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파업하면 병원장 책임이다?…정부 방침에 '당혹'

기사등록 2024/02/08 14:37:27

"전공의 파업관리 상급병원 평가 반영"

"공정민감 MZ세대 전공의 막기 어려워"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서울의 대형병원, 이른바 '빅5'(서울대·서울아산·삼성서울·세브란스·서울성모병원) 병원 전공의들이 정부의 의대증원 발표에 반발해 파업을 준비하고 있다. '빅5' 병원은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의 요청에 따라 총파업 참여 찬반 투표를 진행 중이다. 지난 6일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에 이어 이날 서울아산병원도 파업 참여 투표 결과 가결됐다. 8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사들이 이동하고 있다. 2024.02.08.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서울의 대형병원, 이른바 '빅5'(서울대·서울아산·삼성서울·세브란스·서울성모병원) 병원 전공의들이 정부의 의대증원 발표에 반발해 파업을 준비하고 있다. '빅5' 병원은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의 요청에 따라 총파업 참여 찬반 투표를 진행 중이다. 지난 6일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에 이어 이날 서울아산병원도 파업 참여 투표 결과 가결됐다. 8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사들이 이동하고 있다. 2024.02.0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정부와 전공의(인턴·레지던트) 간 강대강 대치 국면이 이어지면서 대학병원장들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른바 대형병원인 '빅5' 전공의들의 총파업 참여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전공의 파업이 현실화해 장기화할 경우 전임의(임상강사), 대학교수 이탈로까지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8일 의료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7일 열린 수련병원 긴급 온라인 간담회에서 전공의들의 파업 참여를 막지 못하면 상급종합병원 지정 평가에 반영하겠다고 경고했다.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 기준에는 인력, 의료 서비스 수준, 환자 구성 상태 등과 함께 '교육 기능'이 포함돼 있다.

서울의 A 대학병원장은 "전공의들이 파업에 나서지 않도록 징계해 관리하고 파업 참여 전공의 명단을 제출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면서 "우리 지시가 전공의에게 먹히질 않는데 어떻게 막겠느냐, 너무 답답하다"고 말했다.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오는 12일 임시 대의원 총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지방의 B 대학병원장은 "병원 내 의사 간 관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면서 "병원은 상하관계가 있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업무 시 독립적으로 일하는 문화이기 때문에 공무원이나 검사 조직과 다르다"고 했다. 예를 들어 정형외과 전문의인 원장이 내과 의사에게 어떤 약을 처방하라고 지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전공의들이 공정에 민감한 MZ세대라는 점도 병원장들이 전공의들의 움직임을 막기 어려운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정형준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위의장은 "MZ세대는 공정성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한다"면서 "본인들은 의대 정원이 3058명일 때 어렵게 경쟁을 뚫고 입학했는데, 정원 2000명 확대로 의대 문이 확 넓어지면 상대적으로 입학이 더 쉬워져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2020년 전공의들이 결집한 것도 공정 이슈와 관련이 있다"면서 "정부의 강경 대응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실제 전공의들은 2020년 의대 정원 확대 저지와 함께 공공의대 설립을 막기 위해 총파업에 나섰다. 시도 지사와 시민단체의 추천을 받아 공공 의대생을 뽑는다는 추천 전형에 "불공정하다"며 반발한 것이다. 당시 파업은 전공의들이 19일 만에 병원에 복귀하면서 일단락됐다.

현재 인턴들은 정부의 의대증원과 강경대응 방침에 반발해 이달 말 수련교육 기간이 끝나면 사직하고 1년 뒤 전공의 과정을 다시 밟는 방안까지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지난 7일 각 수련병원에 '집단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과 함께 각 수련병원에 3~5명으로 꾸린 전담팀을 배치해 전공의 근무 상황을 점검하도록 하고 경찰도 배치하자 오히려 전공의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의료계 내부에서는 전공의 파업이 현실화해 장기화할 경우 전공의를 대신해 응급실·중환자실 등에서 의료공백을 채우는 전임의, 대학교수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2020년 총파업 당시에도 전공의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전임의, 대학교수들이 가세해 정년이 가까운 교수들이 빈 자리를 메웠다.

수도권의 한 대학병원 교수는 "2000년 의약분업, 2020년 총파업 때보다 분위기가 더 좋지 않다"면서 "젊은 교수들이 너나 할 것 없이 개원을 선호하는 시점에서 이번 사태가 장기화되면 그나마 남아 있던 교수들도 병원을 나설까 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전공의 파업하면 병원장 책임이다?…정부 방침에 '당혹'

기사등록 2024/02/08 14:37:27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