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병원 연구팀 "실내 좌석 배치 공기흐름 고려해야"
확진자와 가까이 있어도 공기흐름이 다른 사람은 감염안 돼
[전주=뉴시스] 윤난슬 기자 = 에어컨이 돌아가는 실내 공간에서는 6.5m의 거리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비말 감염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전북대학교병원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1일 전북대병원에 따르면 전북 감염병관리지원단 단장을 맡은 예방의학과 이주형 교수팀이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조사 시스템으로 지난 6월 17일 전주시 확진의 감염 경로를 조사했다.
이 교수팀은 2m 이상 떨어진 실내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을 통해 감염된 사실을 '코로나19의 장거리비말전파 근거' 연구 논문을 통해 발표했다. 논문은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35권 46호)에 게재했다.
조사 대상인 전주시 확진자 A씨는 지난 6월 16일 최초 증상을 나타냈고 17일 양성 판정을 받았다. 연구팀은 코로나19의 잠복기를 고려해 A씨가 같은 달 2일과 15일 사이에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A씨는 해외나 전주시 이외의 국내 지역 여행 이력이 없었고 전주시에서는 직전 2주 동안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다.
A씨가 확진자와 동선이 겹친 경우는 전주시를 방문한 대전 확진자 B씨와 같은 식당에 머물렀던 순간뿐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B씨가 A씨의 감염원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폐쇄회로(CC)TV를 확인한 결과 A씨 일행은 6월 12일 오후 4시에 식당을 방문했고 B씨 일행은 오후 5시 15분에 들어왔다. A씨 일행은 B씨 일행으로부터 6.5m 떨어진 거리에 앉아 있었고 5분 뒤인 오후 5시 20분에 식당에서 나갔다.
B씨가 식당에 머무는 동안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손님 11명 및 직원 2명과 밀접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들을 추가 검사한 결과 B씨 일행으로부터 4.8m 떨어진 채로 식당에 21분 머문 C씨도 6월 20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다만 A씨와 C씨보다 더 가까운 곳에 오래 머물었던 식당의 다른 손님들은 감염되지 않았다.
당시 해당 식당에는 창문이나 환기 시스템 없이 출입문만 두 개가 있었으며 천장에는 에어컨 두 개가 가동되고 있었다.
연구팀은 공기흐름 경로나 감염자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앉았는지 여부를 조사했으며 A씨와 C씨가 앉아있던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거리는 멀었지만 공기흐름 경로 상 마주보고 있었던 A씨와 C씨가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이다.
이는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최소 2m 이상의 물리적 거리 뿐만 아니라 공기흐름을 고려한 좌석배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주형 교수는 "조사 결과 B씨와 더 가까운 곳에서 오래 머물렀던 다른 손님은 감염되지 않았던 만큼 공기흐름 경로나 감염자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앉았는지 여부를 통해 추가 감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역학조사 시 자가격리자나 검사대상자의 밀접 접촉자에 포함하는 방식을 바꾸고, 특히 실내시설 조사 시에는 좌석배치와 냉난방기의 위치나 바람 방향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1일 전북대병원에 따르면 전북 감염병관리지원단 단장을 맡은 예방의학과 이주형 교수팀이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조사 시스템으로 지난 6월 17일 전주시 확진의 감염 경로를 조사했다.
이 교수팀은 2m 이상 떨어진 실내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을 통해 감염된 사실을 '코로나19의 장거리비말전파 근거' 연구 논문을 통해 발표했다. 논문은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35권 46호)에 게재했다.
조사 대상인 전주시 확진자 A씨는 지난 6월 16일 최초 증상을 나타냈고 17일 양성 판정을 받았다. 연구팀은 코로나19의 잠복기를 고려해 A씨가 같은 달 2일과 15일 사이에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A씨는 해외나 전주시 이외의 국내 지역 여행 이력이 없었고 전주시에서는 직전 2주 동안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다.
A씨가 확진자와 동선이 겹친 경우는 전주시를 방문한 대전 확진자 B씨와 같은 식당에 머물렀던 순간뿐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B씨가 A씨의 감염원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폐쇄회로(CC)TV를 확인한 결과 A씨 일행은 6월 12일 오후 4시에 식당을 방문했고 B씨 일행은 오후 5시 15분에 들어왔다. A씨 일행은 B씨 일행으로부터 6.5m 떨어진 거리에 앉아 있었고 5분 뒤인 오후 5시 20분에 식당에서 나갔다.
B씨가 식당에 머무는 동안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손님 11명 및 직원 2명과 밀접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들을 추가 검사한 결과 B씨 일행으로부터 4.8m 떨어진 채로 식당에 21분 머문 C씨도 6월 20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다만 A씨와 C씨보다 더 가까운 곳에 오래 머물었던 식당의 다른 손님들은 감염되지 않았다.
당시 해당 식당에는 창문이나 환기 시스템 없이 출입문만 두 개가 있었으며 천장에는 에어컨 두 개가 가동되고 있었다.
연구팀은 공기흐름 경로나 감염자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앉았는지 여부를 조사했으며 A씨와 C씨가 앉아있던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거리는 멀었지만 공기흐름 경로 상 마주보고 있었던 A씨와 C씨가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이다.
이는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최소 2m 이상의 물리적 거리 뿐만 아니라 공기흐름을 고려한 좌석배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주형 교수는 "조사 결과 B씨와 더 가까운 곳에서 오래 머물렀던 다른 손님은 감염되지 않았던 만큼 공기흐름 경로나 감염자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앉았는지 여부를 통해 추가 감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역학조사 시 자가격리자나 검사대상자의 밀접 접촉자에 포함하는 방식을 바꾸고, 특히 실내시설 조사 시에는 좌석배치와 냉난방기의 위치나 바람 방향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