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코앞인데 폭염주의보…탈수 못 느끼는 고령층 위험

기사등록 2024/09/11 08:01:00

최종수정 2024/09/11 08:28:24

고령층, 뇌 갈증 중추 잘 작용하지 않아 탈수 인식 어려워

탈수 계속되면 신장·간·뇌와 같은 내부 기관의 심각한 손상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부산 전 지역에 폭염경보가 발효 중인 지난달 7일 해운대구의 한 도로에서 아지랑이가 피어 오르고 있다.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2024.08.07. yulnetphoto@newsis.com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부산 전 지역에 폭염경보가 발효 중인 지난달 7일 해운대구의 한 도로에서 아지랑이가 피어 오르고 있다.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2024.08.0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추석 명절이 무색하게 폭염 주의보가 발효되면서 의료계에서 충분한 수분 섭취에 대한 당부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뇌의 갈증 중추가 무뎌지는 고령층은 더욱 주의할 필요가 있다.

11일 의료계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인체가 섭취하는 것보다 더 많은 수분을 소실할 때 탈수가 발생한다.

구토와 설사, 심한 땀 흘림, 수분섭취 감소가 탈수를 일으킬 수 있다. 여름철과 같이 기온 자체가 높으면 우리 몸은 가만히 앉아 있어도 계속 땀을 흘린다. 이 때 충분한 수분 공급이 없다면 면역력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탈수는 고령층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탈수는 뇌의 갈증 중추를 자극해 사람들이 수분을 공급하도록 갈증을 유발한다. 그러나 고령의 갈증 중추는 젊은 사람들보다 잘 작용하지 않아 탈수를 인식하기 어렵다. 당뇨병과 같이 만성질환을 앓고 있어도 소변 배설을 증가시켜 탈수를 일으킬 수 있다.

물 대신 커피, 차, 주스로 대체해 마시는 경우도 있지만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는 이뇨 작용을 가지고 있어 오히려 탈수를 일으킨다.

치매 또는 자신을 돌볼 수 있는 능력을 저하시키는 기타 정신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수분섭취에 소홀할 수 있다. 일부 고령층은 밤에 화장실을 가기 위해 잠에서 깨는 것을 원하지 않거나, 요실금에 대한 두려움으로 수분을 적게 마시기도 한다.

우리 몸은 땀과 호흡, 소변으로 매일 1리터 이상 수분을 잃어버린다. 경도의 탈수는 체중이 3~5% 줄어든 상태로 피부 긴장도는 감소하나 소변량은 유지되는 상태이다. 갈증이 느껴지고 땀이 감소하게 된다. 중증 탈수에서는 갈증 감각이 실제로 감소하고 혈압이 떨어지며 기립시 몽롱함이나 실신을 일으킬 수 있다.

평소 하던 움직임이 힘들고 무기력함이 느껴지며 입맛이 떨어진다. 식욕이 떨어지면 음식을 통해 염분과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해 탈수가 유발된다. 탈수가 계속되면 신장과 간, 뇌와 같은 내부 기관의 심각한 손상이 일어난다. 뇌세포는 중증 탈수에 특히 취약하며, 매우 심각한 탈수는 혼수 및 사망으로도 이어진다.

탈수를 예방하려면 수시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더울 시간에 야외활동을 할 경우에는 20분마다 한 컵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탈수를 유발하는 알코올이나 카페인은 멀리하는 것이 좋다. 체감 온도가 크게 올라가는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야외 활동을 피하고 비닐하우스 안에서 하는 작업은 삼가야 한다.

세란병원 내과 장준희 부장은 "고령층은 온열질환, 탈수를 인식하지 못해 젊은 사람들보다 건강 문제를 겪을 확률이 높다"며 "무더운 날에는 숨을 쉬고 땀을 흘리는 것만으로도 수분 손실이 크기 때문에 고령의 부모님이나 거동이 불편한 고령층이 충분한 물을 섭취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고령층은 평소 앓고 있던 질환의 영향으로도 체온 유지와 땀 배출 조절 능력이 떨어져 탈수 등 온열질환에 훨씬 취약하다"며 "탈수는 치료하는 것보다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온음료는 전해질이 적고 당분만 많이 섭취할 수 있으니 주의하고 탈수를 유발하는 카페인 섭취는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추석 코앞인데 폭염주의보…탈수 못 느끼는 고령층 위험

기사등록 2024/09/11 08:01:00 최초수정 2024/09/11 08:28:24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