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아주대-화성시 인재육성재단, 컨소시엄 구축
스마트 ICT 분야 제조 창업 활성화 지원

경희대가 '2025 협업형 메이커스 구축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사진=경희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전수현 인턴 기자 = 경희대가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진행하는 '2025 협업형 메이커스페이스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메이커스페이스 사업은 메이커의 아이디어 구현을 위한 교육,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며 제조 창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경희대는 스마트 ICT를 특화 분야로 설정하고 아주대, 화성시 인재육성재단과 함께 'KHA-i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도권 남부 제조 창업 클러스터 조성에 나선다.
경희대는 자체 창업 생태계를 활용한 맞춤형 지원 체계를 제공한다. 아주대는 교내·외 인프라를 통해 제조 창업을 지원하며 화성시 인재육성재단은 화성시 내 7개 이음터 간 특화사업을 연결해 제조 창업자의 활동을 돕는다.
경희대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메이커스페이스 사업을 수행하며 교내외 제조 창업을 위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 바 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교내 및 지역 사회를 위한 메이커 전문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특히 경희대는 스마트 ICT 기반 기초-심화-응용-사업화를 위한 단계별 메이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제품 제작, 전문 멘토링, 투자 연계 등 창업 전 주기를 지원해 제조 창업 생태계 구축에 힘쓸 전망이다.
경희대 장영표 창업보육센터장은 "이번 사업 선정으로 탁월한 기술력을 가진 제조 창업자를 발굴해 청년, 대학, 지역이 함께 성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메이커스페이스 사업은 메이커의 아이디어 구현을 위한 교육,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며 제조 창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경희대는 스마트 ICT를 특화 분야로 설정하고 아주대, 화성시 인재육성재단과 함께 'KHA-i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도권 남부 제조 창업 클러스터 조성에 나선다.
경희대는 자체 창업 생태계를 활용한 맞춤형 지원 체계를 제공한다. 아주대는 교내·외 인프라를 통해 제조 창업을 지원하며 화성시 인재육성재단은 화성시 내 7개 이음터 간 특화사업을 연결해 제조 창업자의 활동을 돕는다.
경희대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메이커스페이스 사업을 수행하며 교내외 제조 창업을 위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 바 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교내 및 지역 사회를 위한 메이커 전문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특히 경희대는 스마트 ICT 기반 기초-심화-응용-사업화를 위한 단계별 메이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제품 제작, 전문 멘토링, 투자 연계 등 창업 전 주기를 지원해 제조 창업 생태계 구축에 힘쓸 전망이다.
경희대 장영표 창업보육센터장은 "이번 사업 선정으로 탁월한 기술력을 가진 제조 창업자를 발굴해 청년, 대학, 지역이 함께 성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