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메프 사태 11개월째 소비자·판매자 집단행동
"형사처벌·재조사 필요"…법원에 탄원서 제출
![[서울=뉴시스]김지윤 인턴기자=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피해 판매자 및 소비자가 모인 '검은우산비상대책위원회'가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정곡빌딩 앞에서 집회를 열고 구영배 큐텐 대표에 대한 엄중한 처벌과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를 촉구했다.2025.06.10](https://img1.newsis.com/2025/06/10/NISI20250610_0001863388_web.jpg?rnd=20250610131851)
[서울=뉴시스]김지윤 인턴기자=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피해 판매자 및 소비자가 모인 '검은우산비상대책위원회'가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정곡빌딩 앞에서 집회를 열고 구영배 큐텐 대표에 대한 엄중한 처벌과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를 촉구했다.2025.06.10
[서울=뉴시스]최은수 기자, 김지윤 인턴기자 = 티몬·위메프 등 일부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발생한 정산금 미지급 사태가 촉발된 지 약 11개월이 지난 가운데, 소비자와 판매자 피해자들이 다시 집단 대응에 나섰다. 이들은 구영배 큐텐 대표 등에 대한 형사 처벌과 사태 재조사를 요구하며 법원에 탄원서를 제출했다.
티메프 사태 피해자들로 구성된 '검은우산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정곡빌딩 앞에서 집회를 열고 구영배 큐텐 대표를 비롯한 경영진에 대한 엄중한 처벌과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를 촉구했다.
신정권 비대위 대표는 "회생이나 파산 절차에 들어간 업체만 40여곳에 달하는데도 구영배 일당은 어떤 사과도 없이 언론과 국회에 한 약속조차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이 사건은 단순한 경영 실패가 아니라 판매대금을 고의로 가로채고 책임을 회피한 기업형 사기"라고 강조했다.
소비자 대표 주정연씨는 "소비자 피해는 보상이 아니라 각 여행사 자구책으로 일부 구제된 것일 뿐, 본질적인 문제 해결은 없었다"며 "수십 명의 변호사를 내세운 구영배 대표가 세 차례나 구속영장이 기각된 현실이 납득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판매자 대표 정주희씨(두근컴퍼니)는 "정산금이 끊기면서 택배비, 월세를 감당하지 못해 직원까지 줄였다"며 "구영배 대표는 이 사태를 정상적 사업 운영 중 생긴 일이라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구조를 다음 세대에 절대 물려주고 싶지 않아 이 자리에 섰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이날 현장에서 법원에 제출할 탄원서를 배포하고, 피해자 진정서와 고소장 내용도 함께 전달했다. 신 대표는 "티몬 회생계획안에 따른 채권 변제 비율은 0.76%에 불과하다"며 "이는 관계인 집회에 참석할 교통비조차 되지 않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법원은 이를 민사 문제가 아닌 구조적 사기로 판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 대표는 "구 대표는 자택으로 200억원 상당의 금괴를 배송했다는 의혹, 일본 부동산 은닉 의혹 등에 대해 아무 해명도 하지 않고 있다"며 "국회 출석 요구를 거부하고 국내 세금조차 납부하지 않은 채 해외 도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장에서는 "구영배 일당을 엄중 처벌하라", "해외로 옮긴 위시 본사를 즉각 조사하라", "큐텐 본사의 의혹을 철저히 밝혀라" 등의 구호가 반복됐다.
'티메프 사태'는 지난해 7월 티메프 등 일부 이커머스 플랫폼이 입점 판매자들에게 지급해야 할 정산금을 돌연 중단하거나 미지급하면서 본격화됐다. 티몬과 큐텐 간 인수합병(M&A) 과정에서 촉발됐으며, 이후 위메프, 인터파크 등으로 확산됐다. 피해자는 판매자 약 6만곳, 소비자 약 21만명으로 추산되며 피해 규모는 1조5000억원 이상, 전체 피해자는 약 5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4부(부장판사 이영선)는 이날 오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구영배 큐텐 대표, 류광진 티몬 대표, 류화현 위메프 대표 등 임직원들에 대한 5차 공판을 진행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