맛과 육즙은 근육과 지방이 불규칙적으로 배치된 구조에서 비롯되는데, 연구팀의 스캐폴드는 이런 복잡한 구조를 모사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세포 정렬성과 조직 안정성을 보인다.

해당 기술은 산업 현장에서도 실현 가능성이 크다. 연구팀은 기존 배양육 제조 라인에도 적용 가능한 공정을 개발했으며, 스캐폴드 소재는 비교적 저가의 원료로 제조 가능해 대량 생산에도 유리하다.

이는 고기 한 덩이 가격이 수십만 원에 이르던 초기 배양육의 상용화 장벽을 크게 낮춰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진짜 고기의 조직감과 맛을 구현하려면, 단순히 세포를 키우는 것을 넘어 복잡한 조직 구조를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자가치유형 스캐폴드는 바로 그 열쇠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서강대 "배양육 '마블링' 실현 가능해"…세계 최초 개발

기사등록 2025/06/10 10:23:55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