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수출 증가하지 않을 것…美 소비도 마이너스"
![[도쿄=AP/뉴시스]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가 지난 7월31일 일본 도쿄에 있는 일본은행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10.31.](https://img1.newsis.com/2024/07/31/NISI20240731_0001328571_web.jpg?rnd=20240731201810)
[도쿄=AP/뉴시스]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가 지난 7월31일 일본 도쿄에 있는 일본은행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10.31.
[서울=뉴시스]임철휘 기자 =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 "2월 이후에는 나쁜 시나리오로 흘러가고 있다"고 밝혔다.
우에다 총재는 16일 보도된 산케이신문과 인터뷰에서 '관세 조치로 인한 경기 하방 리스크는 예상 이상인가'라는 질문에 "올해 1월 시장이 안정적이어서 (영향이) 그렇게 심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었다"면서도 이같이 답했다.
그는 미국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일본에서는 수출이 증가하지 않게 될 것이다. 미국에서는 물건이나 대상 국가에 따라 가격이 상승해 소비에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업은 경영 판단이 어려워져 투자 연기나 취소라는 부정적 영향도 생긴다"며 "불확실성 증가로 가계 심리 위축도 있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 관세가 일본 경제의 하방 리스크로 크게 작용한다고 판단되면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는지 묻는 말에는 "기업이나 가계의 심리는 일부는 이미 반응하고 있다"며 "데이터만 보면 정확한 전망이 어려우므로, 심리지표나 다양한 청취 정보를 활용해 전망을 신중히 만들어가겠다"고 했다.
금리 인상 속도 관련 질문에는 "적절한 속도로 지속할 방침"이라며 "상황에 따라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게 될지도 모르지만, 정세 변화에 대응해 적절히 판단할 것"이라고 답했다.
우에다 총재는 쌀과 식품 가격이 치솟는 데 대해서는 "가장 큰 원인은 기상이변이라고 생각한다"며 "다만 채소 가격은 이미 정점을 찍었고, 쌀 가격 상승률도 점차 낮아질 것으로 보이기에 다른 식품으로의 파급도 머지않아 진정될 것으로 본다"고 진단했다.
실질임금 전망에 대해서는 "비용 인상에 의한 높은 인플레이션이 가라앉게 되면 현재 2%를 크게 상회하고 있는 소비자물가지수가 2%에 근접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 봤다.
그러면서도 "실질임금의 플러스 정착 시점은 명확히 말하기 어렵지만 올해 중반부터 하반기 정도의 이미지"라고 전했다.
우에다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하락하고 기업이 임금을 대폭 올리면 올해 중·후반부터는 하락해 왔던 실질임금이 상승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그는 식품 가격이 내려가지 않거나 세계 공급망에 혼란이 발생하면 물가가 오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