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각종 여론조사서 '빅2' 나경원·주호영 제쳐
예비경선 일반 비율 절반…李 본선 진출 가능성도
여론조사 당심에 영향 줄 가능성 있어 견제 심화
중진들 "언론플레이·노이즈마케팅 나쁜 정치" 견제
나경원 20일 출마선언...여론 조사 뒤집힐 가능성
[서울=뉴시스] 박미영 기자 = 국민의힘 소속 이준석 전 최고위원이 여론조사에서 양강으로 꼽히는 나경원 전 의원과 주호영 의원보다 선두로 올라서자 이 전 위원에 대한 견제도 심화되고 있다.
당권주자들 중 중진들은 이 전 최고위원이 2위에 오른 첫 여론조사에서는 당원들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지 않은 여론조사일 뿐이라고 애써 외면해 왔다.
그러나 또다른 여론조사에서도 이 전 최고위원이 나 전 의원까지 제치고 1위까지 오르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특히 당 선관위가 예비경선에서 당원과 일반 비율을 7대3으로 적용했던 과거와 달리 이번 전대에서는 국민 의견을 절반까지 반영하기로 하자 다급함마저 감지된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지도가 높은 이 전 최고위원의 본경선 진출 가능성이 높아진 탓이다. 또 앞으로도 여론조사에서 이 전 최고위원이 선전을 이어간다면 당원들도 영향을 받을 수도 있어서다.
중진들은 이번 전당대회는 대선을 준비하는 전초전인 만큼 전당대회가 인기투표로 흘러선 안된다는 명분을 앞세워 당원들의 결집에 나섰다.
특히 유력주자로 꼽히면서 이 최고위원과 '산 논쟁' 등 언쟁을 이어온 주 의원은 여론조사 결과를 신뢰하지 않는다면서 당심은 다를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주 의원은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응답률이 4%인가 밖에 안되고 '(적합한) 후보 없음'이 42%인가 되는 말하자면 신뢰하기가 좋지 않은 여론 조사"라고 하면서 "우리당 당 대표는 당원들 뜻이 중요하다. 당원들의 뜻은 여론조사와 거리가 있다고 본다"라며 우회적으로 당원들의 결집을 호소했다.
그는 또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이 전 최고위원이 자신을 향해 '팔공산만 5번 오른 분'이라고 한 발언을 거론하며 "우리를 지지해 온 대구 경북을 자꾸 낮춰서 하는 얘긴데, 우리당에 대해 열렬히 지지해준 지역에 그러는 건 아주 잘못이라고 본다. 산 논쟁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당원의 3분의1은 영남권에 있다.
4선으로 당 대표에 도전하는 홍문표 의원은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대선 선대위원장으로 모셔오겠다고 한 이 전 최고위원에 대해 "부끄럽고 창피하다. 자기 함량과 몸집을 불리기 위해 누구를 찾아가 직언을 듣고 다시 재생산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직격했다.
이어 "언론용으로 얘기를 해서 나중에 표로 가는 건 잘못된 정치"라고도 했다.
일찌감치 출마를 선언한 조해진 의원은 우회적인 방식으로 이 전 최고위원을 겨냥했다.
조 의원은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전당대회는 내년 정권교체를 진두지휘할 최고 사령탑을 뽑는 중차대한 선거인데, 인기투표가 되거나 인상투표가 되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누가 얼굴이 많이 알려지고 누가 익숙한 이름이냐, 누가 미디어 노출과 뉴스 검색이 많은 사람이냐가 기준이 돼서는 안되는 선거"라며 "말꼬리 잡기와 노이즈마케팅이 표심을 좌우하는 저급한 선거가 되는 것은 더욱 부끄럽고 한심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이는 표면상으론 초선들은 물론 막말을 이어가는 당권 주자들 전체를 아우르는 발언이지만 그 중에서도 주 원내대표와 막말 논쟁과 젠더 이슈몰이를 이어가고 있는 이 전 최고위원을 겨냥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이 전 최고위원도 이런 견제에 맞서 대구를 시작으로 지방에 상주하면서 당심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이 전 최고위원은 머니투데이와 미래한국연구소가 여론조사기관 PNR에 의뢰한 지난 16일 조사에서 당대표 적합도 1위를 기록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20.4%로 나 전 의원(15.5%)과 주 의원(12.2%)을 제쳤다. 지난 9일 같은 기관의 조사에서 13.9%로 나 전 의원에 이어 2위였던 그는 일주일 만에 선두로 올라섰다.
지난 15~16일 아시아경제가 윈지코리아컨설팅에 의뢰해 이날 발표한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적합도 조사에서도 이 전 최고위원은 17.7%로 나 전 의원(16.5%)과 주 의원(10.4%)을 앞질렀다.
