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의사협회 '집단휴진' 총궐기대회 예고
의협 투표 "휴진 참여하겠나" 찬성 73.5%
정부에 휴진 신고한 의료기관 4.02% 불과
복지부, 서울시 '문 여는 병·의원' 정보 제공
[서울=뉴시스] 박영주 기자 = 의료계의 집단휴진이 예고된 18일, 실제로 문을 닫는 병·의원 규모가 얼마나 될지 관심이 쏠린다.
사전 휴진신고율이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는 점, 의료계 내부에서도 공개적인 불참 목소리가 나오는 등 전반적으로 여론이 집단휴진에 부정적이라는 점 등에서 생각보다 실제 휴진 규모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문을 여는 병·의원 정보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제공하기로 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날 대규모 의사 총궐기 대회를 열고 집단휴진에 들어가기로 했다.
참여 의향에 대한 의협 내 투표 결과와 정부에 제출된 휴진 신고율은 크게 엇갈린다.
의협이 지난 4일부터 나흘 간 의대교수, 개원의, 봉직의, 전공의 등을 대상으로 진행된 총파업 투표 결과에 따르면 총 유권자 11만1861명 중 7만800명이 투표에 참여해 투표율 63.3%로 집계됐다. 투표 인원 중 90.6%가 강경한 투쟁에 대해 찬성했다. 또 "6월 중 휴진을 포함한 단체행동에 참여하겠느냐"는 물음에 5만2015명이 찬성해 73.5%의 찬성률을 보였다.
반면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휴진을 하겠다고 신고를 해온 의료기관은 전체 3만6371개소 중 1463개소로 4.02%에 불과하다. 정부는 지자체별로 휴진율이 30%를 넘어가면 후속조치를 위해 공무원 등을 현장에 파견하기로 했는데, 이 기준에 현저히 미치지 못하는 미미한 수준인 것이다. 다만, 휴진 신고를 하지 않고 당일 휴진을 하는 의료기관이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
일반 여론을 포함, 집단휴진을 바라보는 전반적인 기류는 좋지 않은 편이다.
일단 같은 의료계 내부에서도 휴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목소리가 공개적으로 나온 상황이다.
지난 14일 오전 전국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입장문을 통해 "협의체 차원에서 의협의 단체 휴진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 전날에는 전국 분만 병·의원 140여 곳이 속해 있는 대한분만병의원협회와 전국 120여 곳 아동병원이 속한 대한아동병원협회,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들로 구성된 대한마취통증의학회 등이 집단 휴진 불참을 선언했다.
이들은 정부의 의대 증원을 포함한 의료개혁에 전적으로 찬성하는 것은 아니지만, 환자 피해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사전 휴진신고율이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는 점, 의료계 내부에서도 공개적인 불참 목소리가 나오는 등 전반적으로 여론이 집단휴진에 부정적이라는 점 등에서 생각보다 실제 휴진 규모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문을 여는 병·의원 정보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제공하기로 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날 대규모 의사 총궐기 대회를 열고 집단휴진에 들어가기로 했다.
참여 의향에 대한 의협 내 투표 결과와 정부에 제출된 휴진 신고율은 크게 엇갈린다.
의협이 지난 4일부터 나흘 간 의대교수, 개원의, 봉직의, 전공의 등을 대상으로 진행된 총파업 투표 결과에 따르면 총 유권자 11만1861명 중 7만800명이 투표에 참여해 투표율 63.3%로 집계됐다. 투표 인원 중 90.6%가 강경한 투쟁에 대해 찬성했다. 또 "6월 중 휴진을 포함한 단체행동에 참여하겠느냐"는 물음에 5만2015명이 찬성해 73.5%의 찬성률을 보였다.
반면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휴진을 하겠다고 신고를 해온 의료기관은 전체 3만6371개소 중 1463개소로 4.02%에 불과하다. 정부는 지자체별로 휴진율이 30%를 넘어가면 후속조치를 위해 공무원 등을 현장에 파견하기로 했는데, 이 기준에 현저히 미치지 못하는 미미한 수준인 것이다. 다만, 휴진 신고를 하지 않고 당일 휴진을 하는 의료기관이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
일반 여론을 포함, 집단휴진을 바라보는 전반적인 기류는 좋지 않은 편이다.
