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 기념 공연…11~12일
김화숙 예술감독…최상철 현대무용단 참여

'2025 Exhibition of Democracy - 민주주의에 말을 걸다' 포스터 (이미지=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오는 11~12일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개관기념 공연 '2025 Exhibition of Democracy - 민주주의에 말을 걸다'를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남영동 대공분실이라는 역사적 공간에서 펼쳐지는 최초의 현대무용 공연이다.
예술감독은 국립현대무용단 초대이사인 원광대학교 김화숙 명예교수, 안무는 중앙대학교 최상철 교수가 맡았으며 최상철 현대무용단 소속의 젊은 무용수들이 출연해 현대 민주주의가 맞이한 다양한 쟁점들을 역동적이고 철학적인 몸짓으로 표현한다.
'민주주의에 말을 걸다'는 고문과 침묵의 기억이 깃든 대공분실의 공간을 배경으로, '침묵과 감시, 자유와 저항, 기억과 치유'라는 민주주의의 본질적인 물음을 미디어아트가 어우러진 장면으로 풀어낸다.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독특한 건축적 구조와 마주한 무용수들은 '말하지 않음으로써 더욱 말하는' 몸의 언어를 통해 과거를 환기시키고 현재를 사유한다.
예술감독 김화숙 교수는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무용 삼부작 '그해오월', '편애의 땅', '그들의 결혼' 등 장소특정형 작품을 통해 오랫동안 한국 현대사의 상처와 회복을 예술로 조명해 온 대표적 안무가다. 2023년 대한민국무용대상 수상자 최상철 교수는 이번 작품에서 단순한 역사적 재현을 넘어, 동시대 민주주의가 직면한 긴장과 질문을 사유의 층위에서 풀어내는 작업에 집중한다.
특히 이번 공연엔 미디어아티스트 황선정이 참여해 미디어, 사운드, 조명, 공간 등이 결합한 방식으로 기획했다.
공연에서 관객들은 단순한 '관람자'를 넘어 역사적 현장을 직접 체험하고 참여하는 민주주의의 '주체'로서 실존하게 된다.
이재오 사업회 이사장은 "이번 작품은 민주주의가 단지 과거의 유산이 아닌 지금도 실천되어야 할 삶의 태도임을 환기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공연을 시작으로 기념관을 다양한 예술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민주주의의 가치를 함께 기억하고 널리 확산시킬 수 있는 열린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전석 무료로 진행되는 이번 공연은 12세 이상이면 누구든 관람 가능하다. 티켓은 사업회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