현재까지 여론조사에서 이 전 최고위원과 빅2를 형성하고 있는 나 전 의원이 오는 20일 출마 선언할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기점으로 순위가 뒤바뀔 가능성은 열려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당권주자들 중 중진들은 이 전 최고위원이 2위에 오른 첫 여론조사에서는 당원들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지 않은 여론조사일 뿐이라고 애써 외면해 왔다.
그러나 또다른 여론조사에서도 이 전 최고위원이 나 전 의원까지 제치고 1위까지 오르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특히 당 선관위가 예비경선에서 당원과 일반 비율을 7대3으로 적용했던 과거와 달리 이번 전대에서는 국민 의견을 절반까지 반영하기로 하자 다급함마저 감지된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지도가 높은 이 전 최고위원의 본경선 진출 가능성이 높아진 탓이다. 또 앞으로도 여론조사에서 이 전 최고위원이 선전을 이어간다면 당원들도 영향을 받을 수도 있어서다.
중진들은 이번 전당대회는 대선을 준비하는 전초전인 만큼 전당대회가 인기투표로 흘러선 안된다는 명분을 앞세워 당원들의 결집에 나섰다.
특히 유력주자로 꼽히면서 이 최고위원과 '산 논쟁' 등 언쟁을 이어온 주 의원은 여론조사 결과를 신뢰하지 않는다면서 당심은 다를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주 의원은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응답률이 4%인가 밖에 안되고 '(적합한) 후보 없음'이 42%인가 되는 말하자면 신뢰하기가 좋지 않은 여론 조사"라고 하면서 "우리당 당 대표는 당원들 뜻이 중요하다. 당원들의 뜻은 여론조사와 거리가 있다고 본다"라며 우회적으로 당원들의 결집을 호소했다.
그는 또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이 전 최고위원이 자신을 향해 '팔공산만 5번 오른 분'이라고 한 발언을 거론하며 "우리를 지지해 온 대구 경북을 자꾸 낮춰서 하는 얘긴데, 우리당에 대해 열렬히 지지해준 지역에 그러는 건 아주 잘못이라고 본다. 산 논쟁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당원의 3분의1은 영남권에 있다.
4선으로 당 대표에 도전하는 홍문표 의원은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대선 선대위원장으로 모셔오겠다고 한 이 전 최고위원에 대해 "부끄럽고 창피하다. 자기 함량과 몸집을 불리기 위해 누구를 찾아가 직언을 듣고 다시 재생산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직격했다.
이어 "언론용으로 얘기를 해서 나중에 표로 가는 건 잘못된 정치"라고도 했다.
일찌감치 출마를 선언한 조해진 의원은 우회적인 방식으로 이 전 최고위원을 겨냥했다.
조 의원은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전당대회는 내년 정권교체를 진두지휘할 최고 사령탑을 뽑는 중차대한 선거인데, 인기투표가 되거나 인상투표가 되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누가 얼굴이 많이 알려지고 누가 익숙한 이름이냐, 누가 미디어 노출과 뉴스 검색이 많은 사람이냐가 기준이 돼서는 안되는 선거"라며 "말꼬리 잡기와 노이즈마케팅이 표심을 좌우하는 저급한 선거가 되는 것은 더욱 부끄럽고 한심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이는 표면상으론 초선들은 물론 막말을 이어가는 당권 주자들 전체를 아우르는 발언이지만 그 중에서도 주 원내대표와 막말 논쟁과 젠더 이슈몰이를 이어가고 있는 이 전 최고위원을 겨냥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이 전 최고위원도 이런 견제에 맞서 대구를 시작으로 지방에 상주하면서 당심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이 전 최고위원은 머니투데이와 미래한국연구소가 여론조사기관 PNR에 의뢰한 지난 16일 조사에서 당대표 적합도 1위를 기록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20.4%로 나 전 의원(15.5%)과 주 의원(12.2%)을 제쳤다. 지난 9일 같은 기관의 조사에서 13.9%로 나 전 의원에 이어 2위였던 그는 일주일 만에 선두로 올라섰다.
지난 15~16일 아시아경제가 윈지코리아컨설팅에 의뢰해 이날 발표한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적합도 조사에서도 이 전 최고위원은 17.7%로 나 전 의원(16.5%)과 주 의원(10.4%)을 앞질렀다.
현재까지 여론조사에서 이 전 최고위원과 빅2를 형성하고 있는 나 전 의원이 오는 20일 출마 선언할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기점으로 순위가 뒤바뀔 가능성은 열려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