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직장서 쫓겨난 40대 16만2000명…어디로 사라졌나
'그냥 쉬었다'는 40대, 10년 전 금융위기때보다 대폭 증가
취업자 수도 49개월째 마이너스…정부는 "인구 감소 탓"만
대통령 한 마디에 "전수조사 준하는 분석하겠다" 부랴부랴
전문가들 "정규직 위주의 노동시장 경직성이 재취업 막아"
[세종=뉴시스] 위용성 기자 = #. 중견기업에 다니던 A(49)씨는 회사를 관두고 치킨집을 열었다. 퇴직 후 '제2의 인생'을 열어보겠다며 내린 선택이었다. 하지만 도보로 15분 거리에 새 치킨집에 들어선 탓인지, 경기가 좋지 않아서인지 손님 발길이 끊기고 운영도 점점 어려워졌다. 결국 폐업을 결정하고 A씨는 한동안 술로 시간을 보냈다. 그 사이 아내는 식당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가계비를 벌었다.
그렇게 1년1개월을 쉬던 A씨는 다시 프렌차이즈 치킨집에 도전하기로 했다. 대학교 근처 치킨집을 인수하기로 한 것이다. A씨는 "전 주인이 할 때부터 대학생들 사이서 입소문이 좋아 학교에서 단체 주문이 적잖게 들어온다는 정보도 얻었다"며 기대했다.
#. 18년간 IT회사에서 일하다 희망퇴직을 당한 40대 후반 B씨. 퇴사 이후 줄기차게 이력서를 넣었지만 좀처럼 면접 보러 오라는 곳이 없다. 그나마 2곳이 면접 단계까지 갔지만 결국 최종 불합격했다.
B씨는 '인맥이 없는 이상 동종 업계 재취업 가능성은 0%'라는 생각이 들어 다른 직종으로 갈아타기로 했다. 결국 '기술'이 필요하겠다 싶어 산업안전기사 등 국가자격증 시험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뒤늦게 공부를 시작했지만 관련 경력이 전무한 '생초보'가 자격증 몇 개 딴다고 취업이 될까 걱정이다. B씨는 "지금와서 보니 IT가 제일 쉽고 편했다"고 했다.
#. 어머니를 홀로 모시고 사는 C씨는 40대 끝줄에 재취업에 나섰다. 그동안 소규모 업체에서 사무직으로만 일했고 별다른 기술도 없는데다 이제는 나이가 들어 좀처럼 재취업이 쉽지 않다. 최근에는 꽤 큰 전산 개발·관리업체에 지원해 면접까지 합격했지만 결국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최종 탈락했다.
40대 일자리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취업자 증가 수가 2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한 비경제활동인구도 늘었다. '그냥 쉬었다'는 이들의 증가폭이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보다 더 불어났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한 해 40대 취업자 수는 16만2000명 감소했다. 이는 무려 30년 전인 1991년(-26만6000명) 이래 가장 큰 감소폭이다. 월별로 따지면 지난해 12월 9만1000명이 감소하면서 2015년 11월부터 49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15~29세(+4만1000명), 50대(+9만8000명), 60세 이상(+37만7000명) 등 전 연령대 중 거의 유일하게 40대에서만 취업자 수 감소가 이뤄지고 있다. 30대(-5만3000명)에서도 취업자 수가 줄었지만 30대의 인구 감소폭(-10만5000명)이 더 크다는 점을 함께 감안한다면 이를 순전히 고용시장의 부진 탓으로만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경제의 허리에 해당되는 만큼 40대가 가장 많이 분포한 산업은 역시 우리의 주력산업인 제조업이다. 그런데 제조업 일자리 상황을 보면 지난해 연간으로 취업자 수가 8만1000명 감소했다.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3년 이래 가장 큰 감소폭이다. 월별로 보면 지난해 4월부터 내리 감소 흐름이다.
