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일제강점기 항일운동 중심축
청년·학생들 중심, 비폭력 투쟁이 특징
각계각층 민중들 참여 최대 규모 운동
임시정부, 독립운동 상징…국가상 그려
국가는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 되는 것
【서울=뉴시스】배민욱 기자 = 2019년 기해년(己亥年)이 밝았다. 올해는 역사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해다. 민족의 자주독립을 전 세계에 알린 3·1운동과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꿈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이 100년을 맞았다.
◇3·1운동, 민족의 자주독립 전 세계에 알리다
1일 국가기록원 등에 따르면 3·1운동은 1919년 3월1일을 기점으로 일본의 무단통치에 저항해 일어난 항일만세운동이다. 일제강점기에 나타난 최대 규모의 민족운동이었다. 3·1운동과 정신을 기념하는 3·1절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때부터 국경일로 지정해 기념했다. 일제강점기 동안 항일운동의 중심축이 됐다.
3·1운동은 수개월 동안 지속됐다. 도시 등 교통이 발달한 곳을 중심으로 시작돼 농촌 등지로 전파되며 전국적인 규모로 확산됐다. 국외로도 확산돼 만주, 연해주, 도쿄, 오사카, 필라델피아 등에서도 독립시위가 벌어졌다.
전개 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점화기)에서는 서울을 비롯해 평양, 진남포, 안주, 의주, 선천, 원산 등의 주요 도시에서 독립선언서가 배포돼 운동이 시작됐다. 비폭력 투쟁이 특징이었다. 학생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3월10일을 전후로 한 2단계(도시확산기)에 운동이 전국 주요 도시들로 확산됐다. 상인과 노동자들도 참여했다. 3월 중순 이후의 3단계(농촌확산기)에는 도시뿐 아니라 농촌에서도 시위가 일상화됐다. 농민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시위의 규모도 커졌다. 특히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까지 전체 시위의 60% 이상이 일어날 정도로 운동은 최고조에 이르렀다.
3월1일 서울과 평양, 의주, 선천, 안주, 원산, 진남포 등 6개 도시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시작됐다. 민족대표들은 독립선언식의 거행장소를 군중들이 모여 있던 탑골공원에서 서울 인사동의 태화관(泰和館)으로 변경했다. 민족대표 33명 가운데 29명은 3월1일 오후 2시 태화관에 모여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인 서영환(徐永煥)을 통해 독립통고서를 조선총독부에 전달했다.
이어 오후 3시 한용운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에 일본 경찰에 통고해 스스로 체포됐다. 탑골공원에 모여 있던 학생들은 오후 2시30분 무렵에 따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두 갈래로 나눠 종로, 서울역, 정동, 이화학당, 서대문 등을 행진하며 시위를 벌였다.
3월2일에는 함흥, 수안, 황주, 중화, 강서, 대동, 해주, 개성 등 천도교와 기독교의 조직력이 강한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의 주요도시들로 시위가 확산됐다. 3월3일에는 고종의 장례식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서울로 모였고 이들 가운데 많은 수가 시위운동에 참가했다.
서울의 학생들은 원래의 계획대로 3월5일 남대문역 광장에서 만세시위를 벌였다. 평양과 광주 등의 학생들도 결사대를 조직해 참여했다. 이날의 시위는 3월 중순 이후 각 지방으로 시위운동이 확산되는 데 큰 구심점이 됐다. 고종의 장례식을 참관하고 지방으로 돌아가는 참배객들에게 운동의 지속성을 전파했기 때문이다.
◇3·1운동, 민족의 자주독립 전 세계에 알리다
1일 국가기록원 등에 따르면 3·1운동은 1919년 3월1일을 기점으로 일본의 무단통치에 저항해 일어난 항일만세운동이다. 일제강점기에 나타난 최대 규모의 민족운동이었다. 3·1운동과 정신을 기념하는 3·1절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때부터 국경일로 지정해 기념했다. 일제강점기 동안 항일운동의 중심축이 됐다.
3·1운동은 수개월 동안 지속됐다. 도시 등 교통이 발달한 곳을 중심으로 시작돼 농촌 등지로 전파되며 전국적인 규모로 확산됐다. 국외로도 확산돼 만주, 연해주, 도쿄, 오사카, 필라델피아 등에서도 독립시위가 벌어졌다.
