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생산량 1.5%·내수판매량 2.4% 증가, 수출량은 2.4%감소
1분기 생산량 -1.1%, 수출량 -2.2% 내수판매량은 2.2% 증가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3일 경기도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2025.04.03. jtk@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03/NISI20250403_0020759074_web.jpg?rnd=20250403155454)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3일 경기도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2025.04.03.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지난달 자동차 수출액이 62억4000만 달러를 올리며 역대 3월 수출실적 중 2위에 해당하는 기록을 달성했다. 지난달엔 자동차 생산량과 내수 판매량, 수출액은 2개월 연속 전년동기대비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가 공개한 '1분기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3월 자동차 생산량은 37만836대로 전년동월대비 1.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 판매량은 14만9512대로 2.4% 증가했다.
수출액은 62억42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2% 증가했다. 친한경차 수출액은 20억1700만 달러로 3.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18억4300만 달러로 3.6% 감소했다.
지역별 수출액은 ▲북미 32억6600만 달러(-8.4%) ▲유럽연합(EU) 7억7700만 달러(-3.0%) ▲기타 유럽 5억1500만 달러(25.1%) ▲아시아 6억5500만 달러(61.8%) ▲중동 4억9000만 달러(21.2%) ▲중남미 2억3600만 달러(4.2%) ▲오세아니아 2억5500만 달러(-19.0%) ▲아프리카 3500만 달러(-9.7%) 등으로 나타났다.
기업별 3월 생산량은 ▲현대 16만3607대 ▲기아 14만4478대 ▲한국지엠 4만592대 ▲KG모빌리티 9001대 ▲르노코리아 1만2323대 ▲타타대우 835대 등으로 집계됐다.
![[로스앤젤레스(미국)=뉴시스] 2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24 LA 오토쇼'에 전시된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SXP. (사진=기아) 2024.11.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4/11/22/NISI20241122_0001709933_web.jpg?rnd=20241122032645)
[로스앤젤레스(미국)=뉴시스] 2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24 LA 오토쇼'에 전시된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SXP. (사진=기아) 2024.11.22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달 친환경차의 내수 판매량은 6만9879대로 전년동월대비 1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은 6만8760대로 5.8% 늘었다. 차종별로는 하이브리드 4만1969대, 전기차 2만757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6033대 등이다. 수출액은 20억2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3.1% 줄어들었다.
1분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출액은 173억2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3% 감소했고 수출량은 67만3705대로 2.2% 줄어들었다.
정부는 지난해 1분기 수출 실적이 역대 최고를 달성한 것에 따른 기저효과 및 1분기 조업일수가 전년대비 3일 줄어든 영향으로 수출액과 수출량이 감소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1분기 내수 판매량은 38만8000대로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친환경차의 1분기 내수 판매량은 16만9000대로 20%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자동차 생산량은 101만3485대로 1.1% 감소했지만 3년 연속 생산량 100만대를 돌파했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 9일 발표한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대책'을 통해 우리 기업들의 관세충격이 본격 파급되기에 앞서 실효성 있는 정책지원 틀을 마련했다"며 "발표한 과제들을 신속하게 추진함과 동시에 피해 상황과 대미협상 경과 등을 지속 모니터링하며 탄력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세종=뉴시스】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2019.09.03.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