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특별지위 박탈' 경고했지만 긍정 전망도
"中에 없어서는 안 될 요충지가 홍콩 역할"
홍콩 FDI에서 중국 비중 연평균 30% 수준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미국이 홍콩 국가보안법(보안법)에 반발하며 홍콩의 특별 지위를 박탈하겠다고 경고했지만 파장이 크지 않으리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29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경제 전문가 일부는 보안법이 사회 안정을 촉진해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프란시스 뤼 팅밍 홍콩 과학기술대학 교수는 홍콩이 중국에 없어서는 안 될 금융 요충지로 거듭나리라고 주장했다.
그는 "많은 자본이 중국에서 홍콩으로 흘러 들어갔다가 다시 중국으로 가면서 순환한다. 이게 홍콩의 역할"이라며 "홍콩 사람들은 홍콩이 중국에 대해 어떤 협상력을 갖고 있는지 봐야 한다"고 말했다.
SCMP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2015~2019년 중국 기업공개(IPO) 중 27%가 홍콩에서 이뤄졌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7%에 그쳤다.
홍콩 당국은 1998년 이후 외국인 직접투자(FDI)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연평균 30%라고 밝혔다. 2018년 자료에 따르면 홍콩에 대한 중국 투자 규모는 2960억 홍콩달러(약 47조원)로, 전체 자본 유입의 약 36%였다.
홍콩은 역외 금융 중심지로서 중국의 달러 표시 채권 차입과 외국 투자를 쉽게 해줬다. 그는 홍콩이 중국으로의 외국인 투자를 유치함으로써 다국적 기업의 관문 역할을 계속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보안법이 사회 안정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선순환을 부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홍콩이 안정을 되찾지 않는 한 중국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보수성향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은 3월 홍콩이 세계 경제 자유도 평가에서 싱가포르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홍콩은 이 평가에서 25년 동안 줄곧 1위를 지켜왔었다. 헤리티지 재단은 정치사회적인 혼란이 홍콩의 명성을 해치고 있다고 우려했다.
홍콩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홍콩금융관리국(HKMA) 총재를 지냈던 조지프 얌도 홍콩의 미래를 밝게 내다봤다. 그는 중국 기업이 미국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게 제한된다면, 미국에 상장한 중국 기술 기업이 홍콩에 상장하는 동시에 중국은 위안화를 국제화하라는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봤다.
그는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홍콩의 국제 금융 중심지 역활은 강화된다"고 말했다.
홍콩의 아시아 금융허브 지위가 무너질 수 있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앞서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보안법을 직접 제정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보안법은 전인대 상무위를 거쳐 발효될 예정이다.
미국은 보안법이 홍콩 반환 당시 중국이 약속했던 일국양제(한 국가 두 체제) 원칙에 위반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보안법을 강행하면 홍콩정잭법이 보장하는 홍콩의 특별 지위를 박탈하겠다고 경고해왔다. 비자 조건 완화, 대중 관세 면제 등 홍콩이 누리던 혜택이 사라진다는 의미다.
이와 관련해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사설에서 "미국이 부여한 특별 무역 지위는 중요하긴 하지만 홍콩의 금융 중심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소는 아니다"라며 "중국 본토가 호황을 유지하는 한 홍콩은 쇠퇴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29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경제 전문가 일부는 보안법이 사회 안정을 촉진해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프란시스 뤼 팅밍 홍콩 과학기술대학 교수는 홍콩이 중국에 없어서는 안 될 금융 요충지로 거듭나리라고 주장했다.
그는 "많은 자본이 중국에서 홍콩으로 흘러 들어갔다가 다시 중국으로 가면서 순환한다. 이게 홍콩의 역할"이라며 "홍콩 사람들은 홍콩이 중국에 대해 어떤 협상력을 갖고 있는지 봐야 한다"고 말했다.
SCMP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2015~2019년 중국 기업공개(IPO) 중 27%가 홍콩에서 이뤄졌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7%에 그쳤다.
홍콩 당국은 1998년 이후 외국인 직접투자(FDI)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연평균 30%라고 밝혔다. 2018년 자료에 따르면 홍콩에 대한 중국 투자 규모는 2960억 홍콩달러(약 47조원)로, 전체 자본 유입의 약 36%였다.
홍콩은 역외 금융 중심지로서 중국의 달러 표시 채권 차입과 외국 투자를 쉽게 해줬다. 그는 홍콩이 중국으로의 외국인 투자를 유치함으로써 다국적 기업의 관문 역할을 계속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보안법이 사회 안정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선순환을 부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홍콩이 안정을 되찾지 않는 한 중국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보수성향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은 3월 홍콩이 세계 경제 자유도 평가에서 싱가포르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홍콩은 이 평가에서 25년 동안 줄곧 1위를 지켜왔었다. 헤리티지 재단은 정치사회적인 혼란이 홍콩의 명성을 해치고 있다고 우려했다.
홍콩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홍콩금융관리국(HKMA) 총재를 지냈던 조지프 얌도 홍콩의 미래를 밝게 내다봤다. 그는 중국 기업이 미국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게 제한된다면, 미국에 상장한 중국 기술 기업이 홍콩에 상장하는 동시에 중국은 위안화를 국제화하라는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봤다.
그는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홍콩의 국제 금융 중심지 역활은 강화된다"고 말했다.
홍콩의 아시아 금융허브 지위가 무너질 수 있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앞서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보안법을 직접 제정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보안법은 전인대 상무위를 거쳐 발효될 예정이다.
미국은 보안법이 홍콩 반환 당시 중국이 약속했던 일국양제(한 국가 두 체제) 원칙에 위반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보안법을 강행하면 홍콩정잭법이 보장하는 홍콩의 특별 지위를 박탈하겠다고 경고해왔다. 비자 조건 완화, 대중 관세 면제 등 홍콩이 누리던 혜택이 사라진다는 의미다.
이와 관련해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사설에서 "미국이 부여한 특별 무역 지위는 중요하긴 하지만 홍콩의 금융 중심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소는 아니다"라며 "중국 본토가 호황을 유지하는 한 홍콩은 쇠퇴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