전개 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점화기)에서는 서울을 비롯해 평양, 진남포, 안주, 의주, 선천, 원산 등의 주요 도시에서 독립선언서가 배포돼 운동이 시작됐다. 비폭력 투쟁이 특징이었다. 학생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3월10일을 전후로 한 2단계(도시확산기)에 운동이 전국 주요 도시들로 확산됐다. 상인과 노동자들도 참여했다. 3월 중순 이후의 3단계(농촌확산기)에는 도시뿐 아니라 농촌에서도 시위가 일상화됐다. 농민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시위의 규모도 커졌다. 특히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까지 전체 시위의 60% 이상이 일어날 정도로 운동은 최고조에 이르렀다.
3월1일 서울과 평양, 의주, 선천, 안주, 원산, 진남포 등 6개 도시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시작됐다. 민족대표들은 독립선언식의 거행장소를 군중들이 모여 있던 탑골공원에서 서울 인사동의 태화관(泰和館)으로 변경했다. 민족대표 33명 가운데 29명은 3월1일 오후 2시 태화관에 모여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인 서영환(徐永煥)을 통해 독립통고서를 조선총독부에 전달했다.
이어 오후 3시 한용운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에 일본 경찰에 통고해 스스로 체포됐다. 탑골공원에 모여 있던 학생들은 오후 2시30분 무렵에 따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두 갈래로 나눠 종로, 서울역, 정동, 이화학당, 서대문 등을 행진하며 시위를 벌였다.
3월2일에는 함흥, 수안, 황주, 중화, 강서, 대동, 해주, 개성 등 천도교와 기독교의 조직력이 강한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의 주요도시들로 시위가 확산됐다. 3월3일에는 고종의 장례식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서울로 모였고 이들 가운데 많은 수가 시위운동에 참가했다.
서울의 학생들은 원래의 계획대로 3월5일 남대문역 광장에서 만세시위를 벌였다. 평양과 광주 등의 학생들도 결사대를 조직해 참여했다. 이날의 시위는 3월 중순 이후 각 지방으로 시위운동이 확산되는 데 큰 구심점이 됐다. 고종의 장례식을 참관하고 지방으로 돌아가는 참배객들에게 운동의 지속성을 전파했기 때문이다.
3월10일 이후에는 시위가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충청도 등 중남부 지방으로 확대돼 전국적 규모로 확산됐다. 이 과정에는 교사와 학생 등 지방 사회의 지식인들이 역할이 컸다. 이들은 선언서 등의 각종 유인물과 시위 경험을 각 지역에 전파했다. 비밀결사와 결사대를 조직해 시위를 조직하고 주도했다.
3·1운동의 전국적 확산에 큰 역할을 한 것은 청년과 학생들이었다. 이들은 민족의 주체역량으로 독립을 쟁취할 것을 주장했다. 운동은 3월 중순 이후 농촌 지역으로 확산됐다. 노동자, 농민, 중소상공인 등 각계각층의 민중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민중운동으로 발전됐다.
운동이 발전될수록 투쟁 목표가 구체화되고 조직화됐다. 비폭력적인 만세시위운동에서 계획적이고 공세적인 투쟁으로 진전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일제는 3·1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했다. 화성 제암리, 천안 아우내, 정주 곽산, 남원 광한루, 익산 이리 등 전국 각지에서 시위대에 총격을 가하는 등 학살을 저질렀다. 시위자들을 체포홰 가혹한 고문도 서슴지 않았다.
3·1운동은 각계각층의 민중들이 폭넓게 참여한 최대 규모의 항일운동이다. 나라 안팎에 민족의 독립의지와 저력을 보여줬다. 나아가 이를 계기로 같은해 4월11일 중국 상해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독립운동을 체계화·조직화·활성화할 수 있었다. 3·1운동과 정신을 기념하는 3·1절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때부터 국경일로 지정해 기념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
1919년 4월11일 대한민국임시헌장이 공포됐다. 이 공포문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으로 함'이라는 문구로 제1조가 시작된다. 지금의 대한민국이라는 국호, 민주공화국이라는 정체가 확립된 순간이다. 3·1 운동의 결과로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일제시기 동안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광복 이후의 국가상을 그려 나갔다.
