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노조 5일 오후 전체 대의원 비상회의…총파업 여부 결정
【광주=뉴시스】이창우 기자 = 노사민정 대타협을 기본정신으로 한 광주형 일자리의 첫 모델인 '현대자동차 광주 완성차공장 투자 협상' 최종 타결을 하루 앞두고 노동계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지난 4일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광주형일자리 협약체결 시 총파업 강행을 예고한데 이어 기아자동차 노동조합도 5일 오후 2시 경기도 소하리공장에서 긴급 대의원 회의를 갖고 총파업 일정과 수위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기아차노조는 성명서를 내고 '기아차 고용불안 야기하는 광주형 일자리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는 국내자동차 산업의 몰락을 가져오고, 기아차 총고용에 직격탄으로 되돌아 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경차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이고, 생산과 판매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며 "특히 광주형 일자리가 현실화 될 경우 국내 경차 시장의 69.3%를 점유하고 있는 기아차에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 우려감을 표시했다.
노조는 "올해 10월 현재 기준 기아차 총판매량은 4만5832대이며, 이중 경차 판매량은 7602대로 전체 판매량의 16.5%를 차지하고 있다"며 "국내 경차 시장 점유률은 완성차 중 기아차 비중이 제일 높은 가운데, 광주형 일자리를 통해 경차 10만대가 양산 될 경우 기아차 총고용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아차 노조는 "추진단이 광주형 일자리를 좋은 일자리로 포장하고 언론을 통해 홍보하고 있지만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고 있다"며 "부족한 임금을 국민 세금을 기반으로 한 복지로 채우려 하면서 국민들에 광주형 일자리 세부 관련 내용을 숨기는 이유가 무엇인지 밝히"라고 촉구했다.
노동계가 반발하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광주시와 현대차가 합작법인을 설립해 빛그린산단 내 62만8000㎡ 부지에 자기자본 2800억원, 차입금 4200억원 등 총 7000억원을 투입해 연간 10만대 규모의 1000cc 미만 경형SUV 공장을 세우는 프로젝트다.
기존 완성차업체 임금의 절반 수준의 적정임금을 유지하는 대신 정부와 지자체가 주택, 교육지원 등 사회임금을 통해 소득을 보전해주는 노사상생형 일자리 창출 모델이다.
[email protected]
지난 4일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광주형일자리 협약체결 시 총파업 강행을 예고한데 이어 기아자동차 노동조합도 5일 오후 2시 경기도 소하리공장에서 긴급 대의원 회의를 갖고 총파업 일정과 수위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기아차노조는 성명서를 내고 '기아차 고용불안 야기하는 광주형 일자리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는 국내자동차 산업의 몰락을 가져오고, 기아차 총고용에 직격탄으로 되돌아 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경차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이고, 생산과 판매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며 "특히 광주형 일자리가 현실화 될 경우 국내 경차 시장의 69.3%를 점유하고 있는 기아차에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 우려감을 표시했다.
노조는 "올해 10월 현재 기준 기아차 총판매량은 4만5832대이며, 이중 경차 판매량은 7602대로 전체 판매량의 16.5%를 차지하고 있다"며 "국내 경차 시장 점유률은 완성차 중 기아차 비중이 제일 높은 가운데, 광주형 일자리를 통해 경차 10만대가 양산 될 경우 기아차 총고용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아차 노조는 "추진단이 광주형 일자리를 좋은 일자리로 포장하고 언론을 통해 홍보하고 있지만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고 있다"며 "부족한 임금을 국민 세금을 기반으로 한 복지로 채우려 하면서 국민들에 광주형 일자리 세부 관련 내용을 숨기는 이유가 무엇인지 밝히"라고 촉구했다.
노동계가 반발하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광주시와 현대차가 합작법인을 설립해 빛그린산단 내 62만8000㎡ 부지에 자기자본 2800억원, 차입금 4200억원 등 총 7000억원을 투입해 연간 10만대 규모의 1000cc 미만 경형SUV 공장을 세우는 프로젝트다.
기존 완성차업체 임금의 절반 수준의 적정임금을 유지하는 대신 정부와 지자체가 주택, 교육지원 등 사회임금을 통해 소득을 보전해주는 노사상생형 일자리 창출 모델이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