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의장 "대선·개헌 동시투표 제안"…민주당내 친명·비명계 반응 엇갈려

기사등록 2025/04/06 22:00:00

친명계 "내란 종식 우선" 반대 기류

비명 잠룡 "국민과 7공화국 열어야"

이재명·민주당은 공식 입장 안 내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개헌관련 긴급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4.06. suncho21@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개헌관련 긴급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4.06. suncho21@newsis.com
left swipright swip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우원식 국회의장이 6일 권력구조 개편을 골자로 한 개헌 국민투표를 조기 대선일에 같이 하자고 제안한 데 대해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도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친명(친이재명)계는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며 반대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고 비명(비이재명)계는 환영의 뜻을 밝혔다.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대표는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이언주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벌써 개헌이니 내각제니 난리"라며 "윤석열 파면이 엊그제고 아직 관저 퇴거도 안 한 상태인데 국민이 공감할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지금은 일단 탄핵 뒷수습과 내란 세력 발본색원, 민생·경제 회복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한준호 최고위원도 페이스북에 "개헌?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고 적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도 "헌법 개정의 필요성과 당위성에는 공감하지만 지금 개헌이 최우선 과제인가에 대해서는 동의하기 어렵다"며 "지금 국가적인 최우선 과제는 내란 진상을 철저히 규명해 그 책임을 묻는 일"이라고 거들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정청래 의원 역시 "개헌은 당위적으로 맞다"면서도 "지금은 내란 종식, 내란당 해체, 내란 잔당 세력 역사 청산에 집중할 때지 개헌으로 시선 분산을 할 때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개헌 논의를 하게 되면 개헌특위가 구성될 테고 그럼 해산해야 할 내란당이 동등하게 논의 테이블에 앉게 된다"며 "개헌 논의의 50%를 저들이 담당하는 게 맞는가. 나는 아니라고 본다"고도 했다.

김용민 원내수석부대표는 "내란 수괴가 아직 감옥 밖에서 돌아다니고 있다"며 "내란 뿌리부터 당장 뽑아야 한다"라고 했다. 강유정 원내대변인은 "내란 완전 종식, 그것만이 최선이자 최우선 과제"라고 썼다.

반면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이날 페이스북 통해 "우 의장의 개헌 추진 제안에 적극 동의하며 환영한다"면서 "38년 만에 이뤄지는 개헌을 통해 새로운 7공화국을 국민과 함께 열어가자"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그동안 저는 2단계 개헌 추진을 주장해왔다"면서 "조기 대선 과정에서 여야 합의가 가능한 범위에서 1단계로 개헌을 하고, 이후 추가 논의와 국민 의견 수렴을 거쳐 내년 지방선거에서 2단계 개헌을 하자고 말씀드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대선에서 여야가 합의 가능한 범위의 개헌부터 먼저 하자"며 "불법 계엄 방지, 5·18 정신 헌법 전문수록, 행정수도 이전 및 강력한 지방분권, 국민의 직접 민주주의 확대와 기본권 강화 등의 개헌 과제 논의가 이뤄지길 희망한다"고 기대했다.

대통령 선거 도전을 공식화한 김두관 전 의원도 환영 입장을 냈다.

김 전 의원은 "제6공화국 8명의 대통령 중 4명이 구속됐거나 파면됐는데 사람의 문제도 있겠지만 시스템의 문제도 생각해야 한다"며 "이제 개헌과 제7공화국 건설은 누구도 거역할 수 없는 요구가 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 문제를 외면하고 대통령 선거만 생각하는 것은 사회적 공공선을 외면하는 것과 같다"면서 "우원식 국회의장의 개헌 입장에 두 손 들어 환영한다"고 했다.



앞서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 비명계 잠룡들도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한편 정대철 헌정회장은 윤 전 대통령 파면 하루 전인 지난 3일 통화에서 이 대표가 "국회가 추천하고 뽑는 국무총리제와 현재의 경성 헌법을 연성 헌법으로 바꿔 개헌 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에 동의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je1321@newsis.com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우 의장 "대선·개헌 동시투표 제안"…민주당내 친명·비명계 반응 엇갈려

기사등록 2025/04/06 22:00:00 최초수정

많이 본 기사

newsis_c
newsis_m