勞 "소득대체율 45% 유지 장기적 50% 인상…보험료율 11~13%"
使 "현행제도 유지…기초연금 있어 소득대체율 나쁜 수준 아냐"
청년유니온 소득대체율 45%…복지국가청년네트워크 50% 주장
가입자 단체 대표 4명 소득대체율 45%와 보험료율 12% '공감'
【서울=뉴시스】강세훈 기자 = 활동기간을 3개월 연장하기로 한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국민연금개혁과 노후소득보장특별위원회(연금개혁 특위)가 26일 전체회의를 열었지만 소득대체율과 보험료율 등을 놓고 각 주체 간 입장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26일 경사노위에 따르면 연금개혁 특위는 이날 전체회의에서 노동계와 경영계, 청년, 연금 가입자 대표들이 각각 주장하는 소득대체율, 보험료율의 타당성 여부에 대해 설전을 벌였다.
연금개혁 특위는 각 주체 간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한 상황에서 당초 활동시한(4월 29일)이 다가오자 오는 7월 말까지 활동기간을 3개월 연장키로 지난 24일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오는 7월 말까지 합의안 도출을 목표로 각 주체들은 각자의 입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설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연금개혁 특위는 앞서 지난 12일 전체회의에서 노동계와 경영계, 청년 대표, 연금 가입자 대표들의 의견을 수렴한 바 있다.
현행 국민연금 제도는 45%(2018년)인 소득대체율을 매년 0.5%포인씩 내려가게 해 2028년 40%까지 낮추도록 하고 있다.
노동계를 대표하는 한국노총은 지난 12일 회의에서 소득대체율을 45%로 가져가고 장기적으로는 50%까지 상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행 9%인 보험료율은 10~15년 동안 점진적으로 2~4%를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경영계는 소득대체율과 보험료율을 현행제도(40%, 9%) 대로 유지하자고 주장했다.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근접하고, 기초연금도 있기 때문에 소득대체율이 나쁜 수준이 아니라고 경영계는 주장했다.
26일 경사노위에 따르면 연금개혁 특위는 이날 전체회의에서 노동계와 경영계, 청년, 연금 가입자 대표들이 각각 주장하는 소득대체율, 보험료율의 타당성 여부에 대해 설전을 벌였다.
연금개혁 특위는 각 주체 간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한 상황에서 당초 활동시한(4월 29일)이 다가오자 오는 7월 말까지 활동기간을 3개월 연장키로 지난 24일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오는 7월 말까지 합의안 도출을 목표로 각 주체들은 각자의 입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설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연금개혁 특위는 앞서 지난 12일 전체회의에서 노동계와 경영계, 청년 대표, 연금 가입자 대표들의 의견을 수렴한 바 있다.
현행 국민연금 제도는 45%(2018년)인 소득대체율을 매년 0.5%포인씩 내려가게 해 2028년 40%까지 낮추도록 하고 있다.
노동계를 대표하는 한국노총은 지난 12일 회의에서 소득대체율을 45%로 가져가고 장기적으로는 50%까지 상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행 9%인 보험료율은 10~15년 동안 점진적으로 2~4%를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경영계는 소득대체율과 보험료율을 현행제도(40%, 9%) 대로 유지하자고 주장했다.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근접하고, 기초연금도 있기 때문에 소득대체율이 나쁜 수준이 아니라고 경영계는 주장했다.
청년 대표 2명 중 청년유니온은 소득대체율 45%와 상응하는 수준의 보험료율 인상을 주장했고, 복지국가청년네트워크는 소득대체율 50% 인상과 함께 보험료율을 10년에 걸쳐 12~13% 수준으로 올릴 것을 주장했다.
가입자 단체 대표들은 소득대체율을 45%로 가져가고, 보험료율은 대체로 12% 수준으로 인상하는 방안에 공감했다.
소상공인연합회와 대한은퇴자협회는 소득대체율 45% 인상과 15년에 걸쳐 보험료율을 12%로 올릴 것을 주장했다.
한국여성단체연합과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은 소득대체율 45% 인상과 보험료율 12% 인상을 주장했다.
공익위원인 주은선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지나치게 장기적 시각으로 접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며 "매 시기마다 제도가 할 역할이 있기에 장기적 목표치를 제시하는 것은 무리라고 본다"는 의견을 내놨다.
[email protected]
가입자 단체 대표들은 소득대체율을 45%로 가져가고, 보험료율은 대체로 12% 수준으로 인상하는 방안에 공감했다.
소상공인연합회와 대한은퇴자협회는 소득대체율 45% 인상과 15년에 걸쳐 보험료율을 12%로 올릴 것을 주장했다.
한국여성단체연합과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은 소득대체율 45% 인상과 보험료율 12% 인상을 주장했다.
공익위원인 주은선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지나치게 장기적 시각으로 접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며 "매 시기마다 제도가 할 역할이 있기에 장기적 목표치를 제시하는 것은 무리라고 본다"는 의견을 내놨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