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분야 24개 핵심과제, 100개 세부과제 선정
![[창원=뉴시스] 경남도 박명균 행정부지사가 17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약 반영을 위한 핵심전략 과제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제공) 2025.04.17.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17/NISI20250417_0001820229_web.jpg?rnd=20250417111756)
[창원=뉴시스] 경남도 박명균 행정부지사가 17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약 반영을 위한 핵심전략 과제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제공) 2025.04.17. photo@newsis.com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 = 경남도가 6월3일 제21대 대통령선거와 관련 118조744억원 규모의 5대 분야 24개 핵심과제, 100개 세부과제를 선정해 각 정당과 후보자에게 공약 반영을 제안했다.
박명균 행정부지사는 17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이번 대선 공약 제안 자료는 경남의 새로운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현안 사업 위주로 선정했다"며 "경남을 경제자유특별자치도'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도는 산업·경제 분야에서는 경남경제자유구역특별법 제정을 통해 경남 전체를 경제자유구역으로 확대하고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 하동사무소를 분리·독립된 경남경제자유구역청을 설립해 경남을 대한민국 경제자유특별자치도로 만들기 위한 밑그림을 제시했다.
특히 '우주항공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제정에 역량을 집중하고 미래 항공모빌리티 특화단지 조성, 우주탐사기술 시험개발 전문센터 설립, 과학기술원 부설 우주항공 과학영재학교 등 관련 인프라를 집적화해 우주항공산업 발전에 속도감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디지털 혁신을 통해 창원국가산단을 디지털·인공지능(AI)산단으로 조성하고 경남 디지털 혁신밸리 조성과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로 경남을 제조 AI의 메카로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창원 방위·원자력융합 국가산단 조성, 소형모듈원전 제조 혁신허브 조성, 방산부품연구원 설립, 함정MRO 클러스터 조성으로 방산·원전·조선 등 주력산업 고도화 전략도 마련했다.
관광·문화 분야에서는 '남해안권 발전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남해안 국제해양관광 특구를 지정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경제성장동력으로 남해안을 대한민국 제2의 경제권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가덕도신공항 배후도시 예정지 내 프리미엄 호텔, 리조트와 복합컨벤션·쇼핑센터(대형 면세점), 비즈니스 시설, 해양레저 체험시설, 외국인전용 카지노 시설 등 세계인이 찾는 융복합 다목적 관광지 조성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사무를 분리해 관광청 설립 및 경남 유치를 제안하고 주요 관광지 접근성 확대를 위해 남부내륙철도, 동대구~창원~가덕신공항 고속화철도, 거제~통영 고속도로, 남북6축(영동~합천~함안)고속도로 건설, 사천IC~하동IC 고속도로 확장, 남해안 아일랜드 하이웨이, 국도5호선 거제~마산(해상+육상) 도로 등 철도 및 고속도로, 국도·국지도 연계 교통망 확충에 힘을 쏟는다.
도시·교통·물류 분야에서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을 통해 첨단 동북아 물류 플랫폼 기반을 구축하고 가덕도신공항, 진해신항, 철도 등 연계 교통망을 확충해 트라이포트 기반 국제물류특구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국가 물류정책 컨트롤 타워인 '국제물류진흥청'을 설립하고 항만배후단지 공급 전략 다변화와 신항만 비즈니스센터 건립, 신항 세관 통합검사장 조성을 통해 물류를 포함한 연구·마이스(MICE) 시설 등을 집적화해 물류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박명균 행정부지사는 17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이번 대선 공약 제안 자료는 경남의 새로운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현안 사업 위주로 선정했다"며 "경남을 경제자유특별자치도'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도는 산업·경제 분야에서는 경남경제자유구역특별법 제정을 통해 경남 전체를 경제자유구역으로 확대하고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 하동사무소를 분리·독립된 경남경제자유구역청을 설립해 경남을 대한민국 경제자유특별자치도로 만들기 위한 밑그림을 제시했다.
특히 '우주항공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제정에 역량을 집중하고 미래 항공모빌리티 특화단지 조성, 우주탐사기술 시험개발 전문센터 설립, 과학기술원 부설 우주항공 과학영재학교 등 관련 인프라를 집적화해 우주항공산업 발전에 속도감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디지털 혁신을 통해 창원국가산단을 디지털·인공지능(AI)산단으로 조성하고 경남 디지털 혁신밸리 조성과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로 경남을 제조 AI의 메카로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창원 방위·원자력융합 국가산단 조성, 소형모듈원전 제조 혁신허브 조성, 방산부품연구원 설립, 함정MRO 클러스터 조성으로 방산·원전·조선 등 주력산업 고도화 전략도 마련했다.
