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대비 효율성 높아…남중국해 군사력 증강 차원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함포를 개발하고 있으며 2025년 실전 투입이 가능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CNBC는 30일(현지시간) 미 정보기관 보고서 내용을 알고 있는 소식통을 인용, 중국이 이달 초 함포 레일건을 시험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의하면 중국은 지난 2011년 레일건 개발을 처음 시작했으며 2014년에 시험 발사했다. 2015~1017년에는 치사량을 늘려 확장된 범위에서 공격할 수 있도록 조정했으며 2017년 12월 군함에 성공적으로 장착했다.
이는 다른 어떤 나라도 성공하지 못한 단계라는 분석이다. 중국은 2023년까지 해저 실험을 완료하고 2025년 실전에 투입할 준비가 될 것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레일건은 화학 폭발을 이용해 포탄이나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기를 이용하는 게 핵심이다.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해 발사체를 음속의 6~10배로 날려 보내 발사 속도, 사정거리, 화력 측면에서 기존 함포들과는 비교 자체가 되지 않을 정도로 강력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초당 최대 2.6㎞ 속도로 약 200㎞ 떨어진 곳을 공격할 수 있다. 보고서의 판단대로라면, 워싱턴 D.C에서 레일건을 발사할 경우 90초 만에 필라델피아에 도달할 수 있다.
레일건은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다는 판단에서 오랫동안 러시아, 이란, 미국이 보유하기를 원해온 무기다. 초기 개발 설치 비용은 크지만 그 이후 발사에 들어가는 비용은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포탄 발사 시 막대한 양의 전기가 필요하고 마모가 심각히 발생한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보고서는 중국이 함포 레일건을 한번 발사하는데 2만5000~5만 달러(약 2796만~5592만원)의 비용이 소요됐다고 평가했다. 기술 차이로 인해 정확한 비교가 될 수는 없지만, 미 해군의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의 경우에는 140만 달러(약 15억6590만원)가 소요된다.
미 해군도 함포 레일건을 개발했지만, 미 해군연구소에 의해 진행된 이 프로젝트는 아직까지 기밀로 남아 있다.
중국의 함포 레일건 개발은 남중국해 미사일방어시스템 배치와 관련 있다고 CNBC는 전했다.
[email protected]
CNBC는 30일(현지시간) 미 정보기관 보고서 내용을 알고 있는 소식통을 인용, 중국이 이달 초 함포 레일건을 시험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의하면 중국은 지난 2011년 레일건 개발을 처음 시작했으며 2014년에 시험 발사했다. 2015~1017년에는 치사량을 늘려 확장된 범위에서 공격할 수 있도록 조정했으며 2017년 12월 군함에 성공적으로 장착했다.
이는 다른 어떤 나라도 성공하지 못한 단계라는 분석이다. 중국은 2023년까지 해저 실험을 완료하고 2025년 실전에 투입할 준비가 될 것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레일건은 화학 폭발을 이용해 포탄이나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기를 이용하는 게 핵심이다.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해 발사체를 음속의 6~10배로 날려 보내 발사 속도, 사정거리, 화력 측면에서 기존 함포들과는 비교 자체가 되지 않을 정도로 강력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초당 최대 2.6㎞ 속도로 약 200㎞ 떨어진 곳을 공격할 수 있다. 보고서의 판단대로라면, 워싱턴 D.C에서 레일건을 발사할 경우 90초 만에 필라델피아에 도달할 수 있다.
레일건은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다는 판단에서 오랫동안 러시아, 이란, 미국이 보유하기를 원해온 무기다. 초기 개발 설치 비용은 크지만 그 이후 발사에 들어가는 비용은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포탄 발사 시 막대한 양의 전기가 필요하고 마모가 심각히 발생한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보고서는 중국이 함포 레일건을 한번 발사하는데 2만5000~5만 달러(약 2796만~5592만원)의 비용이 소요됐다고 평가했다. 기술 차이로 인해 정확한 비교가 될 수는 없지만, 미 해군의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의 경우에는 140만 달러(약 15억6590만원)가 소요된다.
미 해군도 함포 레일건을 개발했지만, 미 해군연구소에 의해 진행된 이 프로젝트는 아직까지 기밀로 남아 있다.
중국의 함포 레일건 개발은 남중국해 미사일방어시스템 배치와 관련 있다고 CNBC는 전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