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경제가 희망이다]韓, 헬스케어·바이오 키운다…관건은 인재·ICT 융합

기사등록 2019/01/03 07:30:00

최종수정 2019/01/14 10:13:38

헬스케어 기술, 데이터·AI·IoT·바이오 융합 신기술이 좌우

한국, 우수인력·방대한 데이터·ICT 인프라 장점…잠재력 커

한계는 헬스케어 융합 전문인력, 민간투자, 제도적 기반 부족

4차위, 헬스케어 5대 프로젝트 추진…바이오헬스 규제 개선 논의

【성남=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경기도 성남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를 방문해 네오펙트의 재활치료용 글러브를 체험하고 있다. 2018.07.19. photo1006@newsis.com
【성남=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경기도 성남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를 방문해 네오펙트의 재활치료용 글러브를 체험하고 있다. 2018.07.1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 정부가 2022년까지 건강수명 76세, 일자리 18만명 양성을 목표로 '헬스케어' 산업을 키워 세계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따르면 미래 헬스케어 기술은 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바이오 융합 신기술이 좌우할 것으로 전망된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건강관리와 질병 진단, 치료의 해법을 찾는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은 지속 성장하고 있다. 2015년 약 64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 180억 달러로 성장이 예상된다. 유전정보, 의료정보, 건강정보, 연구데이터 등 정보가 결합하면 맞춤형 정밀의료 구현이 가능해진다.

의료 AI를 활용한 헬스케어 혁신도 기대된다. AI 활용 임상정보 수집·분석을 통해 진단·치료방법을 제안하면 질병진단의 속도와 정확성, 치료의 효율성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4차위는 분석하고 있다.

또 질병치료에 더욱 효과적인 약물 조합과 용도 변경 탐색, 약물 후보군, 임상환자 군의 최적화, 효과성 검증 등 신약개발 과정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시간·비용 등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IoT를 활용한 서비스 영역 확대 및 병원 시스템 혁신도 기대된다. 환자 수요 예측, 의료인력·자원 관리 등 의료 프로세스 전반이 최적화된 스마트 병원 구현이 가능하며, 환자 중심의 접수·수납, 진료, 검사 등 원스톱 서비스 제공 및 건강인과 환자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특히 유전공학, 합성생물학, 뇌과학 등 바이오 융합 혁신기술을 통해 희귀난치병의 치료, 인공장기 등 질병 극복 가능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강점은 우수인력·방대한 데이터·ICT 인프라…성장 잠재력 커

 우리나라는 바이오헬스 투자 확대·우수 인력을 바탕으로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 체결 등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의·약학 분야에 인재가 집중돼 있다. 산업별 석박사 비중을 보면 바이오산업이 전체의 26.4%로 가장 높다. 반도체 12.2%, IT 10.5%, 산업평균 8.6%를 크게 앞선다.  

바이오 벤처의 상장(IPO) 및 벤처캐피털의 바이오 투자도 확대 추세다. 벤처 캐피탈의 바이오 투자 추이를 보면 2013년 1463억원, 2015년 3170억원, 2017년 3788억원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투자 비중도 전 산업의 각각 10.6%, 15.2%, 15.9%를 차지하며 증가세다. 

이를 바탕으로 2018년 우리 제약기업의 해외 기술수출은 유한양행 폐암 치료제 기술이전(1조4000억원) 등 총 13건, 계약 규모 4조 8306억원의 성과를 이뤘다. 2017년에도 해외 기술수출 총 8건, 계약 규모 1조 3955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아울러 글로벌 수준의 임상시험 환경을 바탕으로 바이오의약품·세포 치료제 등 분야의 성과도 확산 추세다. 전 세계 총 8개 줄기세포치료제 중 4개 품목이 국내 개발제품이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수출액은 2015년 6억2700만 달러에서 2017년 13억6200만 달러로 2년 간 2배 이상 증가했다.

의기기기 분야에서도 우리나라는 초음파진단기 등 일부 분야에서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용성형용품 및 질병 진단 제품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핵심기술 중에는 뼈 엑스레이로 뼈 나이를 진단하는 Vuno사의 기술과 폐질환을 진단하는 Lunit사의 기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미래컴퍼니사는 내시경 수술로봇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특히 헬스케어 산업의 핵심인 방대한 데이터와 ICT 인프라를 확보한 점도 경쟁력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각 2조건 이상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전자의무기록(EMR) 보급률은 92%로 전 세계 1위다.