또 40대가 많이 분포해 있는 도·소매업(-6만 명), 건설업(-1만5000명)에서도 취업자 수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그밖에 금융·보험업(-4만 명) 역시 은행권 점포 통합 등에 따른 희망퇴직이 늘면서 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도·소매업과 건설업은 경기 부진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업종이다. 결국 주력 산업인 제조업의 부진에 경기 불황이 겹치면서 40대들이 일자리를 잃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자영업자로 불리는 비임금근로자의 부진도 40대가 설 자리를 잃는 데 한 몫 하고 있다. 지난해 비임금근로자는 전년 대비 5만6000명 줄어들었다. 특히 직원을 둔 자영업자는 11만4000명이나 감소했고, 직원을 두지 않은 '나 홀로 사장님'만 8만1000명 늘어나는 등 창업에 나선 자영업자들도 어렵다는 점이 확인됐다.
하지만 40대의 실업자 수는 지난해 1만5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회사를 관두거나 창업에도 실패한 40대는 어디로 갔을까. 전문가들은 취업자에도 실업자에도 속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로 이동했을 가능성에 주목한다.
임용빈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원은 "실업자 수가 평년보다 크게 늘어난 게 보이지 않기 때문에 올해 40대 인구가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진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쉬었음'이라고 응답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0대 중에서 별다른 질병이나 장애가 없음에도 막연히 일을 쉬고 있다고 답한 일명 '쉬었음' 인구는 22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7000명(13.6%)나 증가했다. 통계청이 '쉬었음' 인구를 집계하기 시작한 건 2003년부터인데 지난해의 증가폭은 그 이후로 가장 큰 수치다. 직전 최고치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2만6000명)이었다. 금융위기 시절보다 더 많은 40대들이 막연히 일을 구하지도 않고 쉬고 있다는 의미다.
그렇게 1년1개월을 쉬던 A씨는 다시 프렌차이즈 치킨집에 도전하기로 했다. 대학교 근처 치킨집을 인수하기로 한 것이다. A씨는 "전 주인이 할 때부터 대학생들 사이서 입소문이 좋아 학교에서 단체 주문이 적잖게 들어온다는 정보도 얻었다"며 기대했다.
#. 18년간 IT회사에서 일하다 희망퇴직을 당한 40대 후반 B씨. 퇴사 이후 줄기차게 이력서를 넣었지만 좀처럼 면접 보러 오라는 곳이 없다. 그나마 2곳이 면접 단계까지 갔지만 결국 최종 불합격했다.
B씨는 '인맥이 없는 이상 동종 업계 재취업 가능성은 0%'라는 생각이 들어 다른 직종으로 갈아타기로 했다. 결국 '기술'이 필요하겠다 싶어 산업안전기사 등 국가자격증 시험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뒤늦게 공부를 시작했지만 관련 경력이 전무한 '생초보'가 자격증 몇 개 딴다고 취업이 될까 걱정이다. B씨는 "지금와서 보니 IT가 제일 쉽고 편했다"고 했다.
#. 어머니를 홀로 모시고 사는 C씨는 40대 끝줄에 재취업에 나섰다. 그동안 소규모 업체에서 사무직으로만 일했고 별다른 기술도 없는데다 이제는 나이가 들어 좀처럼 재취업이 쉽지 않다. 최근에는 꽤 큰 전산 개발·관리업체에 지원해 면접까지 합격했지만 결국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최종 탈락했다.
40대 일자리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취업자 증가 수가 2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한 비경제활동인구도 늘었다. '그냥 쉬었다'는 이들의 증가폭이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보다 더 불어났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한 해 40대 취업자 수는 16만2000명 감소했다. 이는 무려 30년 전인 1991년(-26만6000명) 이래 가장 큰 감소폭이다. 월별로 따지면 지난해 12월 9만1000명이 감소하면서 2015년 11월부터 49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15~29세(+4만1000명), 50대(+9만8000명), 60세 이상(+37만7000명) 등 전 연령대 중 거의 유일하게 40대에서만 취업자 수 감소가 이뤄지고 있다. 30대(-5만3000명)에서도 취업자 수가 줄었지만 30대의 인구 감소폭(-10만5000명)이 더 크다는 점을 함께 감안한다면 이를 순전히 고용시장의 부진 탓으로만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경제의 허리에 해당되는 만큼 40대가 가장 많이 분포한 산업은 역시 우리의 주력산업인 제조업이다. 그런데 제조업 일자리 상황을 보면 지난해 연간으로 취업자 수가 8만1000명 감소했다.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3년 이래 가장 큰 감소폭이다. 월별로 보면 지난해 4월부터 내리 감소 흐름이다.
