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경제·국토·농업 등 남북교류 관련 다양한 제언
성낙인 "이산가족 문제, 행복추구권 기준 재인식해야"
【서울=뉴시스】심동준 기자 = 서울대학교에서 남북 교류와 협력 사업 진행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향과 방안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다.
서울대에 따르면 3일 오후 2시 서울 관악구 교내 호암회관에서 이뤄진 '한반도 평화체제와 서울대학교의 역할' 특별 심포지엄에서는 향후 남북 관계를 긍정적으로 보는 관점에서 교육·경제·국토·농업 등 분야에서 실현 가능한 사업·연구에 대한 다양한 제언이 이뤄졌다.
해당 심포지엄은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에서 주최한 것이다. 연구원은 7월 중 '남북협력 특별 태스크포스(TF)' 설치를, 8월 중 '북한과 한반도의 미래 연구단' 발족을 예정하고 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나온 제언들은 남북 교류 사업화 또는 연구 기획이 반영될 예정이다.
먼저 성낙인 서울대 총장은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남북 관계가 변화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유라시아에 퍼져 있는 한민족 공동체를 새롭게 다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성 총장은 "남북관계의 개선과 남북 교류의 활성화, 북한의 개혁 개방에 필요한 고등교육 차원의 대비가 필요하다"라며 "이산가족 문제는 행복추구권 개념을 기준으로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또 "남북교류 협력 과정에서 예상되는 민사소송 등 다양한 분쟁해결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라면서 "판문점선언과 평화협정의 국제법적 성격과 쟁점을 치밀하게 검토하는 등 서울대의 전문 지식이 앞으로의 통일과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심포지엄에서는 전상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남북한 수학·과학 교육협력과 학술교류의 방향'을, 김병연 경제학부 교수가 '북한의 체제이행 및 초기 경제발전 전략·통일한국의 산업지도 재설계·북한 주민의 인적자본 육성 및 교육투자 방안'을 주제로 발언했다.
또 박수진 아시아연구소장은 남북 공동 '한반도 지리지·지도집' 발간과 '한반도 통합지역정보센터' 설립, 통일 국토 공간 미래상에 대한 '남·북·중·일 공동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했다.
정창무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통일 국토의 문제와 과제를 진단하면서 향후 협력 가능한 사업을, 임정빈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남북 농업협력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실천방안을 내놓았다.
이어진 첫 학술회의에서는 조동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의 사회로 이효원 법학대학원 교수가 '판문점 선언의 법적 성격과 과제', 이규창 통일연구원 박사가 '평화체제 구축의 법·제도적 과제, 국제법적 차원'을 주제로 발표했다. 토론자로는 이상숙 국립외교원 교수, 이혜정 중앙대 교수, 김영일 통일부 교류협력기획과장이 참여했다.
임경훈 통일평화연구원장의 사회로 진행되는 두 번째 학술회의 자리에서는 전상학 교수와 김병연 교수 등 심포지엄 발표자들의 발언을 토대로 이우영 북한대학원대 교수, 이재영 기초교육원장 등이 토론을 진행했다.
[email protected]
서울대에 따르면 3일 오후 2시 서울 관악구 교내 호암회관에서 이뤄진 '한반도 평화체제와 서울대학교의 역할' 특별 심포지엄에서는 향후 남북 관계를 긍정적으로 보는 관점에서 교육·경제·국토·농업 등 분야에서 실현 가능한 사업·연구에 대한 다양한 제언이 이뤄졌다.
해당 심포지엄은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에서 주최한 것이다. 연구원은 7월 중 '남북협력 특별 태스크포스(TF)' 설치를, 8월 중 '북한과 한반도의 미래 연구단' 발족을 예정하고 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나온 제언들은 남북 교류 사업화 또는 연구 기획이 반영될 예정이다.
먼저 성낙인 서울대 총장은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남북 관계가 변화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유라시아에 퍼져 있는 한민족 공동체를 새롭게 다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성 총장은 "남북관계의 개선과 남북 교류의 활성화, 북한의 개혁 개방에 필요한 고등교육 차원의 대비가 필요하다"라며 "이산가족 문제는 행복추구권 개념을 기준으로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또 "남북교류 협력 과정에서 예상되는 민사소송 등 다양한 분쟁해결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라면서 "판문점선언과 평화협정의 국제법적 성격과 쟁점을 치밀하게 검토하는 등 서울대의 전문 지식이 앞으로의 통일과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심포지엄에서는 전상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남북한 수학·과학 교육협력과 학술교류의 방향'을, 김병연 경제학부 교수가 '북한의 체제이행 및 초기 경제발전 전략·통일한국의 산업지도 재설계·북한 주민의 인적자본 육성 및 교육투자 방안'을 주제로 발언했다.
또 박수진 아시아연구소장은 남북 공동 '한반도 지리지·지도집' 발간과 '한반도 통합지역정보센터' 설립, 통일 국토 공간 미래상에 대한 '남·북·중·일 공동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했다.
정창무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통일 국토의 문제와 과제를 진단하면서 향후 협력 가능한 사업을, 임정빈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남북 농업협력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실천방안을 내놓았다.
이어진 첫 학술회의에서는 조동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의 사회로 이효원 법학대학원 교수가 '판문점 선언의 법적 성격과 과제', 이규창 통일연구원 박사가 '평화체제 구축의 법·제도적 과제, 국제법적 차원'을 주제로 발표했다. 토론자로는 이상숙 국립외교원 교수, 이혜정 중앙대 교수, 김영일 통일부 교류협력기획과장이 참여했다.
임경훈 통일평화연구원장의 사회로 진행되는 두 번째 학술회의 자리에서는 전상학 교수와 김병연 교수 등 심포지엄 발표자들의 발언을 토대로 이우영 북한대학원대 교수, 이재영 기초교육원장 등이 토론을 진행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