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서 당원간담회…지역에 자율 예산 부여 강조
하계올림픽 유치·청년 정책 위한 지역 대안 제시
![[전주=뉴시스] 김얼 기자 = 김경수(가운데) 제21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2일 전북 전주시 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당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2025.04.22. pmkeul@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22/NISI20250422_0020781210_web.jpg?rnd=20250422103844)
[전주=뉴시스] 김얼 기자 = 김경수(가운데) 제21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2일 전북 전주시 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당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2025.04.22. pmkeul@newsis.com


[전주=뉴시스]최정규 기자 =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후보가 전북 전주를 찾아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함께 잘사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김 후보는 22일 전북 전주에서 열린 당원과의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은 수도권 말고는 상당히 어려운 그런 나라가 됐다"며 "수도권과 다른 지역이 함께 균형있게 발전하고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잘사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비수도권이 잘 살 수 있는 방안을 언급했다. 지역 자율적 예산제를 도입해 지방정부의 권한을 확대하는 것이다.
그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어제(21일) 국회에서 5개 사업 300억을 따오기 위해 찾아다니는 것을 봤다"며 "왜 지방정부의 수장이 중앙정부에 구걸을 하게 만드냐. 이러면 지방이 어떻게 발전하겠냐"고 지적했다.
이어 "전북을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 부을경, 대구경북 5개 권역으로 나누고, 전북과 강원, 제주도를 특별자치도 체제로, 5+3 체제로 만들어야 한다"며 "이들에게 권역별로 1년에 5조원, 특별자치도에는 2조원 내외의 자율적인 예산을 지원해야한다"고 했다.
즉 지역에 예산을 주면서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부가 자율적으로 필요한 곳에 예산을 투입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중앙정부는 국가 차원의 인프라 구축을 해야 한다고 했다.
김 후보는 "새만금은 중앙정부가 지원해야 하는 전국가 차원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도시와 도시 간 이동시 차가 없이도 편리하게 움직일 수 있는 광역교통망을 중앙정부가 깔아줘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하계올림픽은 국가적인 행사인데, 정부가 전북자치도와 함께 유치하고 성공적 개최를 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인프라를 깔아줘야 한다"며 "전주만의 인프라를 가지고 세계 다른 도시와 경쟁하면 유치경쟁에서 이길 수 있겠냐. 지금 시설만 가지고 이야기하기 어렵다. 지역에 국제공항도 있어야 한다. 중앙정부가 지금부터 인프라를 설치할 수 있도록 책임지고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북의 청년을 위한 정책 방향도 내놨다.
김 후보는 "전북에는 혁신도시가 있는데 이를 연계한 첨단산업을 육성하고, 필요한 인재를 지역의 대학에서 육성해야 한다"며 "대학의 육성 권한도 지방정부에 주고, 지역이 필요한 분야의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재를 육성하면 기업이 찾아온다"며 "전북이 첨단산업인 모빌리티와 2차전지, 농식품, 바이오를 발전시키기 위해 지역 대학에서 인재를 육성한다면, 기업이 찾아오고 그 기업들은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해 청년들이 떠나지 않는다. 그렇게 가야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jk9714@newsis.com
김 후보는 22일 전북 전주에서 열린 당원과의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은 수도권 말고는 상당히 어려운 그런 나라가 됐다"며 "수도권과 다른 지역이 함께 균형있게 발전하고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잘사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비수도권이 잘 살 수 있는 방안을 언급했다. 지역 자율적 예산제를 도입해 지방정부의 권한을 확대하는 것이다.
그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어제(21일) 국회에서 5개 사업 300억을 따오기 위해 찾아다니는 것을 봤다"며 "왜 지방정부의 수장이 중앙정부에 구걸을 하게 만드냐. 이러면 지방이 어떻게 발전하겠냐"고 지적했다.
이어 "전북을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 부을경, 대구경북 5개 권역으로 나누고, 전북과 강원, 제주도를 특별자치도 체제로, 5+3 체제로 만들어야 한다"며 "이들에게 권역별로 1년에 5조원, 특별자치도에는 2조원 내외의 자율적인 예산을 지원해야한다"고 했다.
즉 지역에 예산을 주면서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부가 자율적으로 필요한 곳에 예산을 투입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중앙정부는 국가 차원의 인프라 구축을 해야 한다고 했다.
김 후보는 "새만금은 중앙정부가 지원해야 하는 전국가 차원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도시와 도시 간 이동시 차가 없이도 편리하게 움직일 수 있는 광역교통망을 중앙정부가 깔아줘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하계올림픽은 국가적인 행사인데, 정부가 전북자치도와 함께 유치하고 성공적 개최를 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인프라를 깔아줘야 한다"며 "전주만의 인프라를 가지고 세계 다른 도시와 경쟁하면 유치경쟁에서 이길 수 있겠냐. 지금 시설만 가지고 이야기하기 어렵다. 지역에 국제공항도 있어야 한다. 중앙정부가 지금부터 인프라를 설치할 수 있도록 책임지고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북의 청년을 위한 정책 방향도 내놨다.
이시간 핫뉴스
김 후보는 "전북에는 혁신도시가 있는데 이를 연계한 첨단산업을 육성하고, 필요한 인재를 지역의 대학에서 육성해야 한다"며 "대학의 육성 권한도 지방정부에 주고, 지역이 필요한 분야의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재를 육성하면 기업이 찾아온다"며 "전북이 첨단산업인 모빌리티와 2차전지, 농식품, 바이오를 발전시키기 위해 지역 대학에서 인재를 육성한다면, 기업이 찾아오고 그 기업들은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해 청년들이 떠나지 않는다. 그렇게 가야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jk9714@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