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독도위원회 하계세미나 "한일관계 빙하기, 화해 필요"
"한일 해저터널 같은 대규모 공동 프로젝트 추진해야"
"독도 물골 정비해야"...독도위원 한목소리
[안동=뉴시스] 류상현 기자 = 경색된 한·일 관계를 화해로 전환하고 독도 서도에 있는 물골을 정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독도위원회에서 나왔다.
경북도는 17일 포항공대 국제관에서 ‘한일관계 정체기 환동해의 평화와 독도주권 관리’를 주제로 경북도 독도위원회 하계세미나를 개최했다.
대구대학교 영토평화연구소(소장 최철영 교수) 주관으로 진행된 이날 세미나는 경색된 한일관계의 회복 방안과 위기의 한일관계 속에 경북도의 독도주권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정재정 경북도 독도위원회 위원장(광주과학기술원 석좌교수)은 ‘한일관계의 위기, 어디로 갈 것인가’라는 기조강연에서 “최근의 한일관계는 빙하기라고 표현이 나올 정도로 냉각기가 지속되고 있는데, 이는 양국 모두에게 백해무익하다”며 “한일 양국의 역사화해를 위해 평화공영의 역사인식 수립과 화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과거사 현안은 법적 처리 보다는 역사적 처리를 모색하고 대규모 청소년 교류, 경제공동체, 한일 해저터널과 같은 대규모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가 ‘일본의 해양정책과 독도주변 최근상황 대응’, 이정태 경북대 교수가 ‘독도주변 중국선박 어업실태와 한국의 대응’, 박재홍 경북대 교수가 ‘독도 물골의 관리문제와 복원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독도를 둘러싼 중·일의 태세에 대한 우리의 대응을 논의하고, 현안인 독도의 물골 정비에 대해 과학적 조사를 통한 주권국의 권리 행사 필요성 등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박재홍 교수는 “서도의 물골은 독도의 유일한 식수원으로서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물골 내의 원생생물 연구에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며 “현재 방치된 서도의 물골을 정비해 원생생물을 발굴하고 분자계통적 분석을 통해 원생생물의 다양성 데이터를 구축하는 등 독도의 지리학적 특성 규명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성학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현재 동·서도에 담수화 시설이 설치되고 접안율도 높아져 생수이용이 가능하게 돼 물골이 식수원으로서 역할이 감소하면서 방치된 점이 있었다”며 “오늘 논의된 사항을 적극 수용해 물골을 생태계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관리해 나가고, 이를 위해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조사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해 독도문제를 자연과학적 접근을 통해 실리를 찾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경북도는 17일 포항공대 국제관에서 ‘한일관계 정체기 환동해의 평화와 독도주권 관리’를 주제로 경북도 독도위원회 하계세미나를 개최했다.
대구대학교 영토평화연구소(소장 최철영 교수) 주관으로 진행된 이날 세미나는 경색된 한일관계의 회복 방안과 위기의 한일관계 속에 경북도의 독도주권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정재정 경북도 독도위원회 위원장(광주과학기술원 석좌교수)은 ‘한일관계의 위기, 어디로 갈 것인가’라는 기조강연에서 “최근의 한일관계는 빙하기라고 표현이 나올 정도로 냉각기가 지속되고 있는데, 이는 양국 모두에게 백해무익하다”며 “한일 양국의 역사화해를 위해 평화공영의 역사인식 수립과 화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과거사 현안은 법적 처리 보다는 역사적 처리를 모색하고 대규모 청소년 교류, 경제공동체, 한일 해저터널과 같은 대규모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가 ‘일본의 해양정책과 독도주변 최근상황 대응’, 이정태 경북대 교수가 ‘독도주변 중국선박 어업실태와 한국의 대응’, 박재홍 경북대 교수가 ‘독도 물골의 관리문제와 복원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독도를 둘러싼 중·일의 태세에 대한 우리의 대응을 논의하고, 현안인 독도의 물골 정비에 대해 과학적 조사를 통한 주권국의 권리 행사 필요성 등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박재홍 교수는 “서도의 물골은 독도의 유일한 식수원으로서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물골 내의 원생생물 연구에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며 “현재 방치된 서도의 물골을 정비해 원생생물을 발굴하고 분자계통적 분석을 통해 원생생물의 다양성 데이터를 구축하는 등 독도의 지리학적 특성 규명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성학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현재 동·서도에 담수화 시설이 설치되고 접안율도 높아져 생수이용이 가능하게 돼 물골이 식수원으로서 역할이 감소하면서 방치된 점이 있었다”며 “오늘 논의된 사항을 적극 수용해 물골을 생태계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관리해 나가고, 이를 위해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조사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해 독도문제를 자연과학적 접근을 통해 실리를 찾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