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각사지 가마터 2차 발굴조사
동아시아 구들식 가마연구에 중요 자료로 평가
[군위=뉴시스] 김진호 기자 = 대구시 군위군 인각사지에서 통일신라시대 기와가마가 추가 발견됐다.
군위군은 인각사지 가마터에 대한 2차 발굴조사 결과 통일신라시대 구들식 기와가마 1기, 소성유구 1기 등이 새롭게 발견됐다고 28일 밝혔다.
군은 지난해 인각사지 동쪽 100m 구릉지 1823㎡를 조사해 통일신라부터 조선시대에 걸친 기와가마와 다양한 유구를 발굴한 바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생산 유적이 추가 확인될 가능성이 있는 구릉지 300㎡를 대상으로 확대 진행됐다.
인각사지 가마터에서는 2차례에 걸친 조사 결과 통일신라 시대 구들식 기와가마 2기, 고려시대 기와가마 3기, 조선시대 대형 기와가마 1기, 삼가마 1기, 석렬 3기 등의 유구가 최종 확인됐다.
군위군은 인각사지 가마터에 대한 2차 발굴조사 결과 통일신라시대 구들식 기와가마 1기, 소성유구 1기 등이 새롭게 발견됐다고 28일 밝혔다.
군은 지난해 인각사지 동쪽 100m 구릉지 1823㎡를 조사해 통일신라부터 조선시대에 걸친 기와가마와 다양한 유구를 발굴한 바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생산 유적이 추가 확인될 가능성이 있는 구릉지 300㎡를 대상으로 확대 진행됐다.
인각사지 가마터에서는 2차례에 걸친 조사 결과 통일신라 시대 구들식 기와가마 2기, 고려시대 기와가마 3기, 조선시대 대형 기와가마 1기, 삼가마 1기, 석렬 3기 등의 유구가 최종 확인됐다.
암막새, 평기와, 적새 등 기와 제작과 관련된 다량의 유물도 출토되면서 인각사 규모와 함께 기와 생산유적과 건축유적 간 긴밀한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게 됐다.
이번 조사에서 발굴된 기와가마들은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다양한 구조적 특징을 보여준다.
조사지역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시간 흐름에 따라 이동해 조성된 독특한 양상을 보였다.
인각사 창건과 중창 시기 발전 방향과도 일치하며, 유적 연속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단서가 됐다.
이번 조사에서 발굴된 기와가마들은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다양한 구조적 특징을 보여준다.
조사지역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시간 흐름에 따라 이동해 조성된 독특한 양상을 보였다.
인각사 창건과 중창 시기 발전 방향과도 일치하며, 유적 연속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단서가 됐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통일신라 구들식 기와가마는 국내에서도 매우 희귀한 사례로, 인각사지에서는 완벽한 형태의 총 2기가 확인됐다.
이는 동아시아 구들식 가마 연구에 있어 중요한 학술적 자료로 평가되며, 당시 생산 기술과 문화적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로 주목받는다.
군위군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각사 사적지 지정 범위를 확대하고, 발굴된 유적의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진열 군위군수는 "이번 발굴조사는 삼국유사 산실인 인각사의 역사적 가치를 다시 한번 재확인한 중요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인각사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그 가치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이는 동아시아 구들식 가마 연구에 있어 중요한 학술적 자료로 평가되며, 당시 생산 기술과 문화적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로 주목받는다.
군위군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각사 사적지 지정 범위를 확대하고, 발굴된 유적의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진열 군위군수는 "이번 발굴조사는 삼국유사 산실인 인각사의 역사적 가치를 다시 한번 재확인한 중요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인각사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그 가치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