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국회의장 후보, 대여 투쟁 '선명성' 경쟁…'중립' 관례 깨나

기사등록 2024/04/23 12:07:24

최종수정 2024/04/23 14:40:51

'친명 체제' 공고화 속 강성 의장 탄생 초읽기

조정식·추미애·정성호 "중립 의미 없어" 한목소리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04.22. bjko@newsis.com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04.2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22대 국회 첫 국회의장에 도전하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정치적 중립'은 뒤로한 채 연일 대여 '선명성' 경쟁을 펼치고 있다.

헌정사 최초로 야당에 압도적 과반을 안긴 4·10 총선 민심을 받들려면 국회의장도 기계적 중립에서 벗어나 당심을 따라야 한다는 논리다. 이재명 대표의 당내 입지가 더욱 공고해지면서 강성 지지층을 공략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친명(친이재명)계 좌장 격인 정성호 의원은 이날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국회의장 출마 의사를 밝히며 "여당과 야당 사이의 기계적 중립만 지켜서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민주당 출신의 국회의장으로 또 일단 다수당으로서의 책임이 있다"며 "민생입법의 성과를 내려면 소수 여당과도 협의를 해야 하고 예산의 편성과 집행은 정부의 책임이기 때문에 정부 여당을 견인해 낼 그런 책임도 있다. 중립이라고 하는 것이 기계적 중립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고 주장했다.

그는 더 나아가 "민주당 출신으로서 다음 선거에서 민주당의 승리를 위해 보이지 않게 그 바닥을 만들어줘야 할 책임도 있다"고도 언급했다.

정 의원은 이에 대해 "결국 성과로 나타나야 한다"며 "국회가 아무런 입법의 성과가 없다고 하면 국민들로부터 국회 자체가 비판을 받는데 지금 다수당이 민주당이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당과의 충분한 소통을 말씀드린 것이다"고 부연했다.

정치적 중립이 국회법에 명시된 의무 아니냐는 지적에는 "법률에 당적을 이탈하라고 하는 것이 구체적인 내용은 있지 않다. 그건 정치적인 의미"라며 "거당적으로 국민을 위해서 또 국민 민복을 위해서 국회의장의 역할을 하라는 의미"라고 강변했다.

 당내 최다선인 6선으로 국회의장 경선에 출마하는 조정식 의원과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도 사실상 민주당의 입법 추진에 힘을 싣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조 의원은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21대 국회에서) 의장이 민주당 편을 제대로 들지 않았다는 비판이 있었다"며 "총선 민심에서 드러난 내용을 관철하고 성과로 만드는 게 의장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지난 21일 간담회에서는 "개혁 국회로 성과를 내고 민주당이 주도하는 입법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그에 걸맞은 필요한 역할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또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을 때 재표결하려면 200석이 있어야 한다. 180석 정도로 조정할 필요도 있겠다"고 했다.

앞서 추미애 당선인도 지난 11일 "국회의장이 중립은 아니"라며 대여 공세를 예고했다. 추 당선인은 "지난 국회를 보면 서로 절충점을 찾으라는 이유로 각종 개혁입법이 좌초되거나 또는 의장의 손에 의해서 알맹이가 빠져버리는 등 안 좋은 일이 있었다"고 했다.

의장 선거가 과열 양상으로 치닫고 있지만 이재명 대표는 사실상 이들의 선명성 경쟁을 거들었다. 그는 지난 19일 유튜브 방송으로 생중계된 '당원과의 만남'에서 "(21대 국회에선) 민주당에서 배출된 의장인데 민주당 편을 안 들어서 불만이라는 말이 많다"고 동조했다.

당 관계자는 "강한 야당이 되라는 게 이번 총선의 민의"라며 "여당에 끌려다니지 않고 대여 공세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데 이견이 거의 없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민주 국회의장 후보, 대여 투쟁 '선명성' 경쟁…'중립' 관례 깨나

기사등록 2024/04/23 12:07:24 최초수정 2024/04/23 14:40:51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