◇한계는 헬스케어 융합 전문인력, 민간 투자, 제도적 기반 부족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러한 강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미국, 일본 등 헬스케어 선진국에 뒤쳐져 있다.

4차위는 바이오헬스 투자 확대에도 불구하고 사업화 성과가 낮고, 글로벌 역량을 갖춘 전문인력이 부족한 점을 한계로 꼽았다.

【영동=뉴시스】이성기 기자 = 충북 영동군이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으로부터 '2017 모바일 헬스케어' 시범사업에 선정됐다. 사진은 한 주민이 모바일 헬스케어를 활용하는 모습이다.2017.03.29(사진=영동군 제공) sklee@newsis.com
【영동=뉴시스】이성기 기자 = 충북 영동군이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으로부터 '2017 모바일 헬스케어' 시범사업에 선정됐다. 사진은 한 주민이 모바일 헬스케어를 활용하는 모습이다.2017.03.29(사진=영동군 제공) [email protected]
4차위 보고서에 따르면, 헬스케어 분야 R&D 투자액은 증가하고 있지만, 응용·개발 연구 투자비중은 감소하는 등 실용화 투자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국내 보건의료 R&D 투자는 2012년 1조1000억원, 2016년 1조5000억원으로 연평균 8.8% 증가했다. 반면 응용·개발 R&D 투자비중은 2013년 51.8%에서 2016년 45.5%로 감소했다.

또 개방형 혁신 확산을 위한 산·학·연·병원 협력이 초기 단계이고, 혁신적 도전적 연구를 위한 민간영역 투자는 소극적이라고 진단했다. 2016년 생명·보건의료에 대한 정부의 투자는 민간 대비 1.2배 많았다.

헬스케어 융합인력 수요는 지난 2016년 20만8000명에서 2022년 30만7000명으로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국내기업의 인력양성 과정은 단기 연수에 그치는 등 전문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빅데이터를 비롯한 ICT 등 기술개발 여건은 조성됐지만, 활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의료기관별 상이한 전자의무기록 체계, 의료데이터 처리 관련 법적 기반 부족 등으로 기관 간 데이터의 연계·공유가 미흡해 신약·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등 활용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제약 부문에서도 복제약과 내수 중심의 취약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또 AI 등 원천 기술 부족과 제약업계의 영세성으로 차세대 미래 유망분야에 대한 투자가 저조하다. 1개의 신약을 개발하는 데 평균 10~15년이 걸리는데, 성공률은 0.5%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의료기기 산업 기반도 전반적으로 취약하다. 업체 대부분이 영세해 기술력이 부족하다. 게다가 기술을 개발하더라도 규제 탓에 시장진출까지 최대 520일이 소요되는 등 사업화가 지체되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4차위, 헬스케어 5대 프로젝트 추진…규제 개선 논의

 이에 4차위는 지난해 12월부터 위원회 내 '헬스케어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헬스케어 분야 주요 아젠다를 논의하고 있다.

주요 안건은 ▲헬스케어산업 생태계 조성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구축 ▲AI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 임상시험센터 ▲융복합 헬스케어기기+체외진단기기 등 5대 프로젝트 추진 전략과 바이오헬스 분야 규제 개선이다.

4차위는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미래 헬스케어의 비전을 제시하고, 헬스케어특위 5대 프로젝트의 구체적 실행방안을 종합해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정부는 데이터와 ICT 인프라를 연계·공유해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 중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도 지난 12월 10일 4차위 제9차 회의에 특별위원 자격으로 참석해 헬스케어 분야 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장관은 "한국 산업계를 주도할 수 있는 분야 중 하나가 헬스케어"라며 "지금은 ICT 업계에서 이끌고 있지만 향후 헬스케어 분야에서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4차위는 향후 헬스케어특위 위원들이 중장기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과제로 제안한 유전자 치료·검사 허가 규제, 의료데이터 보호 및 활용 등에 관한 주제에 대해 사회적 논의를 지속할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新경제가 희망이다]韓, 헬스케어·바이오 키운다…관건은 인재·ICT 융합

기사등록 2019/01/03 07:30:00 최초수정 2019/01/14 10:13:38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