관광·문화 분야에서는 '남해안권 발전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남해안 국제해양관광 특구를 지정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경제성장동력으로 남해안을 대한민국 제2의 경제권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가덕도신공항 배후도시 예정지 내 프리미엄 호텔, 리조트와 복합컨벤션·쇼핑센터(대형 면세점), 비즈니스 시설, 해양레저 체험시설, 외국인전용 카지노 시설 등 세계인이 찾는 융복합 다목적 관광지 조성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사무를 분리해 관광청 설립 및 경남 유치를 제안하고 주요 관광지 접근성 확대를 위해 남부내륙철도, 동대구~창원~가덕신공항 고속화철도, 거제~통영 고속도로, 남북6축(영동~합천~함안)고속도로 건설, 사천IC~하동IC 고속도로 확장, 남해안 아일랜드 하이웨이, 국도5호선 거제~마산(해상+육상) 도로 등 철도 및 고속도로, 국도·국지도 연계 교통망 확충에 힘을 쏟는다.
도시·교통·물류 분야에서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을 통해 첨단 동북아 물류 플랫폼 기반을 구축하고 가덕도신공항, 진해신항, 철도 등 연계 교통망을 확충해 트라이포트 기반 국제물류특구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국가 물류정책 컨트롤 타워인 '국제물류진흥청'을 설립하고 항만배후단지 공급 전략 다변화와 신항만 비즈니스센터 건립, 신항 세관 통합검사장 조성을 통해 물류를 포함한 연구·마이스(MICE) 시설 등을 집적화해 물류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창원=뉴시스] 경남도 제21대 대선 공약 제안 내용. (사진=경남도 제공) 2025.04.17.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17/NISI20250417_0001820239_web.jpg?rnd=20250417112151)
[창원=뉴시스] 경남도 제21대 대선 공약 제안 내용. (사진=경남도 제공) 2025.04.17. photo@newsis.com
도는 사천공항을 국내선 전용 공항에서 벗어나 활주로 확장, 여객·화물 터미널 증축을 통한 기능재편으로 국제공항으로 승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균형발전 분야에서는 인구 300만 이상 시·도 중 유일하게 경남만 법학전문대학원이 설치돼 있지 않아 도내 법학전문대학원 설립안을 마련했다.
도내 1시간 생활권 및 수도권 2시간 생활권 시대를 열기 위해 교통 인프라 확충도 추진한다.
초광역 발전의 핵심 동력이 될 부산~양산~울산 및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를 일반철도로 변경 추진하고 수도권과 남해군을 2시간대로 연결하는 대전~남해선, 영호남을 1시간대로 연결하는 전주~함양~울산선을 핵심과제에 반영했다.
남북6축(진천~합천) 고속도로는 의령을 거쳐 함안까지 노선을 연장하고 기존 계획돼 있는 김해~밀양 고속도로에 비음산터널을 개통해 창원까지 노선을 잇는 방안을 마련했다.
보건·환경·농·해양 분야에서는 낙동강 녹조 대응을 위한 국가녹조대응종합센터 건립, 국립해양과학관 설립, 낙동강 프로젝트, 한·아세안 국가정원 조성 등 기후변화에 대한 선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 조성을 위한 사업을 제안했다.
남부권 중심인 경남에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립과 119산불특수대응단 설치도 제시했다.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를 위한 국립암센터 남부분원 유치와 도내 대학 의과대학 설치도 핵심과제에 포함했다.
박 부지사는 "도가 제안한 과제들이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의 공약에 최대한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m@newsis.com
균형발전 분야에서는 인구 300만 이상 시·도 중 유일하게 경남만 법학전문대학원이 설치돼 있지 않아 도내 법학전문대학원 설립안을 마련했다.
도내 1시간 생활권 및 수도권 2시간 생활권 시대를 열기 위해 교통 인프라 확충도 추진한다.
초광역 발전의 핵심 동력이 될 부산~양산~울산 및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를 일반철도로 변경 추진하고 수도권과 남해군을 2시간대로 연결하는 대전~남해선, 영호남을 1시간대로 연결하는 전주~함양~울산선을 핵심과제에 반영했다.
남북6축(진천~합천) 고속도로는 의령을 거쳐 함안까지 노선을 연장하고 기존 계획돼 있는 김해~밀양 고속도로에 비음산터널을 개통해 창원까지 노선을 잇는 방안을 마련했다.
보건·환경·농·해양 분야에서는 낙동강 녹조 대응을 위한 국가녹조대응종합센터 건립, 국립해양과학관 설립, 낙동강 프로젝트, 한·아세안 국가정원 조성 등 기후변화에 대한 선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 조성을 위한 사업을 제안했다.
이시간 핫뉴스
남부권 중심인 경남에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립과 119산불특수대응단 설치도 제시했다.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를 위한 국립암센터 남부분원 유치와 도내 대학 의과대학 설치도 핵심과제에 포함했다.
박 부지사는 "도가 제안한 과제들이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의 공약에 최대한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m@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