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지선정위원회 그린벨트 지역 2곳은 제외
현장 실사 한 뒤 순위 발표…환경부에 제출
[광주=뉴시스] 류형근 기자 = 광주시가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후보지 6곳 중 2곳을 제외하고 현장 실사(입지 타당성 조사) 등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가 13일 후보지 6곳에 대해 적정성 평가 등을 진행한 뒤 4곳을 실사 후보지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입지 타당성 조사 후보지로 선정된 4곳은 광산구 동산동·삼거동·지평동 등 3곳, 서구 서창동 1곳이다.
광산구 동산동은 300m 이내 거주세대가 없으며 삼거동과 지평동·서구 서창동은 각각 88가구·3가구·16가구 있으며 절반 이상이 자원회수시설에 동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남구 양과동과 광산구 동산동은 그린벨트 지역으로 환경영향평가등급 1·2등급이 70% 이상 포함돼 제외됐다.
입지선정위는 조사대상 4개소에 대해 광주시보, 누리집, 일간지 등에 공고한 뒤 현장 방문과 평가절차를 거쳐 최종 입지후보지 순위를 확정할 예정이다.
조사 과정과 결과를 시민이 열람할 수 있도록 공고하고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 후보지를 환경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6개월~9개월동안 후보지에 대해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한 뒤 내년 9월께 광주 자원회수시설 설치 지역으로 발표한다.
광주시는 해당 지역을 '입지 결정 고시'하고 3240억원을 들여 하루 650t의 생활 쓰레기 등을 소각할 수 있는 시설 공사를 추진해 2030년 가동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가 13일 후보지 6곳에 대해 적정성 평가 등을 진행한 뒤 4곳을 실사 후보지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입지 타당성 조사 후보지로 선정된 4곳은 광산구 동산동·삼거동·지평동 등 3곳, 서구 서창동 1곳이다.
광산구 동산동은 300m 이내 거주세대가 없으며 삼거동과 지평동·서구 서창동은 각각 88가구·3가구·16가구 있으며 절반 이상이 자원회수시설에 동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남구 양과동과 광산구 동산동은 그린벨트 지역으로 환경영향평가등급 1·2등급이 70% 이상 포함돼 제외됐다.
입지선정위는 조사대상 4개소에 대해 광주시보, 누리집, 일간지 등에 공고한 뒤 현장 방문과 평가절차를 거쳐 최종 입지후보지 순위를 확정할 예정이다.
조사 과정과 결과를 시민이 열람할 수 있도록 공고하고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 후보지를 환경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6개월~9개월동안 후보지에 대해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한 뒤 내년 9월께 광주 자원회수시설 설치 지역으로 발표한다.
광주시는 해당 지역을 '입지 결정 고시'하고 3240억원을 들여 하루 650t의 생활 쓰레기 등을 소각할 수 있는 시설 공사를 추진해 2030년 가동할 계획이다.
하지만 자원회수시설이 들어서는 후보지가 구체적으로 공개됨에 따라 인근 지역민의 반발도 예상돼 주민설득이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날에도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시농민회는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시가 농촌지역에 자원회수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일방적으로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발전과 지원금을 내세워 주민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며 중단을 요구했다.
앞서 지난 6월에도 광주시는 자원회수시설 공모를 진행하고 후보지 3곳을 선정했지만 주민들이 강력 반발해 계획을 철회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각 자치구가 시에 제출한 후보지역은 사전에 300m 이내 마을 거주민의 동의를 받았다"며 "법정 규정을 벗어난 지역민도 반대를 할 수 있는 만큼 환경유해 시설이 아니라는 점을 충분히 설명하며 설득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어 "자원회수시설이 2030년까지 설치되지 않으면 광주지역 쓰레기는 매년 100억원의 이상의 비용을 들여 타지역에 의뢰해 처리해야 한다"며 "설치지역민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광주시는 자원회수시설을 설치하는 지역에는 편익시설 설치비 600억원 이상, 특별 지원금 500억원 등 1100억원 이상을 지원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실제 이날에도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시농민회는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시가 농촌지역에 자원회수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일방적으로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발전과 지원금을 내세워 주민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며 중단을 요구했다.
앞서 지난 6월에도 광주시는 자원회수시설 공모를 진행하고 후보지 3곳을 선정했지만 주민들이 강력 반발해 계획을 철회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각 자치구가 시에 제출한 후보지역은 사전에 300m 이내 마을 거주민의 동의를 받았다"며 "법정 규정을 벗어난 지역민도 반대를 할 수 있는 만큼 환경유해 시설이 아니라는 점을 충분히 설명하며 설득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어 "자원회수시설이 2030년까지 설치되지 않으면 광주지역 쓰레기는 매년 100억원의 이상의 비용을 들여 타지역에 의뢰해 처리해야 한다"며 "설치지역민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광주시는 자원회수시설을 설치하는 지역에는 편익시설 설치비 600억원 이상, 특별 지원금 500억원 등 1100억원 이상을 지원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