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운용, 퇴직연금 전용 RA 서비스 'M-ROBO' 출시

기사등록 2025/04/15 11:17:01

최종수정 2025/04/15 14:13:39

중관여 고객 대상 맞춤형 연금관리 솔루션

"연금 2.0 시대 핵심 플랫폼 역할 기대"

인출 전략, 수익률 최적화, 위험관리까지

손수진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연금마케팅부문 대표  *재판매 및 DB 금지
손수진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연금마케팅부문 대표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강수윤 기자 =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RA) 서비스 '엠로보(M-ROBO)'를 출시했다.

미래에셋운용은 15일 서울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에서 'M-ROBO' 출시 기자간담회를 열고 AI 기반 퇴직연금 자산관리 전략과 함께 퇴직연금 시장 구조 변화에 대응한 중장기 비전을 제시했다.

손수진 미래에셋운용 ETF연금마케팅부문 대표는 "퇴직연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투자자 대부분이 직접 운용에 부담을 느끼거나 타겟데이트펀드(TDF) 등 간접투자에만 의존하는 상황에서 중간 수준의 투자 관심을 가진 이른바 '중관여 고객층'에 대한 전략이 부재하다"며 "이들을 위한 자동화된 맞춤형 솔루션으로 단순 자산배분을 넘어 인출 전략, 수익률 최적화, 위험관리까지 포괄하는 통합 연금관리 시스템 '엠로보'를 선보이게 됐다"고 밝혔다.

'M-ROBO'는 투자자의 연령, 성향, 목표 수익률 등을 종합 분석해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자동 설계하고, 시장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리밸런싱하는 AI 기반 연금관리 솔루션이다. 단순히 모델 포트폴리오를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 실질적 운용 결정을 자동화해 연금계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미래에셋운용은 하나은행을 시작으로 미래에셋증권과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BNK경남은행, BN부산은행 등 주요 퇴직연금 사업자들과 제휴를 맺었다. 이달부터 각 사업자 퇴직연금 플랫폼을 통해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이다.

회사는 앞으로' 'M-ROBO'를 활용해 AI 기반 맞춤형 연금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창헌 미래에셋운용 로보어드바이저운용본부장은 "M-ROBO는 AI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 은퇴 시점, 시장 흐름 등을 반영해 포트폴리오를 자동적으로 조정하고, 자동 리밸런싱 기능을 통해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한다"며 "모바일 기반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기존 수수료 구조 대비 비용 효율성을 제고해 연금 수익률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금 선진국들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역시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선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미국 퇴직연금 시장은 총 32조7000억 달러(약 4경2000조원) 규모이며, 이 중 개인형 퇴직연금 시장(DC+IRA·약 29조4000억 달러)의 약 5%가 로보어드바이저로 운용되고 있다.

퇴직연금 RA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서비스는 검증된 알고리즘을 통해 투자자 성향에 따른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자동 생성하고 이에 따라 개인형 퇴직연금(IRP) 적립금 운용을 지시하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IRP 가입자가 적립금 운용을 직접 지시해야 했으나 최근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받은 투자 일임업자의 로보어드바이저가 가입자를 대신해 운용을 지시하게 된다.

이준용 미래에셋운용 부회장은 "퇴직연금 시장의 혁신은 적립금 규모 경쟁을 넘어 실질적인 수익률 관리로 이어져야 한다"며 "엠로보는 미래에셋의 AI 기술력과 운용 철학이 결합된 플랫폼으로, 누구나 손쉽고 체계적으로 퇴직연금을 운용할 수 있는 '연금 2.0 시대'의 대표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미래에셋운용, 퇴직연금 전용 RA 서비스 'M-ROBO' 출시

기사등록 2025/04/15 11:17:01 최초수정 2025/04/15 14:13:39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