또 40대가 많이 분포해 있는 도·소매업(-6만 명), 건설업(-1만5000명)에서도 취업자 수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그밖에 금융·보험업(-4만 명) 역시 은행권 점포 통합 등에 따른 희망퇴직이 늘면서 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도·소매업과 건설업은 경기 부진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업종이다. 결국 주력 산업인 제조업의 부진에 경기 불황이 겹치면서 40대들이 일자리를 잃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자영업자로 불리는 비임금근로자의 부진도 40대가 설 자리를 잃는 데 한 몫 하고 있다. 지난해 비임금근로자는 전년 대비 5만6000명 줄어들었다. 특히 직원을 둔 자영업자는 11만4000명이나 감소했고, 직원을 두지 않은 '나 홀로 사장님'만 8만1000명 늘어나는 등 창업에 나선 자영업자들도 어렵다는 점이 확인됐다.
하지만 40대의 실업자 수는 지난해 1만5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회사를 관두거나 창업에도 실패한 40대는 어디로 갔을까. 전문가들은 취업자에도 실업자에도 속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로 이동했을 가능성에 주목한다.
임용빈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원은 "실업자 수가 평년보다 크게 늘어난 게 보이지 않기 때문에 올해 40대 인구가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진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쉬었음'이라고 응답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0대 중에서 별다른 질병이나 장애가 없음에도 막연히 일을 쉬고 있다고 답한 일명 '쉬었음' 인구는 22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7000명(13.6%)나 증가했다. 통계청이 '쉬었음' 인구를 집계하기 시작한 건 2003년부터인데 지난해의 증가폭은 그 이후로 가장 큰 수치다. 직전 최고치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2만6000명)이었다. 금융위기 시절보다 더 많은 40대들이 막연히 일을 구하지도 않고 쉬고 있다는 의미다.
40대는 독립 이전인 10대 자녀를 둔 가장들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40대의 붕괴가 우리나라 가계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때문에 40대 실직자들은 청년이나 고령자에 비해 저임금 자리로 이동하는 것을 기피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경력단절을 우려해 다른 직종으로 전환도 쉽지 않다. 40대의 빠른 재취업이 어려운 이유다.
정부는 오는 3월까지 40대를 위한 '맞춤형' 일자리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40대 일자리가 2015년 11월부터 4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는데도 "인구감소 탓"만 늘어놓던 정부가 총선을 코앞에 둔 시점에 문재인 대통령의 '특별지시' 한마디로 부랴부랴 나선 것이다.
정부는 40대 퇴직·구직자에 대해선 전수조사에 준하는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일선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선 40대 퇴직·구직자들과 간담회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직업훈련·교육, 전직 지원, 생계비 지원, 창업 지원 방안 등을 망라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40대 일자리 어려움의 원인이 결국 우리 주력 산업의 부진, 경기 불황 등에 있다고 한다면 정부의 이같은 대책이 과연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느냐 하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경기가 어려워 고용시장이 악화되고 있는데 정규직 위주로 경직된 노동시장이 40대의 재취업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며 "이전부터 정부가 노인 일자리 못지않게 40대 일자리 악화 상황에 대해 신경을 썼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정부는 오는 3월까지 40대를 위한 '맞춤형' 일자리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40대 일자리가 2015년 11월부터 4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는데도 "인구감소 탓"만 늘어놓던 정부가 총선을 코앞에 둔 시점에 문재인 대통령의 '특별지시' 한마디로 부랴부랴 나선 것이다.
정부는 40대 퇴직·구직자에 대해선 전수조사에 준하는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일선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선 40대 퇴직·구직자들과 간담회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직업훈련·교육, 전직 지원, 생계비 지원, 창업 지원 방안 등을 망라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40대 일자리 어려움의 원인이 결국 우리 주력 산업의 부진, 경기 불황 등에 있다고 한다면 정부의 이같은 대책이 과연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느냐 하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경기가 어려워 고용시장이 악화되고 있는데 정규직 위주로 경직된 노동시장이 40대의 재취업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며 "이전부터 정부가 노인 일자리 못지않게 40대 일자리 악화 상황에 대해 신경을 썼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