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서울대 공동조사 잇단 결실…'위안부' 새 전기 만드나

기사등록 2017/12/11 11:15:00

최종수정 2017/12/11 15:54:16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박대로 기자 = 서울시가 서울대인권센터 정진성교수연구팀과 손잡고 조선인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발굴·관리에 나서면서 성과가 잇따르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가 33명으로 줄어든 가운데 서울시와 서울대의 이같은 연구가 새로운 피해자를 발굴하고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일본정부의 주장을 일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센터는 7월5일 2년여간 발굴조사 끝에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서 70년 넘게 잠자고 있던 한국인 '위안부' 영상을 발굴했다고 발표했다.

 이 영상은 당시 미·중연합군으로 활동했던 미군 164통신대 사진대 배속 사진병(에드워드 페이 병장 추정)이 1944년 9월8일 직후 촬영해 소장했던 것이다.
 
 시와 서울대 연구팀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이 소장하고 있는 필름 릴(reel) 중 수백통을 확인해 이번 영상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영상 속 인물들을 한국인 '위안부'로 입증할 수 있는 근거로 인물들의 얼굴과 옷차림을 제시했다. 2000년 고(故) 박영심씨가 자신이라고 밝혔던 사진과 영상 속 인물들의 얼굴과 옷차림이 이번에 발표한 영상 속 인물들의 그것과 동일하다는 것이다.

 시와 서울대 연구팀은 일본군 위안소로 활용됐던 건물을 촬영한 영상을 함께 공개했다. 이 건물은 용릉(Lung-ling)에 위치한 그랜드 호텔이라 불리던 곳으로 미·중연합군이 용릉을 점령한 직후인 1944년 11월4일 53초 길이로 촬영됐다.

 약 5개월만인 11일에는 남태평양 '트럭섬(Chuuk Islands)'으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도 있었다는 사실이 최초로 확인됐다.

 트럭섬은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해군함대의 주요기지로 많은 일본군이 주둔했던 곳이다.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당시 많은 조선인들이 기지 건설 등을 위해 강제 동원됐던 아픈 역사가 서려있다.

 시는 당시 미군이 작성한 전투일지, 조선인 '위안부'들이 귀환 당시 탑승했던 호위함 이키노(Escort IKINO)호의 승선명부, 귀환 당시 사진자료, 일본인과 조선인들의 귀환을 다룬 뉴욕타임즈 기사(1946년 3월2일) 등 자료를 발굴하고 비교·검토해 조선인 '위안부' 26명의 존재를 밝혀냈다. 그동안 증언으로만 있었던 트럭섬의 조선인 '위안부'가 실제로 존재했었다는 것을 처음으로 공식 확인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에 공식적으로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9명 중 트럭섬으로 끌려갔다고 밝힌 유일한 증언자인 고(故) 이복순씨로 추정되는 인물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당시 작성됐던 제적등본을 추적하고 가족 등 주변인 확인을 거쳐 이 인물이 이복순씨와 동일인임을 확인했다.

 이밖에 서울시와 서울대 연구팀은 생전 '위안부' 피해사실을 고백했지만 '위안부' 피해자로 정부에 등록하기도 전에 숨을 거둔 고(故) 하복향씨가 '위안부' 피해자임을 증명했다. 이는 2001년 숨을 거둔지 16년 만이다. 본인 증언이 아닌 사료를 통해 피해사실을 증명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앞으로도 서울시와 서울대 연구팀은 '위안부' 피해를 대중에게 알리고 자료를 축적하기 위한 활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서울시와 서울대 연구팀은 지금까지 발굴한 문서·증언·사진·영상 자료를 시민참여 강연회 교육자료 등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부터 2년간 발굴·축적해 온 일본군 '위안부' 사료를 바탕으로 '문서와 사진, 증언으로 보는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 1·2권을 내년 1월 출판할 예정이다.

 2월에는 일본군 '위안부' 자료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한국·중국·일본의 '위안부' 전문가와 단체를 초청, 각국 '위안부' 자료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위안부' 자료 조사의 과제와 교류, 협력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서울대 연구팀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는 여전히 일본 정부·군의 공문서가 압도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국내 연구자들의 문서 접근은 더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태국 등에서의 조사·발굴 활동을 통한 자료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정애 교수(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 연구교수)는 "진상규명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기본전제"라며 "이를 위해 자료의 체계적 조사와 수집, 연구해제, 공공적 제공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엄규숙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아직 갈 길이 먼만큼 서울시는 지속적으로 꾸준한 자료 조사·발굴·분석을 통해 역사를 증명할 수 있는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축적하겠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서울시-서울대 공동조사 잇단 결실…'위안부' 새 전기 만드나

기사등록 2017/12/11 11:15:00 최초수정 2017/12/11 15:54:16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