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셈텍 아시아' 서울서 열려
국내외 전문가, 탄소 감축 논의

왼쪽부터 김학주 박사, 이창기 한국시멘트협회 부회장, 피터 호디노트 전 유럽시멘트협회장, 토마스 암스트롱 셈넷 회장, 삼표산업 장 미셸 전무, 김진만 공주대 교수, 김진효 변호사.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대표적인 이산화탄소 다배출 업종인 시멘트 산업의 탄소 감축을 위해서는 폐기물(순환자원) 재활용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다.
1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시멘트 산업 콘퍼런스 '2025 Cemtech Asia(2025 셈텍 아시아)'에서 김진만 공주대 교수는 "가연성 폐기물은 연료로 사용할 수 있고, 타지 않는 불연성 폐기물은 원료로 공동 처리가 가능한 유일한 공정이 시멘트 공정"이라며 "인류가 버리는 폐기물을 자원 순환의 시각에서 합리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시멘트 공정은 매우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 셈텍 아시아'를 주최한 셈넷(Cemnet)의 토마스 암스트롱 회장은 "무해한 폐기물을 사용하거나, 폐기물을 무해하게 전 처리해 사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철강이나 제지, 콘크리트, 목재 등 거의 모든 산업에서 오랫동안 추진돼 온 방향인 만큼 폐기물 재활용에 반대한다면, 자원을 활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과 달리 유럽은 폐기물을 '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활용해 사회적 편익을 극대화하고 있다"며 "사회적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익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시멘트 공정에서의 폐기물 사용과 관련한 유해성 논란에 대해서도 의견을 제시했다.
유럽 시멘트 산업에서 종사하고 현재는 삼표산업에서 활동 중인 장 미셸 전무는 유럽 시멘트 산업의 폐기물 재활용률이 높은 데 대해 "시멘트 소성로의 온도는 1500도 정도로 매우 높다. 소성로는 유해한 물질을 포함해 모든 물질을 완전히 연소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예를 들어 서울에 4개의 소각장이 있는데 하루 2800톤(t)의 폐기물을 처리하면 20~30%가 재로 남게 돼 하루 500~800t의 재가 매립지로 보내진다. 연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18만~30만t의 재가 매립되는 것"이라며 "그러나 소성로에서 폐기물을 재활용하면 비산재가 전혀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시멘트 산업의 폐기물 연료 대체뿐만 아니라 원료 대체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등이 논의됐다.
김진만 교수는 "시멘트 공정에서 클링커의 원료로 사용되는 석회석은 소성 중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이것이 시멘트 총 탄소 배출량의 60%를 넘는다"며 "총 시멘트량 중 15% 정도의 석회석 미분말을 클링커의 원료가 아닌 시멘트의 원료로 사용하면 매우 손쉬운 탄소중립 수단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럽에서는 폐기물의 원료 대체율이 35%지만, 우리나라는 5%만 원료로 활용하고 있다"며 "시멘트 원료로 다양한 산업 부산물이 활용될 수 있도록 KS표준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끝으로 국내 시멘트 업계가 탄소 감축을 위해 환경설비 투자 등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피터 호디노트 전 유럽시멘트협회장은 "환경 규제 부담은 시멘트 산업이 규제 준수에 필요한 환경 투자 시설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돼야 한다"며 "투자에 따른 추가 비용은 시멘트 가격에 반영돼야 하고, 정부에서 걷은 배출 부과금은 환경규제 대응에 맞는 환경 투자 시설 확보에 필요한 재원 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창기 한국시멘트협회 부회장은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을 위해 SCR(선택적 촉매 환원법) 설치 확대를 준비 중"이라며 "SCR을 국내 모든 킬른에 도입하면 질소산화물 배출 문제는 완벽한 솔루션이 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전체 킬른에 SCR을 설치하려면 1조원 정도의 투자비용이 필요하다"며 "현재 질소산화물 배출 관련 부담금을 내고 있는데 이러한 부담금이 환경 설비 투자비용으로 다시 환원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