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과학기술축제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3개 대형 행사 합쳤다

기사등록 2025/04/16 19:00:00

대전 도심 일대서 16~20일 과학기술축제 개최…약 850개 프로그램

다양한 과학문화 프로그램부터 韓 R&D 우수 성과 전시 등까지 준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29회)'가 16~20일 대전 엑스포시민광장과 엑스포과학공원, 대전컨벤션센터 제1·2전시장 등 대전 도심 일대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29회)'가 16~20일 대전 엑스포시민광장과 엑스포과학공원, 대전컨벤션센터 제1·2전시장 등 대전 도심 일대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올해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가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기존에 제각각 개최했던 3개의 대형 과학기술행사가 하나로 통합된다.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과학기술문화 프로그램부터 우리나라의 연구개발(R&D) 성과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들이 닷새 간 펼쳐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29회)'가 16~20일 대전 엑스포시민광장과 엑스포과학공원, 대전컨벤션센터 제1·2전시장 등 대전 도심 일대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는 과기정통부와 대전광역시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연구재단, 대전관광공사, 과학문화민간협의회가 주관해 진행된다. 특히 올해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는 기존에 개별적으로 열렸던 대한민국과학축제, 대한민국과학기술대전,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3개 행사를 통합해 역대 최대 규모의 과학기술축제로 개최된다.

과학기술축제는 '과학기술의 엔진, 호기심을 깨우다'를 주제로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과학기술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약 850개의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문화를 즐기며 소통할 수 있는 '호기심발전소' ▲대한민국 과학기술 R&D성과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호기심 연구소' ▲대전의 특성을 살린 과학기술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가득한 '호기심 테마파크' ▲모든 공간을 연결하고 전국으로 실시간 온라인 송출하는 '호기심 방송국'으로 구성된다.

호기심 발전소는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공연과 체험 등 과학기술문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출연연·과기원 등이 참여하는 과학기술 체험·교육 프로그램부터 5대 국립과학관이 모두 참여하는 이동형 전시와 과학체험 놀이터, 민간기업의 특별한 과학교실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운영된다.

메인무대에서는 과학 퍼포먼스와 마술쇼 등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연을 5일 내내 운영한다. 사이언스피크닉, 과학 사진전 등 휴식을 취하며 가족 모두가 즐겁게 과학기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쉼터공간도 구성했다.

호기심 연구소는 주요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첨단기술과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출품작, 출연연 및 대학의 R&D 연구성과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성과물을 전시한다. '한국형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차체와 특장을 모두 국산화한 '야간산불 대응 진화차량' 등 139개 기관의 우수성과가 전시된다.

또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함께 미래 과학자를 위한 멘토링 스테이션을 운영하고, 과학기술 오픈스테이지에서는 과학드림, 수상한생선, 과학쿠키 등 과학 유튜버들이 과학기술을 주제로 대중과 소통한다.

호기심 테마파크는 유명 국내외 연사가 참여하는 세계과학문화포럼, SF문학의 창의적 상상력과 과학적 탐구를 조명하는 문학정원 with 사이언스, 열기구와 드론 등 이색 체험 프로그램까지 다양한 즐길거리부터 지역 맛집과 푸드트럭이 함께하는 먹거리 공간이 구성된다.

이번 세계과학문화포럼은 'HI, AI'라는 주제로 존 헤이븐스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 사무총장, 보 스티에르네 톰센 레고 에듀케이션 부사장, 데니스홍 교수 등 총 10인의 연사가 18~19일 참여한다.
 
올해는 특히 호기심 방송국을 통해 관람객들과 실시간 온라인 소통하는 프로그램을 5일 내내 운영하며 축제의 현장을 전국으로 전달한다. 축제 첫날은 허성범 크리에이터가 온라인으로 실시간으로 대중들과 소통했으며 유명 과학유튜버 안될과학, 코코보라 등이 양자, 우주 등 주제를 바탕으로 대중들에게 과학기술을 설명할 예정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16일 열리는 개막식에 앞서 '젊은 과학기술인과의 대화'에 참석해 과학기술인재 정책방향을 공유하고 첨단 과학기술분야, 기술사업화 등에서 뛰어난 실적을 거두고 있는 젊은 과학기술인들을 만나 직접 소통하고 격려했다.

이어 과학기술축제 개막식은 16일 저녁 7시 엑스포시민광장 메인무대에서 개최했다. 개막식에는 과학 크리에이터 허성범의 사회와 이세돌 UNIST 특임교수의 주제 강연, 싱어송라이터 권진아의 축하공연 등이 펼쳐졌으며 유 장관이 직접 개막식의 선언과 환영의 말을 전했다.

유 장관은 "이번 과학기술축제는 3개 행사를 통합 개최해 남녀노소 누구나 도심 속에서 과학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다"며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 행사장에 방문해 과학기술에 대한 호기심을 경험하고, 즐기는 시간을 가지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韓 과학기술축제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3개 대형 행사 합쳤다

기사등록 2025/04/16 19:00:00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