1910년 8월29일 한일병합조약 체결 이후 우리 민족은 나라를 잃고 일본제국의 식민지로 전락했다. 지금도 우리는 이날을 ‘경술국치’라 부른다. 당시 국권 상실의 슬픔은 새로운 국가건설을 향한 꿈을 꾸게 만들었다. 그 나라는 절대 권력이 아닌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 되는 것이었다.
이 같은 내용은 안창호의 유품에서 발견된 '대동단결선언(大同團結宣言)'을 통해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대동단결선언'은 국민주권설을 주장하며 주권행사의 의무와 권리가 국민에게 있음을 밝히고 독립된 조국의 원만한 운영을 위해 임시정부와 같은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 선언문은 신규식, 박은식, 신채호, 박용만, 윤세복, 조소앙, 신석우, 한진교 등 14명이 발기인으로 참여해 1917년 중국 상해에서 작성됐다.
3·1운동의 전국적 확산에 큰 역할을 한 것은 청년과 학생들이었다. 이들은 민족의 주체역량으로 독립을 쟁취할 것을 주장했다. 운동은 3월 중순 이후 농촌 지역으로 확산됐다. 노동자, 농민, 중소상공인 등 각계각층의 민중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민중운동으로 발전됐다.
운동이 발전될수록 투쟁 목표가 구체화되고 조직화됐다. 비폭력적인 만세시위운동에서 계획적이고 공세적인 투쟁으로 진전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일제는 3·1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했다. 화성 제암리, 천안 아우내, 정주 곽산, 남원 광한루, 익산 이리 등 전국 각지에서 시위대에 총격을 가하는 등 학살을 저질렀다. 시위자들을 체포홰 가혹한 고문도 서슴지 않았다.
3·1운동은 각계각층의 민중들이 폭넓게 참여한 최대 규모의 항일운동이다. 나라 안팎에 민족의 독립의지와 저력을 보여줬다. 나아가 이를 계기로 같은해 4월11일 중국 상해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독립운동을 체계화·조직화·활성화할 수 있었다. 3·1운동과 정신을 기념하는 3·1절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때부터 국경일로 지정해 기념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
1919년 4월11일 대한민국임시헌장이 공포됐다. 이 공포문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으로 함'이라는 문구로 제1조가 시작된다. 지금의 대한민국이라는 국호, 민주공화국이라는 정체가 확립된 순간이다. 3·1 운동의 결과로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일제시기 동안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광복 이후의 국가상을 그려 나갔다.
1910년 8월29일 한일병합조약 체결 이후 우리 민족은 나라를 잃고 일본제국의 식민지로 전락했다. 지금도 우리는 이날을 ‘경술국치’라 부른다. 당시 국권 상실의 슬픔은 새로운 국가건설을 향한 꿈을 꾸게 만들었다. 그 나라는 절대 권력이 아닌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 되는 것이었다.
이 같은 내용은 안창호의 유품에서 발견된 '대동단결선언(大同團結宣言)'을 통해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대동단결선언'은 국민주권설을 주장하며 주권행사의 의무와 권리가 국민에게 있음을 밝히고 독립된 조국의 원만한 운영을 위해 임시정부와 같은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 선언문은 신규식, 박은식, 신채호, 박용만, 윤세복, 조소앙, 신석우, 한진교 등 14명이 발기인으로 참여해 1917년 중국 상해에서 작성됐다.
이 선언은 주권불멸론과 융희황제의 주권포기론을 근거로 국민주권설을 정립해 독립운동 이념을 확립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선언의 내용이 '신한민보(新韓民報)' 등 해외 한인들의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국민이 주인이 되는 새로운 나라 건설'이라는 희망을 품게 했다.
1919년 일제의 식민통치를 부정하고 민족의 독립을 요구한 3·1운동이 일어났다. 이후 3·1운동으로 표출된 독립의 열망과 의지를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임시정부 수립이 본격적으로 논의됐다.
3·1운동이 국내·외로 확산되는 가운데 3월과 4월에 걸쳐 곳곳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됐다. 이 가운데에 실제적인 조직과 기반을 갖춘 곳은 연해주, 한성, 상해에서 각각 수립된 임시정부였다. 특히 러시아에서는 3·1운동 직전인 2월에 '전로한족회중앙총회'가 중심이 돼 노령임시정부를 수립했다.
