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빈관·본관·헬기장 등 대체부지 광화문 인근서 못찾아"
"서울시·문화재청 추진의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사업 마무리 후 검토"
공약 파기 비판 피하기 위해 '청와대 내 광화문' 공간적 확장 개념 제시
"대통령의 소통·개방 취지 살리는 선에서 이전 계획 정리"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유홍준 광화문대통령시대위원회 자문위원은 4일 "청와대 개방과 대통령 집무실의 광화문 이전은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마무리 된 이후에 장기적인 사업으로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 위원은 이날 오후 청와대 브리핑에서 "집무실을 현 단계에서 광화문 청사로 이전할 경우 청와대 영빈관, 본관, 헬기장 등 집무실 이외 주요기능 대체부지를 광화문 인근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이렇게 밝혔다.
이어 "현재 서울시와 문화재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토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 위원은 청와대 브리핑 전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장 등 전문가들과 함께 역사성·보안·비용 등을 종합 검토한 결과를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전했다.
유 위원은 "청와대 개방은 대통령께서 '광화문 대통령'을 하겠다는 뜻은 국민과의 소통이라는 것과 청와대 개방 2가지가 기본 기조였다"며 "그 중 청와대 개방은 경복궁-청와대-북악산 연결시켜서 '청와대의 광화문'이 아니라, 광화문을 청와대 안으로 끌어들이는 확장하는 개념으로 추진해서 북악산 정축으로 올라갈 수 있는 방법으로 추진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대통령) 관저 앞을 통과해야 하는 문제가 따른다"며 이 문제를 관저 이전까지 포함해서 중장기적으로 추진하는 동선을 경호처와 함께 검토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같이 결론을 내림으로써 제가 맡고 있는 광화문대통령시대위원장은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이와 같은 사업을 실무부서에서 추진키로 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광화문 대통령'을 공약했다. 국민들과 자주 소통하려는 취지를 담았다. 이후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유 전 청장을 중심으로 하는 광화문대통령시대위원회를 구성해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계획을 수립 발전시켜 왔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집무실을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인근으로 옮기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결론 짓고, 서울시의 광화문 재구조화 사업에 포함시켜 장기 과제로 넘기는 방식으로 현실과 타협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그동안의 위원회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대통령 집무실의 광화문으로의 이전은 주요시설의 대체부지 확보 문제 등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을 담아 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이에 서울시와 문화재청의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사업에 '광화문 대통령' 공약의 취지를 반영시켜 장기 사업 과제로 추진·검토 하겠다는 게 유 위원의 설명이다.
유 위원은 "이러한 보고 내용을 들은 뒤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우리들이 갖고 있는 고민을 충분히 이해했다"고 전했다.
유 위원은 공약파기라는 비판 가능성에 대해 "대통령으로써 임무를 수행하다보니 경호와 의전이 엄청 복잡하고 어렵다는 사실을 문 대통령도 인지를 했고, 위원회 측에서도 (집무실 이전을 계속 추진할 경우) 동선을 만드는 데 엄청난 문제가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됐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어 "이 모든 것을 감안해 광화문 인근 속에서 새로운 곳을 찾아 집무실·관저 등을 전체적으로 재구성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적인 방안을 찾기도 했지만, 그것이 현실 가능한 방안은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덧붙였다.
유 위원은 "문 대통령이 내세운 '광화문 대통령'은 국민과의 소통, 청와대의 개방이라는 2가지가 기본 기조였다"며 "그 중 청와대 개방은 경복궁-청와대-북악산을 연결시켜 '청와대의 광화문'이 아니라 광화문을 청와대 안으로 끌어들이는 확장 개념으로 추진해 북악산을 정축으로 올라갈 수 있는 방법으로 추진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런(집무실 이전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는 북악산 개방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광화문으로 나가는 대신, 광화문을 청와대 안으로 끌어와 북악산까지 연결시키는 방안으로 본래의 소통과 개방의 취지를 살리겠다는 것으로 정리했다"고 덧붙였다.
역사성을 감안한 개념적 규정을 통해 문 대통령이 내세웠던 '광화문 대통령'의 취지를 살리기로 타협점을 찾았다는 얘기다.
유 위원은 "조선왕조가 서울로 정도한 이후에 청와대가 차지하고, 그 전에는 총독 관저가 들어오면서 한강-남대문-광화문-북악산-북한산까지 이어지는 서울의 '정축'이 한번도 국민들에게 개방되지 않았던 역사성이 있어서, 이것을 다시 살린다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