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디트 스위스 '글로벌 부 보고서' 발간
세계 700억 갑부 26만명…1년 새 4만6천명↑
韓 백만장자 129만명…전년 比 11만6천명↑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순자산을 5000만 달러(약 698억원) 이상 보유한 초고액 자산가 '슈퍼리치'가 4000명 가까이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투자은행(IB) '크레디트 스위스'가 20일(현지시간) 공개한 '글로벌 부(富) 보고서 2022'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순자산 5000만 달러 이상 보유한 초고액 자산가(UHNW)는 388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 세계 11위에 해당한다.
순자산 5000만 달러 이상 보유한 초고액 자산가는 미국(14만1135명)이 가장 많았다. ▲중국(2위·3만2706명) ▲독일(3위·9724명) ▲캐나다(4위·5507명) ▲인도(5위·4984명) ▲일본(6위·4872명) ▲프랑스(7위·4636명) ▲호주(8위·4632명) ▲영국(9위·4175명) ▲이탈리아(10위·3930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지난해 말 기준 전 세계 초고액 자산가는 26만4200명으로 추산했다. 2020년 말 21만8200명에서 1년 사이 4만6000명 이상 증가했다. 사상 최다 기록이다.
한국 성인 가운데 자산이 100만 달러(약 13억9600만원)가 넘는 '백만장자'는 129만명으로 조사됐다. 2020년(117만4000명) 대비 11만6000명이 증가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추세를 이어간다면 2026년 한국의 백만장자는 205만명으로 약 6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별 백만장자는 미국이 2448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중국(2위·619만명) ▲일본(3위·336만6000명) ▲영국(4위·284만9000명) ▲프랑스(5위·279만6000명) ▲독일(6위·268만3000명) ▲캐나다(7위·229만1000명) ▲호주(8위·217만7000명) ▲이탈리아(9위·141만3000명)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한국은 10위에 해당했다.
전 세계 상위 1% 부자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부의 몫은 2019년 43.9%에서 2020년 44.9%, 2021년 45.6%로 2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보고서를 작성한 앤서니 쇼룩스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 금융자산 가격이 뛰면서 부의 불평등이 심화됐다"고 분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글로벌 투자은행(IB) '크레디트 스위스'가 20일(현지시간) 공개한 '글로벌 부(富) 보고서 2022'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순자산 5000만 달러 이상 보유한 초고액 자산가(UHNW)는 388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 세계 11위에 해당한다.
순자산 5000만 달러 이상 보유한 초고액 자산가는 미국(14만1135명)이 가장 많았다. ▲중국(2위·3만2706명) ▲독일(3위·9724명) ▲캐나다(4위·5507명) ▲인도(5위·4984명) ▲일본(6위·4872명) ▲프랑스(7위·4636명) ▲호주(8위·4632명) ▲영국(9위·4175명) ▲이탈리아(10위·3930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지난해 말 기준 전 세계 초고액 자산가는 26만4200명으로 추산했다. 2020년 말 21만8200명에서 1년 사이 4만6000명 이상 증가했다. 사상 최다 기록이다.
한국 성인 가운데 자산이 100만 달러(약 13억9600만원)가 넘는 '백만장자'는 129만명으로 조사됐다. 2020년(117만4000명) 대비 11만6000명이 증가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추세를 이어간다면 2026년 한국의 백만장자는 205만명으로 약 6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별 백만장자는 미국이 2448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중국(2위·619만명) ▲일본(3위·336만6000명) ▲영국(4위·284만9000명) ▲프랑스(5위·279만6000명) ▲독일(6위·268만3000명) ▲캐나다(7위·229만1000명) ▲호주(8위·217만7000명) ▲이탈리아(9위·141만3000명)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한국은 10위에 해당했다.
전 세계 상위 1% 부자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부의 몫은 2019년 43.9%에서 2020년 44.9%, 2021년 45.6%로 2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보고서를 작성한 앤서니 쇼룩스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 금융자산 가격이 뛰면서 부의 불평등이 심화됐다"고 분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