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물법 개정 통한 제도적 보완 등 촉구
![[서울=뉴시스] 김지현 인턴기자 =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앞두고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등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 기록 공개를 촉구하고 나섰다.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 투명사회를위한정보공개센터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본관 앞 '세월호 기억공간'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한 모습. 2025.04.1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15/NISI20250415_0001818224_web.jpg?rnd=20250415150816)
[서울=뉴시스] 김지현 인턴기자 =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앞두고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등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 기록 공개를 촉구하고 나섰다.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 투명사회를위한정보공개센터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본관 앞 '세월호 기억공간'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한 모습. 2025.04.15.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조성하 기자, 김지현 인턴기자 =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앞두고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등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 기록 공개를 촉구하고 나섰다.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와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 투명사회를위한정보공개센터는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본관 앞 '세월호 기억공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참사 당일 박 전 대통령의 행적이 담긴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정보공개를 대통령기록관에 청구했다고 밝혔다.
단체는 "세월호 참사는 국가가 구조해야 할 국민을 지키지 못한 비극으로, 여전히 온전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특히 참사 당일 박 전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은 진실을 밝히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당일의 대통령기록물은 단순히 박 전 대통령의 동선을 넘어서, 대통령 비서실, 경호실, 국가안보실이 생산하거나 접수한 모든 전자기록, 녹취, 지시사항 등을 포함한다"며 "정부 위기 대응 시스템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반드시 공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제가 된 해당 기록은 2017년 당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 의해 대통령기록물로 지정돼 30년간 봉인된 상태다.
단체는 기자회견을 통해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대통령기록물법 개정을 통한 제도적 보완 ▲피해자와 국민의 알 권리 보장 등을 요구하며 대통령기록관의 조속한 공개 결단을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