일단 같은 의료계 내부에서도 휴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목소리가 공개적으로 나온 상황이다.
지난 14일 오전 전국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입장문을 통해 "협의체 차원에서 의협의 단체 휴진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 전날에는 전국 분만 병·의원 140여 곳이 속해 있는 대한분만병의원협회와 전국 120여 곳 아동병원이 속한 대한아동병원협회,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들로 구성된 대한마취통증의학회 등이 집단 휴진 불참을 선언했다.
이들은 정부의 의대 증원을 포함한 의료개혁에 전적으로 찬성하는 것은 아니지만, 환자 피해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와 지자체는 '문 여는 병·의원' 정보를 국민들에게 직접 알리기로 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동네 문 여는 병·의원은 인터넷과 전화로 확인할 수 있다.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 129(복건복지콜센터), 119(구급상황관리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1644-2000) 콜센터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인터넷 또는 앱으로 확인을 희망하는 경우 응급의료포털 홈페이지에 접속해 시·도/시·군·구/동을 선택한 후 의료기관·진료과목·진료일을 선택한 후 검색하면 된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소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문 여는 병·의원 안내' 배너를 누르면 응급의료포털 홈페이지로 연결된다.
응급의료정보제공(E-Gen) 앱 설치 및 접속해 병·의원을 누른 후 장소 주소를 검색해도 문 여는 병원을 확인할 수 있다.
비대면 진료의 경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접속해 중앙의 '비대면 진료 시범 사업 진료기관'을 클릭하거나 '의료정보' 탭을 클릭하고 '특수운영기관 정보'를 선택한 뒤 '비대면 진료 시범 사업'을 선택하면 된다.
서울시 역시 이날부터 매일 의료기관의 휴진 여부와 진료시간을 확인해 '문 여는 병·의원(www.e-gen.or.kr)'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개한다.
야간 응급환자는 응급실에서 신속하게 진료 받고, 경증환자는 가까운 병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야간휴일 진료가능 병·의원' 92곳에 대한 정보도 지속 안내한다.
야간휴일 의료기관은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과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 모바일앱 응급의료정보제공(e-gen)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화 120(다산콜센터),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
시는 응급상황 대응을 위해 병원별 운영 현황과 상태 등을 확인하고, 119구급대와 긴밀히 소통해 응급상황 발생 시 원활한 병원 이송을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복지부에 따르면 동네 문 여는 병·의원은 인터넷과 전화로 확인할 수 있다.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 129(복건복지콜센터), 119(구급상황관리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1644-2000) 콜센터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인터넷 또는 앱으로 확인을 희망하는 경우 응급의료포털 홈페이지에 접속해 시·도/시·군·구/동을 선택한 후 의료기관·진료과목·진료일을 선택한 후 검색하면 된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소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문 여는 병·의원 안내' 배너를 누르면 응급의료포털 홈페이지로 연결된다.
응급의료정보제공(E-Gen) 앱 설치 및 접속해 병·의원을 누른 후 장소 주소를 검색해도 문 여는 병원을 확인할 수 있다.
비대면 진료의 경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접속해 중앙의 '비대면 진료 시범 사업 진료기관'을 클릭하거나 '의료정보' 탭을 클릭하고 '특수운영기관 정보'를 선택한 뒤 '비대면 진료 시범 사업'을 선택하면 된다.
서울시 역시 이날부터 매일 의료기관의 휴진 여부와 진료시간을 확인해 '문 여는 병·의원(www.e-gen.or.kr)'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개한다.
야간 응급환자는 응급실에서 신속하게 진료 받고, 경증환자는 가까운 병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야간휴일 진료가능 병·의원' 92곳에 대한 정보도 지속 안내한다.
야간휴일 의료기관은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과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 모바일앱 응급의료정보제공(e-gen)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화 120(다산콜센터),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
시는 응급상황 대응을 위해 병원별 운영 현황과 상태 등을 확인하고, 119구급대와 긴밀히 소통해 응급상황 발생 시 원활한 병원 이송을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