3·1운동 직후 국내·외 독립운동가들은 상해로 집결했다. 4월10~11일 임시의정원 회의를 개최하고 상해임시정부를 수립했다. 국내에서는 13도 대표들이 인천 만국공원(萬國公園·현재의 자유공원)에 모여 임시정부 수립을 결의했다. 이후 4월23일 국민대회를 열고 한성임시정부의 수립을 알렸다.
노령, 상해, 한성에 기반을 둔 개별 임시정부는 1919년 9월11일 대통합을 이뤄냈다. 한성정부의 정통을 잇고 연해주의 대한국민회의는 임시의정원과 통합하며 설치장소는 상해로 한다는 내용에 합의했다. 이로써 하나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것이다.
'대한민국임시헌장'을 개정해 1919년 9월 '대한민국임시헌법'이 공포됐다. 이 헌법 전문에서 '3·1운동의 자주 독립 정신을 계승해 대한민국을 건설한다'는 점을 밝혔다. 초대 임시대통령으로 이승만의 당선이 선포됐다. 상해의 '독립신문'에 신내각인 초대 국무위원 명단도 발표됐다. 국무총리 이동휘, 내무총장 이동녕, 외무총장 박용만, 군무총장 노백린, 재무총장 이시영, 법무총장 신규식, 학무총장 김규식, 교통총장 문창범, 노동국총변 안창호 등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26년 9월 임시대통령제를 폐지하고 국무원제를 채택했다. 이후에는 위원내각제가 정부형태의 주류를 이뤘다. 1932년 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계기로 일본군에 쫓겨 1945년 8·15 광복을 맞이할 때까지 중국 상해, 항주, 장사, 유주 등을 거쳐 중경으로 옮겨가며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다양한 방법의 저항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email protected]
1919년 일제의 식민통치를 부정하고 민족의 독립을 요구한 3·1운동이 일어났다. 이후 3·1운동으로 표출된 독립의 열망과 의지를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임시정부 수립이 본격적으로 논의됐다.
3·1운동이 국내·외로 확산되는 가운데 3월과 4월에 걸쳐 곳곳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됐다. 이 가운데에 실제적인 조직과 기반을 갖춘 곳은 연해주, 한성, 상해에서 각각 수립된 임시정부였다. 특히 러시아에서는 3·1운동 직전인 2월에 '전로한족회중앙총회'가 중심이 돼 노령임시정부를 수립했다.
3·1운동 직후 국내·외 독립운동가들은 상해로 집결했다. 4월10~11일 임시의정원 회의를 개최하고 상해임시정부를 수립했다. 국내에서는 13도 대표들이 인천 만국공원(萬國公園·현재의 자유공원)에 모여 임시정부 수립을 결의했다. 이후 4월23일 국민대회를 열고 한성임시정부의 수립을 알렸다.
노령, 상해, 한성에 기반을 둔 개별 임시정부는 1919년 9월11일 대통합을 이뤄냈다. 한성정부의 정통을 잇고 연해주의 대한국민회의는 임시의정원과 통합하며 설치장소는 상해로 한다는 내용에 합의했다. 이로써 하나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것이다.
'대한민국임시헌장'을 개정해 1919년 9월 '대한민국임시헌법'이 공포됐다. 이 헌법 전문에서 '3·1운동의 자주 독립 정신을 계승해 대한민국을 건설한다'는 점을 밝혔다. 초대 임시대통령으로 이승만의 당선이 선포됐다. 상해의 '독립신문'에 신내각인 초대 국무위원 명단도 발표됐다. 국무총리 이동휘, 내무총장 이동녕, 외무총장 박용만, 군무총장 노백린, 재무총장 이시영, 법무총장 신규식, 학무총장 김규식, 교통총장 문창범, 노동국총변 안창호 등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26년 9월 임시대통령제를 폐지하고 국무원제를 채택했다. 이후에는 위원내각제가 정부형태의 주류를 이뤘다. 1932년 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계기로 일본군에 쫓겨 1945년 8·15 광복을 맞이할 때까지 중국 상해, 항주, 장사, 유주 등을 거쳐 중경으로 옮겨가며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다양한 방법의 저항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