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노이드 활용 세포치료제 비임상 평가 플랫폼 개발
![[서울=뉴시스] 넥스트앤바이오, GC셀 CI (사진=넥스트앤바이오 제공) 2025.06.1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6/11/NISI20250611_0001864978_web.jpg?rnd=20250611174614)
[서울=뉴시스] 넥스트앤바이오, GC셀 CI (사진=넥스트앤바이오 제공) 2025.06.1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승주 기자 = 바이오 플랫폼 기업 넥스트앤바이오가 GC셀과 함께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세포치료제 비임상 평가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넥스트앤바이오는 보건복지부의 '미세병리시스템 기반 첨단바이오의약품 비임상 유효성 평가 기술 개발' 국책과제에 선정돼 GC셀과 함께 공동 연구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췌장암과 담도암 등 난치성 고형암을 대상으로 한 CAR-NK 세포치료제의 효과를 정확하게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와 미세병리 시스템(MPS)을 활용해 체외에서 세포치료제의 효과를 정밀히 평가할 플랫폼을 만들 예정이다.
오가노이드는 환자의 암조직에서 유래한 세포를 3차원으로 배양해 얻어지는 체외 배양 모델이다. 환자의 유전적 특성과 암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다.
MPS는 항암제 유효성 평가에 필수적인 종양 미세환경(TME)을 체외에서 모사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면역 세포 기반 항암제의 효능을 면밀히 관찰할 수 있다.
고형암의 경우 종양 미세환경이 면역 세포의 활성을 억제해 항암 효과를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동물 실험 모델이나 2D(평면) 세포 배양 모델은 종양 미세환경의 복잡한 생리학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넥스트앤바이오와 GC셀은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오가노이드와 MPS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평가 플랫폼을 개발하기로 했다.
넥스트앤바이오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를 제작해 암의 유전적 특성을 반영한 모델을 제공하며, GC셀은 이를 기반으로 CAR-NK 치료제의 효능을 검증하게 된다.
CAR-NK는 면역세포인 NK세포(자연살해세포)에 유전자 조작 기술을 적용해 암세포를 더 효과적으로 공격하도록 만든 치료제다.
넥스트앤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공동 연구는 세포치료제 개발 과정에서 비임상 평가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며 "난치성 암 치료의 혁신을 이끌어갈 비임상 평가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