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읍시청. *재판매 및 DB 금지
[정읍=뉴시스] 김종효 기자 = 전북 정읍시가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고(高)' 위기를 맞아 청년일자리 확대와 지역 소비 활성화를 중심으로 한 민생안정 추진대책을 마련해 본격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먼저 시는 물가안정과 착한소비 문화 정착을 위해 착한가격업소 5곳을 추가 지정하고 업소당 위생용품과 메뉴판 등을 최대 200만원까지 지원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이고 합리적인 가격의 소비문화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청년층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책도 강화됐다. 기존 청년 창업지원 대상자를 10명에서 20명으로 확대하고 창업에 성공한 청년들에게는 1년에 500만원씩 최대 3년간 총 1500만원을 지원한다. 이는 청년층의 자립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지역 내 창업 생태계를 더욱 활발하게 만들자는 전략이다.
온누리상품권 활성화에도 공을 들인다. 지난해 12월 샘고을시장과 중앙로, 새암로, 우암로 인근 등 상권활성화 구역이 온누리상품권 가맹가능 구역으로 새로 추가 지정됐다. 시민들이 지역 상권에서 온누리상품권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돼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 효과와 소비 촉진이 기대된다.
더불어 기업 투자 유치를 활성화하고 기업 이전과 근로자의 이주를 촉진하기 위해 '정읍시 기업 및 투자유치촉진 조례'도 개정했다. 이전 기업의 근로자에게 최대 2000만원의 이주정착지원금을 제공하고 물류기업의 투자보조금 지원 기준도 마련할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기업들을 '일자리 우수기업'으로 선정해 기업 활동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이학수 시장은 "정읍시가 나서 민생안정 추진대책을 통해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넘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먼저 시는 물가안정과 착한소비 문화 정착을 위해 착한가격업소 5곳을 추가 지정하고 업소당 위생용품과 메뉴판 등을 최대 200만원까지 지원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이고 합리적인 가격의 소비문화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청년층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책도 강화됐다. 기존 청년 창업지원 대상자를 10명에서 20명으로 확대하고 창업에 성공한 청년들에게는 1년에 500만원씩 최대 3년간 총 1500만원을 지원한다. 이는 청년층의 자립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지역 내 창업 생태계를 더욱 활발하게 만들자는 전략이다.
온누리상품권 활성화에도 공을 들인다. 지난해 12월 샘고을시장과 중앙로, 새암로, 우암로 인근 등 상권활성화 구역이 온누리상품권 가맹가능 구역으로 새로 추가 지정됐다. 시민들이 지역 상권에서 온누리상품권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돼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 효과와 소비 촉진이 기대된다.
더불어 기업 투자 유치를 활성화하고 기업 이전과 근로자의 이주를 촉진하기 위해 '정읍시 기업 및 투자유치촉진 조례'도 개정했다. 이전 기업의 근로자에게 최대 2000만원의 이주정착지원금을 제공하고 물류기업의 투자보조금 지원 기준도 마련할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기업들을 '일자리 우수기업'으로 선정해 기업 활동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이학수 시장은 "정읍시가 나서 민생안정 추진대책을 통해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넘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