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1Q 영업익 6.9조" 상향
1분기 HBM 비중 커졌을 듯
D램 시장 1위 효과 반영 주목
![[이천=뉴시스] 김종택 기자 = 사진은 이날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모습. 2024.07.25. jtk@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4/07/25/NISI20240725_0020428015_web.jpg?rnd=20240725132822)
[이천=뉴시스] 김종택 기자 = 사진은 이날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모습. 2024.07.2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SK하이닉스의 올해 1분기 실적 발표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시장에서는 실적 눈높이를 계속 올려잡고 있다. 고대역폭메모리(HBM)의 판매 비중을 늘린데다 전체 D램 시장에서도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1분기 호실적을 낼 전망이다.
SK하이닉스가 시장 전망치에 부합하거나 상회하는 실적을 내면 삼성전자 전체 영업이익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오는 24일 올해 1분기 실적 발표 및 콘퍼런스콜(전화회의)을 진행할 예정이다.
증권가는 SK하이닉스의 실적 전망치를 잇달아 상향 조정하고 있다. DS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의 1분기 매출액을 17조6000억원, 영업이익을 6조9000억원으로 내다봤다. 영업이익의 경우 기존 컨센서스(시장 전망치 평균)인 6조5000억원을 5% 상회하는 수치다.
김진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관세 리스크가 부각될수록 고성능 메모리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확보한 SK하이닉스의 실적 안정성이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SK증권은 SK하이닉스의 1분기 영업이익이 6조700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한투자증권도 영업이익 6조8000억원으로 컨센서스를 크게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한동희 SK증권 연구원은 "비수기에도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HBM 및 선단공정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고 이구환신(중국 소비 진작책) 효과, 풀인 수요에 따라 레거시 제품 수요도 기대를 상회했다"고 전했다.
고부가 제품인 HBM 매출 비중이 최근 크게 커지고 있다는 점도 호실적의 배경으로 꼽힌다. SK하이닉스의 매출 가운데 HBM 비중은 지난해 4분기 40%를 넘겼다. 1분기에는 40% 중반까지 다다랐을 것으로 추정된다.
1분기는 반도체 업계 전반이 전통적인 비수기이지만 AI 시장 확대에 힘입어 HBM 효과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SK하이닉스가 1분기 전체 D램 시장에서 점유율 1위에 처음 오른 것을 감안하면 실적은 더 개선될 수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1분기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는 매출액 기준 점유율 36%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34%, 마이크론은 25%로 뒤를 이었다.
HBM을 제외한 고부가 D램 제품인 'DDR5', 'LPDDR5' 등에서 판매 성장 폭을 얼마나 확대했을 지가 관건이다.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이 시장 전망치에 부합하거나 상회한다면 삼성전자의 전체 영업이익을 뛰어넘을 수도 있다. 삼성전자의 1분기 잠정 영업이익은 6조6000억원이다.
SK하이닉스의 2분기 실적도 DDR5 등 메모리 가격 반등에 따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DS투자증권은 "2분기 DDR5 가격이 반등할 것으로 추정한다"며 "2분기 D램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7조4000억원에서 8조원으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가 시장 전망치에 부합하거나 상회하는 실적을 내면 삼성전자 전체 영업이익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오는 24일 올해 1분기 실적 발표 및 콘퍼런스콜(전화회의)을 진행할 예정이다.
증권가는 SK하이닉스의 실적 전망치를 잇달아 상향 조정하고 있다. DS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의 1분기 매출액을 17조6000억원, 영업이익을 6조9000억원으로 내다봤다. 영업이익의 경우 기존 컨센서스(시장 전망치 평균)인 6조5000억원을 5% 상회하는 수치다.
김진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관세 리스크가 부각될수록 고성능 메모리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확보한 SK하이닉스의 실적 안정성이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SK증권은 SK하이닉스의 1분기 영업이익이 6조700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한투자증권도 영업이익 6조8000억원으로 컨센서스를 크게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한동희 SK증권 연구원은 "비수기에도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HBM 및 선단공정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고 이구환신(중국 소비 진작책) 효과, 풀인 수요에 따라 레거시 제품 수요도 기대를 상회했다"고 전했다.
고부가 제품인 HBM 매출 비중이 최근 크게 커지고 있다는 점도 호실적의 배경으로 꼽힌다. SK하이닉스의 매출 가운데 HBM 비중은 지난해 4분기 40%를 넘겼다. 1분기에는 40% 중반까지 다다랐을 것으로 추정된다.
1분기는 반도체 업계 전반이 전통적인 비수기이지만 AI 시장 확대에 힘입어 HBM 효과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SK하이닉스가 1분기 전체 D램 시장에서 점유율 1위에 처음 오른 것을 감안하면 실적은 더 개선될 수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1분기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는 매출액 기준 점유율 36%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34%, 마이크론은 25%로 뒤를 이었다.
HBM을 제외한 고부가 D램 제품인 'DDR5', 'LPDDR5' 등에서 판매 성장 폭을 얼마나 확대했을 지가 관건이다.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이 시장 전망치에 부합하거나 상회한다면 삼성전자의 전체 영업이익을 뛰어넘을 수도 있다. 삼성전자의 1분기 잠정 영업이익은 6조6000억원이다.
SK하이닉스의 2분기 실적도 DDR5 등 메모리 가격 반등에 따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DS투자증권은 "2분기 DDR5 가격이 반등할 것으로 추정한다"며 "2분기 D램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7조4000억원에서 8조원으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 (사진=카운터포인트러서치 제공) 2025.04.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09/NISI20250409_0001813422_web.jpg?rnd=20250409144226)
[서울=뉴시스]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 (사진=카운터포인트러서치 제공) 2025.04.0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