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관세협상' 테이블에 中견제 카드 올릴 가능성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 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해군 미드맨십 미식축구팀에 트로피를 수여하며 풋볼 공을 들어보이고 있다. 2025.04.16.](https://img1.newsis.com/2025/04/16/NISI20250416_0000261756_web.jpg?rnd=20250416063259)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 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해군 미드맨십 미식축구팀에 트로피를 수여하며 풋볼 공을 들어보이고 있다. 2025.04.16.
[서울=뉴시스] 김난영 기자 =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 견제'를 교역국과의 협상 테이블에 올릴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현지 시간)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교역국에 중국과의 거래를 제한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현재의 관세 협상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기업이 타국을 이용해 상품을 선적하고, 관세 우회를 위해 타국 영토로 기업을 이전하고, 타국에 값싼 중국 상품을 쏟아내는 일을 막겠다는 것이다. WSJ은 미국이 각국에 부과한 관세 완화를 대가로 이를 요구할 수 있다고 했다.
특히 보도에 따르면 미국 당국자들은 이미 일부 국가와의 초기 협상에서 이 문제를 꺼내 들었다고 한다. 최근 트럼프 2기 무역팀에서 위상이 높아진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이 전략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베선트 장관이 지난 6일 마러라고 회의에서 해당 전략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중국 기업이 미국의 관세와 수출통제, 기타 경제 조치를 우회할 수 없도록 교역국으로부터 양보를 끌어낸다는 내용이 골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일 각국에 10~40%대 상호관세율을 책정해 발표했다. 그러나 중국과의 무역 분쟁이 격화하자 일단 중국 외 국가를 상대로 90일간 유예 기간을 부여했다. 이 기간 각국과 협상한다는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현지 시간)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교역국에 중국과의 거래를 제한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현재의 관세 협상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기업이 타국을 이용해 상품을 선적하고, 관세 우회를 위해 타국 영토로 기업을 이전하고, 타국에 값싼 중국 상품을 쏟아내는 일을 막겠다는 것이다. WSJ은 미국이 각국에 부과한 관세 완화를 대가로 이를 요구할 수 있다고 했다.
특히 보도에 따르면 미국 당국자들은 이미 일부 국가와의 초기 협상에서 이 문제를 꺼내 들었다고 한다. 최근 트럼프 2기 무역팀에서 위상이 높아진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이 전략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베선트 장관이 지난 6일 마러라고 회의에서 해당 전략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중국 기업이 미국의 관세와 수출통제, 기타 경제 조치를 우회할 수 없도록 교역국으로부터 양보를 끌어낸다는 내용이 골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일 각국에 10~40%대 상호관세율을 책정해 발표했다. 그러나 중국과의 무역 분쟁이 격화하자 일단 중국 외 국가를 상대로 90일간 유예 기간을 부여했다. 이 기간 각국과 협상한다는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