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반도체 '원팀'…美 보조금·인력난, 어떻게 넘나?

기사등록 2024/02/28 06:00:00

최종수정 2024/02/28 06:15:28

美·日, 수조원 지원…'예산 확대' 선결과제

"인력 없어 반도체 생산 못 할 우려도"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반도체 산업 초격차 확보를 위한 민-관 반도체 전략 간담회에서 기념촬영을 마치고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2024.02.26. kch0523@newsis.com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반도체 산업 초격차 확보를 위한 민-관 반도체 전략 간담회에서 기념촬영을 마치고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2024.02.2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정부와 반도체 기업들이 '원팀(One Team)'으로 차세대 반도체 패권 경쟁에 뛰어들기로 한 가운데, 부족한 국내 지원 예산과 인력을 우선 손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6일 열린 '민·관 반도체 전략 간담회'에서 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부와 기업이 원팀이 돼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자"며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시장 선점을 위한 공동 대응을 강조했다.

안 장관은 이날 반도체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들과 '핫라인'을 개설하고, 사업 기간 단축을 위한 인허가 신속 추진 등을 약속했다. 또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계획'을 위한 후속 조치 점검에 대해 기업들과 논의했다.

최근 미국과 일본, 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차세대 반도체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만큼 정부도 이에 맞서 각종 지원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이런 가운데 반도체 업계에서는 관련 예산과 인력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본다.

올해 정부의 반도체 예산은 1조3000억원에 불과하며, 지난해 반도체 인프라 지원도 1000억원에 그쳤다.

반면, 미국은 반도체법을 통해 생산 보조금 390억 달러, 연구개발(R&D) 132억 달러 등 5년간 총 527억 달러(약 70조원)를 지원한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당초 예상보다 많은 600건의 투자의향서를 받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일본은 자국 반도체 기업인 라피더스의 홋카이도 공장에만 보조금 3300억엔(약 2조9000억원)을 지급한다. 또 다른 자국 기업인 키오시아와 미국의 웨스턴디지털(WD)이 지을 욧카이치 공장에는 2430억엔(약 2조1000억원)을 쏟아 붓는다.

대만도 오는 2027년까지 1000억 대만달러를 들여 1605㏊(헥타르) 부지에 대만판 실리콘밸리를 조성한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한국 기업들은 지난 26일 간담회에서 투자보조금 신설을 정부에 건의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조원을 지원하는 경쟁국들과 지원 격차를 줄이지 못하면 후발기업에 기술력까지 따라잡힐 수 있다"고 말했다.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국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K칩스법'(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3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K칩스법은 반도체 투자에 대한 세액 공제율을 대기업은 현행 8%에서 15%로, 중소기업은 16%에서 25%로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사진은 이날 공사가 진행중인 경기도 평택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모습. 2023.03.30. jtk@newsis.com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국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K칩스법'(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3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K칩스법은 반도체 투자에 대한 세액 공제율을 대기업은 현행 8%에서 15%로, 중소기업은 16%에서 25%로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사진은 이날 공사가 진행중인 경기도 평택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모습. 2023.03.30. [email protected]

이와 함께 반도체 인력난 문제도 기업들이 정부와 함께 해결해야 할 선결 과제로 꼽힌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인력은 오는 2031년 30만4000명이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5만4000여명이 부족할 전망이다. 매년 1600명의 인력이 필요하지만 대학의 전공 졸업생은 650명에 그친다.

기업들이 인력난 해소를 위해 개설한 대학의 계약학과는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삼성전자의 계약학과인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는 정시모집 정원 25명 중 55명(220%)이 등록을 포기했다. SK하이닉스의 계약학과인 고려대 반도체공학과는 10명 중 10명(100%) 모두 등록을 하지 않았다.

의대 쏠림 현상이 해마다 심화되는 만큼 앞으로 인력이 없어 첨단 반도체를 생산하지 못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규복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부회장은 "고급인력 육성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지방의 대학에도 반도체학과를 열어 설계, 패키징 등 전 공정에서 전문 인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반도체 전문 콘트롤타워를 꾸리고, 기업은 이와 밀착해 과제들을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민·관 반도체 '원팀'…美 보조금·인력난, 어떻게 넘나?

기사등록 2024/02/28 06:00:00 최초수정 2024/02/28 06:15:28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