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대규모 정부 지원
'AI반도체 혁신연구소' 설립 및 운영 예정

성균관대가 '산학연계 AI반도체 선도기술 인재양성사업'에 선정됐다. 사진은 온디바이스 AI반도체 혁신연구소 구성도. (사진=성균관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전수현 인턴 기자 = 성균관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5년 산학연계 AI반도체 선도기술 인재양성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AI반도체 분야의 실전형 고급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정부 전략 과제다. 성균관대는 향후 5년 6개월간 총 110억원의 정부 출연금을 지원받아 'AI반도체 혁신연구소'를 설립·운영할 예정이다.
성균관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선도하는 전문기업들과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참여 기업은 ▲삼성전자 ▲모빌린트 ▲보스반도체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등 4곳으로 각각 AI 컴퓨팅 플랫폼, NPU 코어, 자율주행 기반 Physical AI, NPU IP 인프라 분야에서 실질적인 공동 연구개발과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연구소는 AI 반도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연구하는 4개 전문 센터로 구성된다. 연구에는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전자전기공학부, 반도체융합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 기계공학과 등에서 총 16명의 교수가 참여한다.
또한 연간 약 60명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참여 기업과의 공동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할 방침이다.
특히 연구소장인 이상현 교수는 이번 과제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기술 혁신과 인력 양성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성균관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온디바이스 AI반도체 전 주기를 아우르는 산학협력 모델을 실현할 것"이라며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이번 사업은 AI반도체 분야의 실전형 고급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정부 전략 과제다. 성균관대는 향후 5년 6개월간 총 110억원의 정부 출연금을 지원받아 'AI반도체 혁신연구소'를 설립·운영할 예정이다.
성균관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선도하는 전문기업들과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참여 기업은 ▲삼성전자 ▲모빌린트 ▲보스반도체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등 4곳으로 각각 AI 컴퓨팅 플랫폼, NPU 코어, 자율주행 기반 Physical AI, NPU IP 인프라 분야에서 실질적인 공동 연구개발과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연구소는 AI 반도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연구하는 4개 전문 센터로 구성된다. 연구에는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전자전기공학부, 반도체융합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 기계공학과 등에서 총 16명의 교수가 참여한다.
또한 연간 약 60명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참여 기업과의 공동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할 방침이다.
특히 연구소장인 이상현 교수는 이번 과제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기술 혁신과 인력 양성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성균관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온디바이스 AI반도체 전 주기를 아우르는 산학협력 모델을 실현할 것"이라며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