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학계·정부기관 등 주요 인사 200여명 참석
신남방 지역 맞춤 전략·정책수립 방향 등 발표
【서울=뉴시스】박민기 기자 = 코트라(KOTRA)는 서울 서초에 있는 JW 메리어트호텔에서 '불안정한 국제 교역환경, 새로운 돌파구는'이라는 주제로 '코트라 세계로 포럼' 상반기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세계로 포럼은 한국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화 전략 모색과 정책 연구를 위해 2017년 코트라가 설립한 무역·투자 분야 싱크탱크다.
이날 포럼은 미·중 무역분쟁 심화, 세계 경제·교역 증가율 둔화, 대 이란 경제제재 강화, 브렉시트 등 세계 교역환경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는 상황 속에서 마련됐으며 행사장에는 기업과 학계, 정부기관 등 주요 인사 200여명이 참석했다.
연사로 나선 전문가들은 한국기업들의 새로운 세계시장 돌파구로서 인도와 아세안 10개국으로 구성된 신남방 지역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신남방 지역에서의 협력모델, 맞춤형 전략, 정책수립 방향 등에 대해 발표했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박번순 고려대 경제통계학 교수는 "한국의 수출은 지난해 12월 이후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미·중 무역 분쟁 장기화 시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등 한국 주력 수출업종의 타격으로 인해 올해 하반기 최대 위기가 닥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급변하고 있는 글로벌 통상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중국, 미국 등 편중된 대외 경제구조를 다변화하고 아세안, 인도 등 신남방지역과의 전략적 경제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교수는 "신남방 지역에 대한 단기적 이익보다는 장기적 관계를 구축해 중국, 일본과는 차별화된 한국형 신남방 협력 모델을 개발해 나가야 한다"며 "경제협력 측면에서 무역의 일방적 흑자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또한 아세안 국가 중에서 베트남에 과대하게 집중돼 있는 교역구조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아세안 선발국과의 경제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획기적 방안도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
두 번째 주제인 '한-아세안 경제협력 성공 모델'에 대해서는 김영선 전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이 삼성전자, 포스코, 롯데마트, 박카스, 오리온 등 아세안 시장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대표 협력 사례를 들며 현지화 경영, 로컬 상품 구성, 지역 친화 CSR 활동을 주요 성공 요인으로 꼽았다.
김 전 사무총장은 "아세안 내수시장 공략의 열쇠는 소비재이며 한국 프리미엄을 활용해 프랜차이즈·의료·서비스 시장으로 넓혀나가고, 아세안 중심의 글로벌 밸류체인에 참여하며 통상환경 변화와 연계된 유망 산업을 공략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신성장산업, 인프라 분야의 경제협력과 인력교류를 통해 수출과 투자진출을 확대해나가는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마지막 세션은 '인도 시장의 잠재력과 비즈니스 전략' 주제로 김용식 포스코경영연구원 박사가 발표했다.
김 박사는 "인도의 13억명 이상의 인구와 풍부한 천연자원, 향후 국민소득 등을 고려하면 인도만 한 시장이 없지만, 인도는 인도만의 고유한 특성을 갖춘 시장이기에 장기적 관점에서 철저한 조사를 통해 인도인의 시각에서 접근해야만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인도에서 비즈니스 기회가 큰 분야로는 현 정부가 주력하고 있는 인프라, 발전소 건설과 운영, 급증하고 있는 일용소비재와 유통 분야 등을 들 수 있으나 진출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들은 '어떻게 경쟁우위를 확보할 것인가'를 신중히 고민해야 한다"며 "점진적 현지화 전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아세안, 인도 시장에서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고 신남방정책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활발한 논의가 이어졌다.
좌장을 맡은 홍석우 포럼 회장은 "신남방지역과의 비즈니스 영역도 인프라, 관광, 상품교역, 금융 등의 기존 산업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5G, 데이터경제, 바이오·헬스케어 등 4차산업혁명 분야 제조·서비스, 디지털통상 등의 혁신산업 분야까지 확장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